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중 간 정책 동조화가 구조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인 만큼, 비핵화 로드맵, 스냅백을 조건으로 한 대북제재 해제, 북한의 제재 우회 방지 노력 등 현안에 문제를 다루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중 간 정책 동조화가 구조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인 만큼, 비핵화 로드맵, 스냅백을 조건으로 한 대북제재 해제, 북한의 제재 우회 방지 노력 등 현안에 문제를 다루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중 간 정책 동조화가 구조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인 만큼, 비핵화 로드맵, 스냅백을 조건으로 한 대북제재 해제, 북한의 제재 우회 방지 노력 등
현안에 문제를 다루는 양국 실무진을 대상으로 한 접근 필요
미중간 전략적 경쟁의 전개 추이를 면밀하게 관찰하며, 한미동맹의 틀 내에서 최대한의 전략적 자율성을 추구해야 함
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중 양국의 현상유지 선호 경향은 ICBM 발사 등 미국이 설정한 레드라인을 넘는 북한의 도발행위에 의해 깨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리 정부의 적극적 위험관리가 필요함.
2021년 11월 25일 현재, 한미 양국은 종전선언의 구체적 문안을 두고 한미 협상 중이나 정전협정 체제에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정치적 ' 성격이 강조될 경우
북한의 수용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근본적 딜레마 존재
따라서, 종전선언의 필요성 및 대략적 형식 내용에 관해 한미 간 합의가 이루어 지더라도, 문재인 대통령 임기내에 남북미중을 당사자로 하는 종전선언의 성사를
낙관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종전선언은 북한을 비핵화 협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유효한 정책 중 하나이며,
차기 행정부가 임기 초기부터 이러한 정책적 노력을 승계하기 위한 여러 준비 작업이 필요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