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益齋 李齊賢의 東國關聯 詩 創作과 意圖 = Creation of ‘Dong-kuk Poetry' in Late Goryeo and the Intention of Ikj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9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ry intellectuals (Munin) described the history of Dong-kuk (the eastern country) and the greatness of the founders of Dong-kuk in their literary works. Ikjae, Gajung, Mogeun were the leaders of this trend because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in Won for a great deal of time Among them, Ikjae was the head supreme of all fields, including policy, literature, etc. Ikjae tried to create a new tradition of writing Dong-kuk poetry, which content dealing mainly with Dong-kuk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breaking established pattern of Hansi, which dealt with mainly Chinese history and people. Ikjae developed a model of writing poems with themes chosen from historical facts that would be then passed down to descendents. The poetic forms he employed included such formas as, Geunchesi, Gochesi, and Yue-fu.
      Dong-kuk's ancient history was included in Geunchesi. The most popular form of poetry was a seven-line style of Chinese poetry. There were also five-line of Chinese poems and five-line styles of chines verse. Five-line style of chines verse was used to describe Dong-kuk's nature and culture. Gochesi dealt with Dong-kuk's people and historical relics. Ikjae modelled after Choihae who had distinct talents but did not fully utilize his ability. Choihae's lif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described in detail. Goryoe's folk songs and ballads were subject matters when 'Soakbu' was created. Geubam and Mogeun responded to those models Ikjae created.
      They tried to follow Ikjae's model sincerely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ir work owing to personal traits and abilities. Poetry describing Dong-kuk's history, culture and people was later taken up by Mogeun, and this influenced to other literary intellectual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번역하기

      Literary intellectuals (Munin) described the history of Dong-kuk (the eastern country) and the greatness of the founders of Dong-kuk in their literary works. Ikjae, Gajung, Mogeun were the leaders of this trend because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

      Literary intellectuals (Munin) described the history of Dong-kuk (the eastern country) and the greatness of the founders of Dong-kuk in their literary works. Ikjae, Gajung, Mogeun were the leaders of this trend because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in Won for a great deal of time Among them, Ikjae was the head supreme of all fields, including policy, literature, etc. Ikjae tried to create a new tradition of writing Dong-kuk poetry, which content dealing mainly with Dong-kuk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breaking established pattern of Hansi, which dealt with mainly Chinese history and people. Ikjae developed a model of writing poems with themes chosen from historical facts that would be then passed down to descendents. The poetic forms he employed included such formas as, Geunchesi, Gochesi, and Yue-fu.
      Dong-kuk's ancient history was included in Geunchesi. The most popular form of poetry was a seven-line style of Chinese poetry. There were also five-line of Chinese poems and five-line styles of chines verse. Five-line style of chines verse was used to describe Dong-kuk's nature and culture. Gochesi dealt with Dong-kuk's people and historical relics. Ikjae modelled after Choihae who had distinct talents but did not fully utilize his ability. Choihae's lif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described in detail. Goryoe's folk songs and ballads were subject matters when 'Soakbu' was created. Geubam and Mogeun responded to those models Ikjae created.
      They tried to follow Ikjae's model sincerely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ir work owing to personal traits and abilities. Poetry describing Dong-kuk's history, culture and people was later taken up by Mogeun, and this influenced to other literary intellectual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益齋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려 사회에서의 비중을 자각하고, 中國의 歷史와 人物, 故事 등을 중심으로 창작되던 기존 漢詩의 定型에서 벗어나 東國의 歷史와 文化, 人物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는 東國詩 창작의 새로운 傳統을 만들고자 하였다. 益齋는 먼저 後代에 길이 남겨질 만한 내용의 고사를 뽑아 그것을 素材로 詩를 창작하는 模型을 개발하였다. 여기에는 近體詩, 古體詩, 樂府詩 등 모든 詩體를 網羅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小樂府의 창작시기가 1358년 여름이라는 것을 밝혔다. 익재가 제시한 이러한 모형들은 及菴과 牧隱에 의해 그대로 和答이 되었다. 이들은 개인적인 취향과 능력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익재의 모형을 충실하게 따르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東國의 歷史와 文化, 人物 등을 담고 있는 시는 牧隱에 의해 가장 충실하게 이어졌으며, 이는 다시 麗末鮮初의 餘他 文人들에게 이어질 수 있었다.
      번역하기

