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림평화와 남북 산림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30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림이 인류평화에 미칠 영향과 국내외 산림 관계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정책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남북 평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산림평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남북의 산림정책 및 교류협력 역사와 그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남북 산림교류의 필요성과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산림평화는 산림과 관련된 정책, 녹화 및 복원사업, 경영, 교육, 국제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국가와 국가, 집단과 집단, 개인과 개인 그리고 세대와 세대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를 실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생태적 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이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삶을 지향하며,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산림교류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평화에 기여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평화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은 분단 이후 산림황폐가 심화되었으나, 치산녹화 정책의 성공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토 녹화를 달성하였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을 지향해 가고 있다. 반면 북한은 사회주의적 체제하에서 경제 악화로 산림의 황폐화가 심각하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산림녹화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의 산림복구를 지원한다면, 한반도의 생태계 보전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산림은 비정치적 영역으로 남북협력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다.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국민인식에 대한 설문 분석결과, 남북산림협력은 정부 특히 산림청 주도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민간단체 차원의 참여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은 국가 차원의 인력 동원, 전 국민적인 조림 참여, 대통령의 결단력 있는 지도, 산림관리 기구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의 산림 파괴가 한국에 기후적, 생태적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산림교류 협력이 남북 간 긴장 완화 및 평화적 관계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끝으로 산림평화를 구현하기 위한 남북산림교류협력의 발전방안으로 한국의 일방적인 지원 구조가 아닌 북한의 능동적 역할과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북한의 군사적 위협 해소 및 남북 간 긴장 완화가 전제될 때 원활한 남북산림협력이 수행될 수 있고, 국제사회의 차원에서 민간기구의 참여를 통해 북한에 대한 산림복구 지원이 필요하며, 상생과 상호이익의 실현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산림이 인류평화에 미칠 영향과 국내외 산림 관계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정책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남북 평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산림이 인류평화에 미칠 영향과 국내외 산림 관계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정책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남북 평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산림평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남북의 산림정책 및 교류협력 역사와 그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남북 산림교류의 필요성과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산림평화는 산림과 관련된 정책, 녹화 및 복원사업, 경영, 교육, 국제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국가와 국가, 집단과 집단, 개인과 개인 그리고 세대와 세대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를 실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생태적 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이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삶을 지향하며,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산림교류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평화에 기여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평화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은 분단 이후 산림황폐가 심화되었으나, 치산녹화 정책의 성공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토 녹화를 달성하였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을 지향해 가고 있다. 반면 북한은 사회주의적 체제하에서 경제 악화로 산림의 황폐화가 심각하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산림녹화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의 산림복구를 지원한다면, 한반도의 생태계 보전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산림은 비정치적 영역으로 남북협력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다.
      남북산림교류협력에 대한 국민인식에 대한 설문 분석결과, 남북산림협력은 정부 특히 산림청 주도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민간단체 차원의 참여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은 국가 차원의 인력 동원, 전 국민적인 조림 참여, 대통령의 결단력 있는 지도, 산림관리 기구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의 산림 파괴가 한국에 기후적, 생태적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산림교류 협력이 남북 간 긴장 완화 및 평화적 관계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끝으로 산림평화를 구현하기 위한 남북산림교류협력의 발전방안으로 한국의 일방적인 지원 구조가 아닌 북한의 능동적 역할과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북한의 군사적 위협 해소 및 남북 간 긴장 완화가 전제될 때 원활한 남북산림협력이 수행될 수 있고, 국제사회의 차원에서 민간기구의 참여를 통해 북한에 대한 산림복구 지원이 필요하며, 상생과 상호이익의 실현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inter-Korean peace by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on future bilateral forest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impact of forests on global human peace. For this purpose, the new academic concept of forest peace was coined; the process of forest policies and the history of the bilateral forest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re reviewed; and the public's perception of inter-Korean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analyzed through a comprehensive forest-related questionnaire.
