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여성학과 지역 여성주의의 모색 = 경남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3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여성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여성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반영한 이론적 관점이 필요하다. 이 글은 지역여성 연구의 위상을 살펴보고 지역 여성주의 관점의 중요성과 특성을 논하고 경남지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앙과 지역의 이분법을 지양하고 여성주의의 차이와 다양성, 지역의 주체성, 역동성을 한국여성학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경남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접근함으로써 지역여성주의의 모색가능성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 여성주의의 중앙과 지역의 관계는 불균등 발전을 해 왔다. 그러나 이를 단순히 이분법(발전/비발전)으로 볼 것이 아니라 중층적으로 보면서 지역여성의 경험을 주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지역 여성주의는 중앙의 시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규정되었던 지역에서 벗어나 지역내부, 지역적 차원에서 여성경험의 특성과 지역여성의 다양성과 다층성, 주체성에 관심을 두고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학과 지역여성운동이 어떻게 연대하고 소통할 것인지, 지역여성의 경험을 드러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연구자들간의 학문공동체 네트워크는 어떻게 가능한지 등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한국여성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여성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여성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반영한 이론적 관점이 필요하다. 이 글은 지역여성 연구의 위상을 살펴보고 지역 여성주의 관점의 중요성과 특...

      한국여성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여성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반영한 이론적 관점이 필요하다. 이 글은 지역여성 연구의 위상을 살펴보고 지역 여성주의 관점의 중요성과 특성을 논하고 경남지역 여성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중앙과 지역의 이분법을 지양하고 여성주의의 차이와 다양성, 지역의 주체성, 역동성을 한국여성학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경남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접근함으로써 지역여성주의의 모색가능성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 여성주의의 중앙과 지역의 관계는 불균등 발전을 해 왔다. 그러나 이를 단순히 이분법(발전/비발전)으로 볼 것이 아니라 중층적으로 보면서 지역여성의 경험을 주체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지역 여성주의는 중앙의 시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규정되었던 지역에서 벗어나 지역내부, 지역적 차원에서 여성경험의 특성과 지역여성의 다양성과 다층성, 주체성에 관심을 두고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학과 지역여성운동이 어떻게 연대하고 소통할 것인지, 지역여성의 경험을 드러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연구자들간의 학문공동체 네트워크는 어떻게 가능한지 등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한국여성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tention to local women’s realities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or local women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the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udies about local women and to look at the activities of women’s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at a local feminist point of view in order to show the local women’s realities.
      This paper tried to deal with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regional identity, dynamic aspects of local area rather than the dichotomy between development and non-developmen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tudies of local women’s realities.
      The local feminism are interested in the local women who differently experienced in the locational context of spaces. In contrast to the universalizing and homogenizing notion of feminism, this notion of local feminism emphasizes the specificities and multiple natures of women’s realities in local area.
      The local feminist point of view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So we should consider the ways such as research networks among academic community, communications between the women’s movement and women’s studies and the effective approaches to reveal the experience of local women.
      번역하기

      Attention to local women’s realities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or local women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the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udies about local women...

      Attention to local women’s realities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or local women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the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udies about local women and to look at the activities of women’s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at a local feminist point of view in order to show the local women’s realities.
      This paper tried to deal with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regional identity, dynamic aspects of local area rather than the dichotomy between development and non-development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tudies of local women’s realities.
      The local feminism are interested in the local women who differently experienced in the locational context of spaces. In contrast to the universalizing and homogenizing notion of feminism, this notion of local feminism emphasizes the specificities and multiple natures of women’s realities in local area.
      The local feminist point of view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men’s studies in South Korea. So we should consider the ways such as research networks among academic community, communications between the women’s movement and women’s studies and the effective approaches to reveal the experience of local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한국여성학과 지역여성
      • 3.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
      • 4.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과 경남지역 여성운동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한국여성학과 지역여성
      • 3.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
      • 4. 지역 여성주의의 관점과 경남지역 여성운동
      • 5. 지역 여성주의의 모색과 한국여성학의 과제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숙, "한국여성학의 발전과 지역 여성주의: 경남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In 한국여성학 30+: 여성주의의 발전과 불균등성" 2014

      2 조주현, "한국여성학 지식생산구조와 향방: 한국여성학을 중심으로" 16 (16): 199-232, 2000

      3 김영선, "한국여성학 제도화의 전사기(1960~70년대) 지식생산의 동학 : 장소∙사람∙프로젝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117-142, 2013

      4 이혜숙,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다산출판사 141-151, 2013

      5 전경옥, "한국근현대여성사: 정치·사회 3" 모티브북 2011

      6 김미덕, "한국 페미니즘이 서구 중심적이라는 비판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5.18연구소 12 (12): 211-259, 2012

      7 이혜숙, "한국 여성학 지식의 사회적 형성: 지적 식민성 논의를 넘어서" 45 (45): 172-197, 2000

      8 김영선, "한국 여성학 제도화의 궤적과 과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323-350, 2010

