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 대상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Futur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in Schools: Focusing on Media Education Programs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65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미디어교육을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교 미디어교육 관계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창의적 체...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미디어교육을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교 미디어교육 관계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은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과 인재상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 자원의 미비 및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문제, 그리고 학교 교육으로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 지닌 현실적인 제약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제도가 학교미디어교육의 기반으로서 그 의의와 중요성이 공유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은 의미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한편,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교사 및 미디어교육 강사가 제시한 교육적 의의와는 달리 학생들은 실제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결국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 미디어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요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환경의 변화에 진정으로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교육은 물론 미디어교육의 틀을 넘어서는 실험이 요구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새로운 교육적 시도와 실험의 장으로서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dia education practice which takes place in schools as part of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s in schools. Based on experts’ opinions, this study shows ...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dia education practice which takes place in schools as part of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s in schools. Based on experts’ opinions, this study shows that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has potential to nurture students into creative talents that the digital era requires. Despite of its limits caused by the lack of resources and social recogni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restri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s perceiv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amongst educators and experts. However, different from experts’ positive opinions, stu-dents we interviewed made negative comments about media education programs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thorough consideration of students’ wants and need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n schools. Furthermore, for the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it needs to transcend the boundary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existing media education practice. This study concludes that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can provide media educators with a space to try out new media education program and explore its new possib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우, "한국의 미디어 교육: 현황과쟁점"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 정창우,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활성화 방안" 교육부 2013

      3 김효숙,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소 6 (6): 20-38, 2012

      4 김선영,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반영된 창의·인성 요소의 분석" 경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2014

      5 오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 및 휴대전화 중독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25-44, 2009

      6 김현철,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촉진하는 학교 내외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5-33, 2013

      7 조영남,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35-256, 2012

      8 조대훈,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연구학교의 운영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09-122, 2012

      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 인성교육 기본방향" 교육과학기술부 2010

      10 김은규, "지역사회 초․중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미디어교육 실천방안 연구 -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강사들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200-239, 2012

      1 박진우, "한국의 미디어 교육: 현황과쟁점"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 정창우,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활성화 방안" 교육부 2013

      3 김효숙,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소 6 (6): 20-38, 2012

      4 김선영,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반영된 창의·인성 요소의 분석" 경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2014

      5 오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 및 휴대전화 중독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25-44, 2009

      6 김현철,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촉진하는 학교 내외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5-33, 2013

      7 조영남,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35-256, 2012

      8 조대훈,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연구학교의 운영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09-122, 2012

      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 인성교육 기본방향" 교육과학기술부 2010

      10 김은규, "지역사회 초․중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미디어교육 실천방안 연구 - 방과후학교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강사들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200-239, 2012

      11 성은모, "자유학기제 도입과 청소년 체험활동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12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안)" 교육과학기술부 2011

      13 권성호,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 Jenkins의‘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1 (1): 65-82, 2011

      14 안정임, "서사분석을 통해 본 미디어교육 교재의 미디어교육 인식구조" 한국방송학회 (67) : 169-199, 2008

      15 김양은, "미디어제작수업의 창의성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 및 창의적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459-477, 2014

      16 김양은, "미디어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7 김양은,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427-450, 2005

      18 전경란,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쟁점과 과제: 다문화 미디어교육 교재분석을중심으로" 7 (7): 7-42, 2011

      19 정현선, "‘도구’ 활용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교수 ·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와 제언" 한국어교육학회 (140) : 509-544, 2013

      20 Scheibe, C., "The Teacher’s Guide to Media Literacy: Critical Thinking in a Multimedia World" Corwin Press 2011

      21 Carr, N., "The Shallows : What the Internet in Doing to our Brains" W. W. Norton & Company 2010

      22 Buckingham, D., "The Media Literacy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fcom 2005

      23 Davidson, C., "The Future of Thinking : Learning Institution in a Digital Age" MIT Press 2010

      24 EU, "The European Refernce Framework for Key Competences" L394-, 2006

      25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s"

      26 Thompson, Clive, "Smarter than You Think: How Technology is Changing Our Minds for the Better" Penguin Press 2013

      27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Remaining Citizenship for the 21st Century:A Call to Action for Policymakers and Educators"

      28 Rheingold, H., "Net Smart : How to Thrive Online" MIT Press 2012

      29 Buckingham, D., "Media Education :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Polity Press 2003

      30 Nguyen, N. T., "Inconsistency of Knowledg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39 : 542-562, 2008

      31 Erstad, O., "Identity, Community, and Learning Lives in the Digital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2 Weinberger, D., "Everything is Miscellaneous : The Power of the New Digital Disorder" Henry Holt and Company 2007

      33 Jenkins, H., "Convergence Culture :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34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MIT Press 2009

      35 Sim, J., "Collecting and Analysing Qualitative Data: Issues Raised by the Focus Group" 28 (28): 345-352, 1998

      36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A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37 김양은,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미디어 제작ㆍ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38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 매체 이용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3

      39 황용석, "2013 예술강사 지원사업 미디어아트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40 박한숙,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17-43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