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식품 시료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DPPH(α,α¹-diphenyl-β-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16S r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117572
2003
Korean
470
KCI등재,SCIE,SCOPUS
학술저널
165-170(6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발효식품 시료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DPPH(α,α¹-diphenyl-β-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16S rR...
발효식품 시료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DPPH(α,α¹-diphenyl-β-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16S rRNA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sp.으로 판명되어 FF-7로 명명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법에 의한 Bacillus sp. FF-7이 생산하는 항산화물질의 최적 생산 배지조건은 탄소원 2% galactose와 질소원 1% tryptone 첨가였다. Bacillus sp. FF-7에 의해 생성된 항산화 물질의 활성을 DPPH 전자공여능,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 및 linoleic acid 과 산화지질 실험계에서 malondialdehyde를 thiobarbituric acid(TB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뇌(97.50%)>심장(79.95%)>신장(77.84%)>비장(77.47%)>고환(69.96%)>간장(62.45%) 순이였다. Linoleic acid의 과산화지질률 TBA법으로 측정한 결과 반응 4일째까지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대조구로 사용한 0.05% BHT 첨가구에서도 실험종료시까지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ntioxidative substances produced from several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were tested by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e of the strains showing the high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ntioxidative substances produced from several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were tested by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e of the strains showing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was identified as Bacillus sp. based on the morphological, biochemic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165 rRNA sequence, and named FF-7. The molt optimal medium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 from Bacillus sp. FF-7 was 2% galactose as carbon source and 1% tryptone as nitrogen source. The antioxidative substance produced from FF-7 in these cultural medium was also tested by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the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the peroxidation of rat tissues microsomes by using thiobarbituric acid (TBA) for assay of free rnalondialdehyde production. The antioxidative avtivity against lipid peroxidation of rat tissues microsomes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brain 97.50% > heart 79.95% > kidney 77.84% > spleen 77.47% > testis 69.96% > liver 62.45%. The antioxidative substance produced from FF-7 on linoleic acid peroxidation by TBA method was effectively inhibited during four days, and 0.05% BHT(butylated hydroxytoluene) used comparative control was also effectively inhibited.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by DPPH method of antioxidative substance produced from Bacillus sp. FF-7 was obtained by supplementing 2% galactose as carbon source and 1% tryptone as nitrogen source in cultured medium, this substance effective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TBARS in brain microsome in vitro system and in linoleic acid peroxidation.
정량적인 구조-활성상관(QSAR) 기법에 의한 새로운 농약의 개발
과량 생산된 대장균 chitin 분해효소의 정제 및 특성 조사
한국재래간장 발효균 Bacillus subutilis K7 유래의 혈전용해 Protease의 정제 및 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2010-05-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21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3 | 0.42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