      9 허성우, "한국 여성학 ‘위기담론’의 재구성:여성활동가 대학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41-74, 2013

      10 황정미, "한국 여성운동의 의제와 성찰성" 영미문학연구회 21 (21): 10-39, 2006

      1 이혜숙, "한국여성학의 발전과 지역 여성주의: 경남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In 한국여성학 30+: 여성주의의 발전과 불균등성" 2014

      2 조주현, "한국여성학 지식생산구조와 향방: 한국여성학을 중심으로" 16 (16): 199-232, 2000

      3 김영선, "한국여성학 제도화의 전사기(1960~70년대) 지식생산의 동학 : 장소∙사람∙프로젝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117-142, 2013

      4 이혜숙,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다산출판사 141-151, 2013

      5 전경옥, "한국근현대여성사: 정치·사회 3" 모티브북 2011

      6 김미덕, "한국 페미니즘이 서구 중심적이라는 비판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5.18연구소 12 (12): 211-259, 2012

      7 이혜숙, "한국 여성학 지식의 사회적 형성: 지적 식민성 논의를 넘어서" 45 (45): 172-197, 2000

      8 김영선, "한국 여성학 제도화의 궤적과 과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323-350, 2010

      9 허성우, "한국 여성학 ‘위기담론’의 재구성:여성활동가 대학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41-74, 2013

      10 황정미, "한국 여성운동의 의제와 성찰성" 영미문학연구회 21 (21): 10-39, 2006

      11 이나영, "한국 ‘여성학’의 위치성: 미완의 제도화와 기회구조의 변화" 한국여성학회 27 (27): 37-81, 2011

      12 김승경, "학제간 학문으로서의 여성학: 여성학(과)의 정체성 및 제도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35-76, 2006

      13 이혜숙, "학술마당을 열며”, 이화여대 여성학과. In 여성학, 돌(아)보다" 2013

      14 허성우, "포스트 민주화 시기 한국 여성운동의 재지도화,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재구성: 지역, 국가, 지구적 수준의 분석" 고려대학교 2006

      15 이상화, "페미니즘과 차이의 정치학" 38 : 181-196, 1998

      16 윤혜린, "토착성에 기반한 아시아 여성주의 연구 시론" 한국여성연구원 27 (27): 3-36, 2010

      17 박기남, "차이의 페미니즘의 실천적 모색: 강원지역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16 : 109-130, 2011

      18 윤택림, "질적 연구 방법과 젠더:여성주의 문화기술지(feminist ethnography)의 정립을 향하여" 한국여성학회 18 (18): 201-229, 2002

      19 조옥, "지역화폐운동, 여성주의와 만나다: 한밭레츠의 경험 바라보기. In 여성학, 돌(아)보다" 2013

      20 서해숙, "지역여성주의 시각에서 살펴 본 민속문화의 전통과 변화" 한국민속학회 57 : 205-236, 2013

      21 허성우, "지역여성운동의 현실과 지역사회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14) : 271-288, 2000

      22 이혜숙,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세력화의 전망 : 경남여성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8 (28): 39-83, 2012

      23 김혜경, "지역여성운동의 성격연구: 경기도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3 : 197-226, 1999

      24 황영주, "지역여성국제교류: 여성연대성의 실현"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323-341, 2006

      25 주경미, "지역에서 소통하기 어려운 이유들. In 여성학, 돌(아)보다" 2013

      26 고정갑희, "지역, 액티비즘, 페미니즘: 페미니즘에 기반한 지구지역 액티비즘" 19 (19): 7-31, 2009

      27 허성우, "지역 여성현실과 한국여성운동의 새국면" 16 (16): 15-42, 1998

      28 이혜숙, "지방자치와 지역여성의 전망: 지역여성운동과 지역여성정책의 동학" 집문당 2012

      29 김희경, "지방자치와 지역여성운동. In 지구화, 지방화 시대의 지역여성과 여성운동" 2009

      30 허성우, "지구화와 지역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 한국여성학회 22 (22): 169-198, 2006

      31 이상화, "지구화시대의 현장 여성주의: 차이의 존재론과 공간성의 사유" 4 : 79-141, 2004

      32 이혜숙, "지구화‧지방화 시대 지역여성운동과 여성연대의 전망 - 경남여성단체연합의 연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18 (18): 39-81, 2013

      33 김정희, "지구화 시대의 현장 여성주의" 이화여대 출판부 2007

      34 김미덕, "지구화 시대 지역연구 지식의 재구성: 방법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국제학연구소 20 (20): 127-154, 2011

      35 윤혜린, "지구지역시대 아시아 여성주의 공간의 모색" 한국여성철학회 8 (8): 115-139, 2007

      36 임현진, "지구시민사회의 작동원리와 한국 사회운동의 초국적 동원전략" 한국사회학회 40 (40): 1-36, 2006

      37 서두원, "젠더 제도화의 결과와 한국 여성운동의 동학" 아세아문제연구소 55 (55): 162-192, 2012

      38 김엘리, "정체성의 정치에서 횡단의 정치로: 「젠더와 민족」" 52 (52): 193-200, 2013

      39 황희숙, "전문가주의와 젠더 문제 -지식과 전문성의 정치학에 대한 비평" 한국여성철학회 20 : 5-40, 2013

      40 강정숙,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교류와 연대-아시아연대회의 를 중심으로, in 한국 여성의 글로컬 연대와 교류의 성과와 전망: 국가와 지역을 넘어" 2013

