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상적 경험의 형상화가 지니는 시가사적 의미 -신계영의 <월선헌십육경가>를 중심으로- = On the Poetic Figuration of Experience in Wolseonheonsipyukgyeongg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has a aim to find an answer to a question have presented by related academic articles. A question is how to value Wolseonheonsipyukgyeongga (月先軒十六景歌) written by Shin Gyeyeong(辛啓榮). To arrive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time and space written this work, invested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setting of this work, and compare this work with other works by the same.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got following meaningful contents. Above of all, we have to see this work on the changing stream of literary history in 17th century. This work didn`t contain ideal world, but showed daily life. This work didn`t array the teaching of Confucius, but presented past affairs of his own self. These phases tell us that this work toke the previous literary custom off, and toke the changing poetic custom in. A speaker of this work sketched memorized experience of the poet`s daily life, and descript the natural sceneries and deeds in the real circumstances. To make beautiful description, A speaker of this work presented affairs of past time as affairs of present time through changing time to space. As a result, this work could gain an active poetic figuration.
      번역하기

      This essay has a aim to find an answer to a question have presented by related academic articles. A question is how to value Wolseonheonsipyukgyeongga (月先軒十六景歌) written by Shin Gyeyeong(辛啓榮). To arrive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This essay has a aim to find an answer to a question have presented by related academic articles. A question is how to value Wolseonheonsipyukgyeongga (月先軒十六景歌) written by Shin Gyeyeong(辛啓榮). To arrive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time and space written this work, invested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setting of this work, and compare this work with other works by the same.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got following meaningful contents. Above of all, we have to see this work on the changing stream of literary history in 17th century. This work didn`t contain ideal world, but showed daily life. This work didn`t array the teaching of Confucius, but presented past affairs of his own self. These phases tell us that this work toke the previous literary custom off, and toke the changing poetic custom in. A speaker of this work sketched memorized experience of the poet`s daily life, and descript the natural sceneries and deeds in the real circumstances. To make beautiful description, A speaker of this work presented affairs of past time as affairs of present time through changing time to space. As a result, this work could gain an active poetic figu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정희, "「月先軒十六景歌」의 江湖 공간과 시적 형상화의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65-189, 2009

      2 이상보, "한국 후기 가사(1)" 11 : 95-, 1978

      3 빌헬름 딜타이,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55-, 2002

      4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478-, 2004

      5 존 R. 설, "지향성" 나남 88-, 2009

      6 유약우, "중국의 문학이론" 동화출판공사 211-, 1984

      7 김원중, "중국문학 이론의 실제" 을유문화사 148-, 2000

      8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까치 315-, 1998

      9 이기흥, "정신과학과 개별화" 지식을만드는지식 83-, 2011

      10 권순회, "전가시조의 미적 특질과 사적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1 남정희, "「月先軒十六景歌」의 江湖 공간과 시적 형상화의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65-189, 2009

      2 이상보, "한국 후기 가사(1)" 11 : 95-, 1978

      3 빌헬름 딜타이,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55-, 2002

      4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478-, 2004

      5 존 R. 설, "지향성" 나남 88-, 2009

      6 유약우, "중국의 문학이론" 동화출판공사 211-, 1984

      7 김원중, "중국문학 이론의 실제" 을유문화사 148-, 2000

      8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까치 315-, 1998

      9 이기흥, "정신과학과 개별화" 지식을만드는지식 83-, 2011

      10 권순회, "전가시조의 미적 특질과 사적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11 임병조, "예산 오산리 사례를 통해서 본 近畿圈종족촌락 형성의 정치·경제적 배경" 대한지리학회 45 (45): 221-239, 2010

      12 박노춘, "신계영과 그의 선석가사" 현대문학사 (88) : 102-107, 1962

      13 윤여탁, "시의 논리와 서정시의 역사" 태학사 235-, 1995

      14 신영명, "시골로 내려온 서울, 서울로 오르지 못한 시골" 한국시조학회 (26) : 77-, 2007

      15 이상보, "선석의 시가" 서울대문리사범대학 2 : 1961

      16 윤덕진, "선석 신계영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7 변광배, "사르트르 평전" 을유문화사 253-, 2009

      18 신영명, "사대부 시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6

      19 김재희, "물질과 기억" 살림출판사 31-, 2008

      20 김종회, "문학비평용어사전(하)" 국학자료원 2006

      21 김병욱, "딜타이 시학" 예림기획 128-, 1998

      22 알레이드 애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 출판부 80-, 2003

      23 몸문화연구소, "기억과 몸" 건국대학교 출판부 81-, 2008

      24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25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동문선 84-, 2003

      26 고정희, "고전시가와 문체의 시학" 월인 153-, 2004

      27 염은열, "고전문학과 표현교육론" 역락 75-, 2000

      28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48-, 2003

      29 에드문드 후설, "경험과 판단" 민음사 259-, 2009

      30 안혜진, "강호가사의 변모 과정 연구 : 누정계와 초당계 가사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1 김종관, "가사와 시조의 상보적 관계 연구-전원사시가와 월선헌십육경가의 경우-" 한국문학회 66 : 282-, 1966

      32 박연호, "<월선헌십육경가>의 공간 특성과 그 의미" 개신어문학회 25 : 81-, 2007

      33 김명준, "<월선헌십육경가>에 나타난 의식 지향, In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56-, 2002

      34 안혜진, "18세기 향촌사족 가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5 이상원, "17세기 시조사의 구도" 월인 88-, 2000

      36 이상원, "17세기 시가사의 시각, In 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 보고사 67-, 2004

      37 신영명, "17세기 강호시가에 나타난 ‘전원’과 ‘전가’의 형상" 한국시가학회 6 : 156-, 2000

      38 김명준, "16․17세기 강호가사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In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343-35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1.206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