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 죽일 놈의 사랑” : 발라드의 성정치학 = “This Damn Love”: Sexual Politics of Balla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중음악에서 사랑이야기는 흔한 주제이지만,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 중 오직 사랑이야기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발라드는 독특한 장르이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주로 남성(적) 화자에 의한 사랑노래, 서정적인 선율, 화려한 화성과 반주 그리고 극적인 절정부`라는 장르적 전형을 완성한 발라드가 특히 1990년대 후반을 경과하며 격정적으로 강화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이 격정화의 특징은 첫째 음악적 내러티브 측면에서 수잔 맥클러리가 칭한 `서정적 절박성`이 더욱 고도화되어 가는 방식, 둘째 가사 (및 이미지)의 내러티브 측면에서 타자의 죽음이나 삭제를 통해 화자의 슬픔, 좌절, 고통을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발라드의 격정화와 그 서정적 절박성은 낭만적 사랑 이념의 성립 및 위기, 그리고 남성성과의 관계 속에서 서술된다.
      번역하기

      대중음악에서 사랑이야기는 흔한 주제이지만,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 중 오직 사랑이야기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발라드는 독특한 장르이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주로 남성(적) 화자에 의한 사...

      대중음악에서 사랑이야기는 흔한 주제이지만,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 중 오직 사랑이야기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발라드는 독특한 장르이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주로 남성(적) 화자에 의한 사랑노래, 서정적인 선율, 화려한 화성과 반주 그리고 극적인 절정부`라는 장르적 전형을 완성한 발라드가 특히 1990년대 후반을 경과하며 격정적으로 강화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이 격정화의 특징은 첫째 음악적 내러티브 측면에서 수잔 맥클러리가 칭한 `서정적 절박성`이 더욱 고도화되어 가는 방식, 둘째 가사 (및 이미지)의 내러티브 측면에서 타자의 죽음이나 삭제를 통해 화자의 슬픔, 좌절, 고통을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발라드의 격정화와 그 서정적 절박성은 낭만적 사랑 이념의 성립 및 위기, 그리고 남성성과의 관계 속에서 서술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popular music, love story is a common theme, but ballad is a unique genre in that it deals only with love stories among various popular genres of music. Particular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the ballad, which completed in the 1980s a genre typology of love songs by mainly male narrators, lyrical melodies, brilliant harmonies and accompaniments, and dramatic climax, is fervently intensified by the late 1990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ervent ballad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usical narrative, “lyric urgency” by Susan McClary becomes more sophisticated. Secondly, in the narrative aspect of the lyrics (and images), the grief, frustration, and pain of the masculine speaker are strengthened through death or deletion of the other. In this paper, the emotional urgency of this fervent ballad and its lyric urgency are described in the perplexing of the ideation of romantic love and its crisis on the one hand, establishment and identification of maleness on the other hand.
      번역하기

      In popular music, love story is a common theme, but ballad is a unique genre in that it deals only with love stories among various popular genres of music. Particular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the ballad, which completed in the 19...

      In popular music, love story is a common theme, but ballad is a unique genre in that it deals only with love stories among various popular genres of music. Particular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the ballad, which completed in the 1980s a genre typology of love songs by mainly male narrators, lyrical melodies, brilliant harmonies and accompaniments, and dramatic climax, is fervently intensified by the late 1990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ervent ballad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usical narrative, “lyric urgency” by Susan McClary becomes more sophisticated. Secondly, in the narrative aspect of the lyrics (and images), the grief, frustration, and pain of the masculine speaker are strengthened through death or deletion of the other. In this paper, the emotional urgency of this fervent ballad and its lyric urgency are described in the perplexing of the ideation of romantic love and its crisis on the one hand, establishment and identification of maleness on the other han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