      41 송도자,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경남지역 활동과 모색, In 일본군‘위안부’ 분과: 제국주의 일본이 자행한 여성에 대한 폭력, 일본군 위안부문제진단과 해결전망" 2012

      42 김경영,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경남의 활동 보고" 경남여성인권특별위원회 2012

      43 전희경, "오빠는 필요없다: 진보의 가부장제에 도전한 여자들 이야기" 이매진 2008

      44 경남여성단체연합, "연도별 정기총회 자료집" 2002

      45 강이수, "여성주의 연구를 돌아보다: 여성운동, 노동, 가족 연구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00 (100): 229-250, 2013

      46 경상남도, "여성인권특별위원회 재구성 추천 현황(16명)"

      47 윤택림,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한국여성연구원 27 (27): 77-111, 2010

      48 강경란, "여성단체 활동가들의 풀뿌리 여성운동 조직 경험 분석"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3

      49 김현미, "아시아 여성학과 탈식민주의" 43 : 209-222, 1999

      50 신상숙,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거버넌스 ― 국가기구의 제도적 선택성과 여성운동* ―" 한국여성연구소 11 (11): 153-197, 2011

      51 마상열, "수도권·비수도권의 지역격차실태와 완화를 위한 경남의 과제, In 경남정책Brief" 경남발전연구원 2013

      52 김혜순, "성인지성과 지방인지성" 2007

      53 공미혜,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전개 및 전망: 여성주의 지식의 쇠퇴? 또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In 한국여성학30+: 여성주의의 발전과 불균등성" 2014

      54 이송희, "부산 지역 여성운동의 회고와 전망 - 진보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20 : 31-73, 2009

      55 하정화, "부산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과 여성주의 실천 연구 : 지역 여성주의의 가능성 모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56 강인순, "마산. 창원 지역 여성운동의 현황과 과제" 한국여성학회 23 (23): 177-213, 2007

      57 김용구, "로컬리티,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혜안 73-113, 2009

      58 문소정,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한국여성평화운동에 관한 연구 -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과 딜렘마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4 (84): 263-295, 2009

      59 태혜숙, "대항지구화와 ‘아시아’ 여성주의" 울력 2008

      60 주혜진, "대전여성의 사회참여: 지역공동체운동 사례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11

      61 안숙영, "글로벌, 로컬 그리고 젠더 - 지구화 시대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여성연구소 22 (22): 7-32, 2012

      62 이창남, "글로벌 시대의 로컬리티 인문학- 개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75-106, 2009

      63 김경영, "국내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 현황과 과제. In 일본군 ‘위안부’ 분과: 제국주의 일본이 자행한 여성에 대한 폭력, 일본군 위안부 문제 진단과 해결전망" 2012

      64 민가영, "국가횡단적 비교 여성학의 모색: 아시아 여성학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문화사학회 21 (21): 81-107, 2011

      65 안진,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의 연대를 위한 모색" 한국여성사학회 18 (18): 83-136, 2013

      66 안진,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 진보적 여성운동단체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24 (24): 73-110, 2007

      67 경상남도아동여성안전지역연대, "경상남도아동여성안전지역연대 구성현황"

      68 이경옥, "경남지역 여성정치세력화를 위한 활동과 과제. In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세력화" 경상대학교 2010

      69 문경희, "경남여성단체연합과 필리핀 여성을 위한 가브리엘라 전국연맹 간 국제연대 강화와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공동이슈제안" 경남여성단체연합 2012

      70 박기남, "개인화 시대의 여성운동 방향 탐색 ― 한국여성민우회의 회원 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연구소 12 (12): 73-116, 2012

      71 김경영,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연대’에 대한 토론: 지역여성운동단체의 성장 동력과 고민지점을 중심으로, In 여성연대의 가능성과 한계" 2011

      72 김영화, "‘대구경북학’의 모색–다른 지역학이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5 (5): 117-147, 2012

      73 강수돌, "[좌담회] 로컬리티, 글로컬리즘을 재사유하다"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 (3): 3-43, 2010

      74 문경희, "International Women’s NGOs and Empowerment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다문화통합연구소 3 (3): 82-112, 2012

      75 Yuval-Davis, Nira, "Gender & Nation" Sage 1997

      76 김혜경, "<연구노트>지역에서의 여성학 교육의 현재와 역사적 특성: 전북지역 및 전북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151-193, 2009

      77 장해성, "21세기 한국 여성주의의 위기와 대안: 근대적 저항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15 : 55-84, 2011

      78 윤미향, "20년간의 수요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생존자들과 여성들의 연대" 74 : 146-17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2 1.42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5 1.76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