      益齋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려 사회에서의 비중을 자각하고, 中國의 歷史와 人物, 故事 등을 중심으로 창작되던 기존 漢詩의 定型에서 벗어나 東國의 歷史와 文化, 人物을 주요 내용으로 ...

      益齋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려 사회에서의 비중을 자각하고, 中國의 歷史와 人物, 故事 등을 중심으로 창작되던 기존 漢詩의 定型에서 벗어나 東國의 歷史와 文化, 人物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는 東國詩 창작의 새로운 傳統을 만들고자 하였다. 益齋는 먼저 後代에 길이 남겨질 만한 내용의 고사를 뽑아 그것을 素材로 詩를 창작하는 模型을 개발하였다. 여기에는 近體詩, 古體詩, 樂府詩 등 모든 詩體를 網羅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小樂府의 창작시기가 1358년 여름이라는 것을 밝혔다. 익재가 제시한 이러한 모형들은 及菴과 牧隱에 의해 그대로 和答이 되었다. 이들은 개인적인 취향과 능력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익재의 모형을 충실하게 따르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東國의 歷史와 文化, 人物 등을 담고 있는 시는 牧隱에 의해 가장 충실하게 이어졌으며, 이는 다시 麗末鮮初의 餘他 文人들에게 이어질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규, "李齊賢·閔思平의 小樂府에 關한 硏究" 한국한문학회 18 : 1995

      2 임주탁, "李齊賢 小樂府의 製作時期"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28 : 355-374, 2003

      3 韓脩, "柳巷詩集"

      4 安炳國, "초당 사걸 가행시 연구" 13 : 1-, 1985

      5 서수생, "익재소악부의 연구 in: 고려가요연구" 백문사 1979

      6 성호경, "익재 소악부와 급암 소악부의 제작시기에 대하여 in: 한국학보" 일지사 61-, 1990

      7 金乾坤, "이제현의 삶과 문학" 이회 1997

      8 權近, "陽村集"

      9 楊維楨, "鐵雅先生復古詩集"

      10 李齊賢, "益齋亂藁"

      1 박현규, "李齊賢·閔思平의 小樂府에 關한 硏究" 한국한문학회 18 : 1995

      2 임주탁, "李齊賢 小樂府의 製作時期"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28 : 355-374, 2003

      3 韓脩, "柳巷詩集"

      4 安炳國, "초당 사걸 가행시 연구" 13 : 1-, 1985

      5 서수생, "익재소악부의 연구 in: 고려가요연구" 백문사 1979

      6 성호경, "익재 소악부와 급암 소악부의 제작시기에 대하여 in: 한국학보" 일지사 61-, 1990

      7 金乾坤, "이제현의 삶과 문학" 이회 1997

      8 權近, "陽村集"

      9 楊維楨, "鐵雅先生復古詩集"

      10 李齊賢, "益齋亂藁"

      11 李穡, "牧隱集"

      12 어강석, "牧隱 詩에 나타난 東人意識과 그 樣相" 한국학중앙연구원 28 (28): 331-358, 2005

      13 成範重, "東國四詠의 淵源과 傳統" 韓國漢詩學會 4 : 289-321, 1996

      14 韓榮奎, "崔瀣의 詩文學과 選詩意識" 성대 1992

      15 鄭樞, "圓齋集"

      16 閔思平, "及菴先生詩集"

      17 劉大杰, "中國文學發展史" 上海古籍出版社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