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 Literary Education and the Geographic Interpretation of Choi Cheok 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3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Cheok Jeon, which depicts East Asia, is analyzed from a literary geographic perspective, and a method that can be utilized in literary education is considered. In specific, the spatial background, the paths from Japan, to China, Vietnam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regional spaces, and through this I can understand the very subtle aspects of the creation technique used in the novel. Jo Wui-han described the regional space of East Asia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and vicarious experiences from reading books. The regional space of East Asia described in Choi Cheok Jeon seems to be real, but is simply depicted based on inaccurate and obscure information, and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not matched in actual spatial data. The analysis of the marine route that Ok-yeong took on her way back to the country showed that it was completely fictional. However, Jo Wui-han realized a family reunion using the method of space-setting.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can provide students with education as follows. First, we can have students research the regions used for the setting of the novel. Second, we can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epiction and realization of the subject. Third, we can analyze what images the regional space of East Asia described in Choi Cheok Jeon provides. Fourth, we can discuss whether we can uti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images found in Choi Cheok Jeon and East Asia in the current era.
      번역하기

      Choi Cheok Jeon, which depicts East Asia, is analyzed from a literary geographic perspective, and a method that can be utilized in literary education is considered. In specific, the spatial background, the paths from Japan, to China, Vietnam was compa...

      Choi Cheok Jeon, which depicts East Asia, is analyzed from a literary geographic perspective, and a method that can be utilized in literary education is considered. In specific, the spatial background, the paths from Japan, to China, Vietnam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regional spaces, and through this I can understand the very subtle aspects of the creation technique used in the novel. Jo Wui-han described the regional space of East Asia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and vicarious experiences from reading books. The regional space of East Asia described in Choi Cheok Jeon seems to be real, but is simply depicted based on inaccurate and obscure information, and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not matched in actual spatial data. The analysis of the marine route that Ok-yeong took on her way back to the country showed that it was completely fictional. However, Jo Wui-han realized a family reunion using the method of space-setting.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e can provide students with education as follows. First, we can have students research the regions used for the setting of the novel. Second, we can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epiction and realization of the subject. Third, we can analyze what images the regional space of East Asia described in Choi Cheok Jeon provides. Fourth, we can discuss whether we can uti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images found in Choi Cheok Jeon and East Asia in the current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이 연구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을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소설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본, 중국, 베트남(안남), 해상 이동경로 등의 공간배경을 실제 지역공간과 대조하여 살폈는데, 이를 통하여 소설 창작수법의 매우 미묘한 국면을 알 수 있었다. 조위한은 자신의 체험과 독서경험과 풍문을 바탕으로 아무도 가보지 못한 동아시아 지역을 형상화하였다.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은 사실적인 것 같으면서도, 부정확하고 모호한 정보에 바탕하여, 소략하게 그려지거나 사실과 어긋나게 설정된 점이 적지 않았다. 그리고 옥영이 귀국한 해상 이동경로는 분석 결과, 전적으로 허구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조위한은 이러한 공간설정 방식을 통하여 ‘가족의 재회’라는 주제를 실현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소설교육을 할 수 있다. 첫째,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 배경이 된 곳에 대해서 학습자들이 조사해보도록 한다. 둘째 동아시아 공간의 형상화와 주제 실현 간의 관계를 논의한다. 셋째,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지역 공간이 어떠한 이미지를 남겼는지를 분석한다. 넷째, <최척전>에 발견된 지역 이미지와 동아시아 유대 관계를 현재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번역하기

      필자는 이 연구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을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소설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본, 중국, ...

      필자는 이 연구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을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소설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본, 중국, 베트남(안남), 해상 이동경로 등의 공간배경을 실제 지역공간과 대조하여 살폈는데, 이를 통하여 소설 창작수법의 매우 미묘한 국면을 알 수 있었다. 조위한은 자신의 체험과 독서경험과 풍문을 바탕으로 아무도 가보지 못한 동아시아 지역을 형상화하였다.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은 사실적인 것 같으면서도, 부정확하고 모호한 정보에 바탕하여, 소략하게 그려지거나 사실과 어긋나게 설정된 점이 적지 않았다. 그리고 옥영이 귀국한 해상 이동경로는 분석 결과, 전적으로 허구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조위한은 이러한 공간설정 방식을 통하여 ‘가족의 재회’라는 주제를 실현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소설교육을 할 수 있다. 첫째,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 배경이 된 곳에 대해서 학습자들이 조사해보도록 한다. 둘째 동아시아 공간의 형상화와 주제 실현 간의 관계를 논의한다. 셋째,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지역 공간이 어떠한 이미지를 남겼는지를 분석한다. 넷째, <최척전>에 발견된 지역 이미지와 동아시아 유대 관계를 현재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항저우(杭州) in: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24" 한국브리태니커 614-, 1994

      2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2000

      3 박희병, "최척전 in: 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421-450, 2005

      4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51-, 2000

      5 이수광, "조완벽전(趙完璧傳) in: 지봉선생집(芝峯先生集) 권23"

      6 정사신, "조완벽전(趙完璧傳) in: 매창선생집(梅窓先生集) 권4"

      7 민덕기, "임진왜란 중의 납치된 조선인 문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390-392, 2005

      8 임기중, "연행록 연구(증보판)" 일지사 82-, 2006

      9 사마천, "사기열전 2" 민음사 874-, 2007

      10 이은숙, "문학지리학 서설-지리학과 문학의 만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48-165, 1992

      1 "항저우(杭州) in: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24" 한국브리태니커 614-, 1994

      2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2000

      3 박희병, "최척전 in: 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421-450, 2005

      4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51-, 2000

      5 이수광, "조완벽전(趙完璧傳) in: 지봉선생집(芝峯先生集) 권23"

      6 정사신, "조완벽전(趙完璧傳) in: 매창선생집(梅窓先生集) 권4"

      7 민덕기, "임진왜란 중의 납치된 조선인 문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390-392, 2005

      8 임기중, "연행록 연구(증보판)" 일지사 82-, 2006

      9 사마천, "사기열전 2" 민음사 874-, 2007

      10 이은숙, "문학지리학 서설-지리학과 문학의 만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48-165, 1992

      11 謝壽昌, "中國古今地名大辭典(제16판)" 臺灣商務印書館 144-, 1982

      12 권혁래, "<최척전>에 그려진 ‘유랑’의 의미" 국어국문학회 (150) : 207-235, 2008

      13 권혁래, "<조완벽전(趙完璧傳)>의 텍스트와 문학적 의미 연구" 한국어문학회 (100) : 205-234, 2008

      14 최병욱, "17세기 제주도민들이 본 호이 안과 그 주변" 한국베트남학회 2 : 189-, 2001

      15 정두희, "16세기 최대 전쟁, 임진왜란 in: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15-, 2007

      16 최병욱, "16-17세기 호이안과 베트남의 대외무역 in: 바다의 실크로드" 청아출판사 98-103,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