      Forest peace is intended not only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man and nature, but also to overcome international strifes, individual conflicts, group conflicts, and generation conflicts. The ultimate object of forest peace is to realize peace and reconciliation on all levels of global life through forest-related policies, reforestation, restoration projects, management, education,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Forest peace is very concerned about ecological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est peace is to ensure a peaceful life in which humans and nature coexist harmoniously, and it can contribute not onl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o global peace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forest sectors. Also forest peac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world peace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South Korea has achieved the most successful forest reforestation wit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which draws special attentions from the world, although forest got devastated during the Korean war and had deteriorated to a large extent since the South-North division of Korea.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 under the communist system, the economic difficulties led to serious deterioration of forests. Therefore, if we support North Korea's forest restoration with South Korea's forestation technology and experience, we can contribute to preserving the Korean Peninsula's ecosystem and to realizing carbon neutrality. In addition, since forest is a non-political area, inter-Korean cooperation will bring both mutual trust and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survey analysis of public awareness of inter-Korean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demonstrates that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cooperation system led by the government, especially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ith participation at the level of private organizations. The significant factors of Korea’s successful reforestation were as follows: the mobilization of manpower at the national level, nationwide participation in reforestation, the president's decisive leadership, and the expansion of forest management organizations. In addition, most Korean people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that North Korea’s deforestation has had a climatic and ecologic impact on South Korea, and they recognize that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would contribute to restoring stable climate and eco-system and to developing peaceful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Lastly, it is quite urgent to develop inter-Korean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but North Korea’s active role and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South Korea’s unilateral support. In addition,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can be carried out with little difficulty on the premise of resolving North Korea's military threat and ten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est restoration support for North Korea needs the constru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evel.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inter-Korean peace by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on future bilateral forest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impact of forests on global human peace. For this purpose, the new academic conce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inter-Korean peace by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on future bilateral forest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impact of forests on global human peace. For this purpose, the new academic concept of forest peace was coined; the process of forest policies and the history of the bilateral forest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re reviewed; and the public's perception of inter-Korean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was analyzed through a comprehensive forest-related questionnaire.
      Forest peace is intended not only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man and nature, but also to overcome international strifes, individual conflicts, group conflicts, and generation conflicts. The ultimate object of forest peace is to realize peace and reconciliation on all levels of global life through forest-related policies, reforestation, restoration projects, management, education,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Forest peace is very concerned about ecological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est peace is to ensure a peaceful life in which humans and nature coexist harmoniously, and it can contribute not only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o global peace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forest sectors. Also forest peac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world peace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South Korea has achieved the most successful forest reforestation wit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which draws special attentions from the world, although forest got devastated during the Korean war and had deteriorated to a large extent since the South-North division of Korea.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 under the communist system, the economic difficulties led to serious deterioration of forests. Therefore, if we support North Korea's forest restoration with South Korea's forestation technology and experience, we can contribute to preserving the Korean Peninsula's ecosystem and to realizing carbon neutrality. In addition, since forest is a non-political area, inter-Korean cooperation will bring both mutual trust and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survey analysis of public awareness of inter-Korean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demonstrates that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cooperation system led by the government, especially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ith participation at the level of private organizations. The significant factors of Korea’s successful reforestation were as follows: the mobilization of manpower at the national level, nationwide participation in reforestation, the president's decisive leadership, and the expansion of forest management organizations. In addition, most Korean people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that North Korea’s deforestation has had a climatic and ecologic impact on South Korea, and they recognize that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would contribute to restoring stable climate and eco-system and to developing peaceful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Lastly, it is quite urgent to develop inter-Korean forest exchange and cooperation, but North Korea’s active role and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South Korea’s unilateral support. In addition,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can be carried out with little difficulty on the premise of resolving North Korea's military threat and ten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est restoration support for North Korea needs the constru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방법 4
      • 3. 연구 동향 6
      • II. 산림평화의 이론과 실천 15
      • I.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방법 4
      • 3. 연구 동향 6
      • II. 산림평화의 이론과 실천 15
      • 1. 산림평화의 이론 15
      • 2. 산림평화의 실천과 협력 25
      • III. 분단 이후 남북 산림정책과 산림교류협력 과정 37
      • 1. 남북 산림정책의 전개과정 및 산림현황 37
      • 2. 남북 산림정책의 성과 및 시사점 55
      • 3. 남북 산림교류협력의 진행과정 59
      • 4. 남북 산림교류협력의 성과 및 문제점 71
      • IV. 산림평화를 위한 남북 산림교류협력에 대한 인식 분석 73
      • 1. 응답자 일반 현황 73
      • 2. 한국의 산림녹화사업에 관한 사항 74
      • 3. 남북의 산림분야 교류협력에 관한 사항 79
      • 4. 북한의 산림녹화협력에 관한 사항 91
      • 5. 남북관계의 개선 및 장래 남북통일에 관한 사항 102
      • 6. 남북의 산림교류 협력에 관한 IPA분석 111
      • V. 산림평화를 위한 남북산림교류협력 발전방안 116
      • 1. 남북 산림교류협력에 대한 인식분석을 통한 시사점 116
      • 2. 산림평화 실천을 위한 남북협력방안 118
      • 3. 산림교류협력을 위한 조직 및 협력 강화방안 119
      • 4. 북한의 산림황폐지 복구지원방안 122
      • 5. 국제사회참여 및 교류협력 확대방안 125
      • VI. 결론 및 제언 128
      • 인용문헌 132
      • 부록 139
      • Abstract 1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