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저우(杭州) in: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24" 한국브리태니커 614-, 1994
2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2000
3 박희병, "최척전 in: 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421-450, 2005
4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51-, 2000
5 이수광, "조완벽전(趙完璧傳) in: 지봉선생집(芝峯先生集) 권23"
6 정사신, "조완벽전(趙完璧傳) in: 매창선생집(梅窓先生集) 권4"
7 민덕기, "임진왜란 중의 납치된 조선인 문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390-392, 2005
8 임기중, "연행록 연구(증보판)" 일지사 82-, 2006
9 사마천, "사기열전 2" 민음사 874-, 2007
10 이은숙, "문학지리학 서설-지리학과 문학의 만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48-165, 1992
1 "항저우(杭州) in: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24" 한국브리태니커 614-, 1994
2 양승민,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한국고소설학회 9 : 2000
3 박희병, "최척전 in: 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421-450, 2005
4 민영대, "조위한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51-, 2000
5 이수광, "조완벽전(趙完璧傳) in: 지봉선생집(芝峯先生集) 권23"
6 정사신, "조완벽전(趙完璧傳) in: 매창선생집(梅窓先生集) 권4"
7 민덕기, "임진왜란 중의 납치된 조선인 문제 in: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390-392, 2005
8 임기중, "연행록 연구(증보판)" 일지사 82-, 2006
9 사마천, "사기열전 2" 민음사 874-, 2007
10 이은숙, "문학지리학 서설-지리학과 문학의 만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48-165, 1992
11 謝壽昌, "中國古今地名大辭典(제16판)" 臺灣商務印書館 144-, 1982
12 권혁래, "<최척전>에 그려진 ‘유랑’의 의미" 국어국문학회 (150) : 207-235, 2008
13 권혁래, "<조완벽전(趙完璧傳)>의 텍스트와 문학적 의미 연구" 한국어문학회 (100) : 205-234, 2008
14 최병욱, "17세기 제주도민들이 본 호이 안과 그 주변" 한국베트남학회 2 : 189-, 2001
15 정두희, "16세기 최대 전쟁, 임진왜란 in: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15-, 2007
16 최병욱, "16-17세기 호이안과 베트남의 대외무역 in: 바다의 실크로드" 청아출판사 98-10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