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선거법 개정을 통해서 국회의원 비례대표부분에서 여성 50% 할당제가 받아들여지면서 여성의 대표성확대를 위하여 여성할당제가 입법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지방의회에서도 비례대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33272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3-241(39쪽)
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선거법 개정을 통해서 국회의원 비례대표부분에서 여성 50% 할당제가 받아들여지면서 여성의 대표성확대를 위하여 여성할당제가 입법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지방의회에서도 비례대표...
2003년 선거법 개정을 통해서 국회의원 비례대표부분에서 여성 50% 할당제가 받아들여지면서 여성의 대표성확대를 위하여 여성할당제가 입법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지방의회에서도 비례대표에서 여성 50%가 도입되면서 여성정치참여 확대 전략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이 입법과 더불어 비례대표 여성의원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더불어 지역구 여성의원의 수도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의회의 여성의원수도 증가하였으며 여성후보의 숫자도 증가하면서 할당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까지도 할당제의 부수적인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의정활동에 있어서 여성관련 입법을 많이 발의하면서 어느 정도 여성의 이익을 대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여성의원은 주로 전문직에서 충원되면서 정당 내 기반을 가지지 못하였고 지역의 기반도 가지지 못하면서 다음 선거로 의원직을 이어가지 못하게 되었고 초선에 그치게 되었다. 또한 의정활동에 있어서도 상임위원장이나 간사와 같은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정당 및 지역에서 기반을 가지지 못한 초선이다 보니 여성의원들은 정당지도부에 의존하면서 주체적인 의정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할당제가 여성의 숫적 대표성 확대에 효과가 있었고 실질적 대표성 확대에도 어느 정도 기여하였지만 여성정치세력화는 이루지 못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2000,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chose a strategy of women’s enhanc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ied to legislate women political quota. In 2003 with a revision of the electoral law, the 50% women quota of party list for the prop...
From 2000,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chose a strategy of women’s enhanc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ied to legislate women political quota. In 2003 with a revision of the electoral law, the 50% women quota of party list for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as introduced and the strategy of enhancement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has a relatively successful result. The number of female legislator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s increasing rapidly and even in single district representation the number of women legislators is going up slowly. And in local elections, women are elected more than before and even th number of women candidates who run for the general elections and the local elections are enlarged. Female legislators in national assembly propose legislative bills concerned women’s issues such as education, raising children and social welfare. However, women legislators do not succeed consecutively their term, and a great part of women legislators quit their term with only one time. They are not in the center of legislative activities and it is hardly found female president of permanent committee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y are rather representative of a party than women even though they are elected because they were placed there in a party list as woman by the quota rule. Therefore the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number of female legislators are relative successful but women are not empowered ye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홍,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1
2 한승조, "한국정치론" 박영사 1999
3 오미연, "한국정당의 여성국회의원 후보자 공천과 한국의 여성정치: 제15?16?17대 국회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정치학회 39 (39): 369-397, 2005
4 "한국일보"
5 민준기, "한국의 정치" 나남출판 1996
6 "한겨레신문"
7 김순은, "지방자치와 정당" 지방행정연구소 2001
8 손봉숙, "지방의회와 여성엘리트" 집문당 1995
9 김원홍,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국회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 국회여성위원회 2003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
1 김원홍,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1
2 한승조, "한국정치론" 박영사 1999
3 오미연, "한국정당의 여성국회의원 후보자 공천과 한국의 여성정치: 제15?16?17대 국회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정치학회 39 (39): 369-397, 2005
4 "한국일보"
5 민준기, "한국의 정치" 나남출판 1996
6 "한겨레신문"
7 김순은, "지방자치와 정당" 지방행정연구소 2001
8 손봉숙, "지방의회와 여성엘리트" 집문당 1995
9 김원홍,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국회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 국회여성위원회 2003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
11 김민정, "제17대 총선과 여성" 한국여성유권자연맹 2004
12 홍득표, "정당의 공직후보 결정 모형에 관한 연구-한국정당을 중심으로-" 34 (34): 173-191, 2000
13 김민정, "여성정치할당제: 보이지 않는 벽에 문을 내다" 인간사랑 2011
14 김원홍, "여성의원이 국회를 변화시키는가?: 17대 국회의원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6 (6): 27-54, 2007
15 주준희, "여성과 정치2" 여성정치문화연구소 1997
16 김정숙, "여성과 정치 II"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1997
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 국회의원 의정사" 2013
18 조기숙, "세계를 움직인 열두 명의 여성" 여성신문사 1998
19 김민정, "선진국 여성의원의 활동과 역할" 10 : 16-30, 2008
20 김민정, "분단·평화·여성(V)"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북한연구회 2001
21 "다음 사전"
22 황아란, "국회의원후보의 당선경쟁력에 대한 성차(性差) 연구" 한국정치학회 36 (36): 203-222, 2002
23 김원홍, "국회의원 여성후보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6
24 전진영, "국회의원 여성할당제 채택의 정치적 동인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29-52, 2013
25 "경향신문"
26 유숙란, "‘크리티칼 매스’와 성평등 구조 구축 과정- 한국의 민주화 이후 정치적 대표성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123-142, 2006
27 Shin, Ki-young, "Women’s Sustainable Representation and the Spillover Effect of Electoral Gender Quotas in South Korea" 35 (35): 80-92, 2014
28 Sinkkonen, Sirkka, "Women, Power and Political Systems" St. Martin’s 1981
29 Wängnerud, Lena, "Women in Parliaments: Descriptive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12 : 51-69, 2009
30 Wängnerud, Lena, "Women in Parliament: Beyond Numbers" IDEA 2005
31 Conway, Margaret,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Congressional Quarterly Co 1997
32 Klenke, Karin, "Women and Leadership: A Contextual Perspective" Springer 1996
33 Clark, Janet, "Women and Elective Office: Past, Present and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4 Bystydzienski, Jill M, "Women Transforming Poli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35 Carroll, Susan, "Women Candidate and Support for Feminist Concerns:The Closest Feminism Syndrome" 37 (37): 307-323, 1984
36 Searing, Donald, "Westminster’s World: Understanding Political Rol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37 Dodson, Debra, "Voices, View, Votes: The Impact of Women in 103rd Congress" Center For American Women and Politic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1995
38 Cowley, Philip, "Too Spineless to Rebel? New Labour’s Women MPs" 33 : 345-365, 2003
39 Kim, Minjeoung, "Theorizing Women’s Political leadership" 2008
40 Oskarsson, Maria, "The Story of the Gender Gap in Swedish Politics: Only Partially Diminishing Differences, In Stepping Stones. Research on Political Representation, V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Government"
41 Phillips, Anne, "The Politics of Pres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2 Thomas, Sue, "The Impact of Women in Public Offic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43 Carroll, Susan J., "The Impact of Women in Public Offic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44 Zetterberg, Par., "The Impact of Candidate Selection on “Quota Women”s’ Legislative Behavior: Towards a Theoretical Framework" 2008
45 Vega, William, "The Effects of Gender on Congressional Behavior and the Substantive Representation of Women" 20 : 213-222, 1995
46 Pitkins, Hanna,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47 Sapiro, Virginia, "Research Frontier Essay: When Are Interest Interesting? The Problem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75 (75): 701-716, 1981
48 Htun, Mala, "Puzzles of women’s rights in Brazil" 69 : 733-751, 2002
49 Kathlene, Lyn, "Power and Influence in State Legislative Policymaking:The Interaction of Gender and Position in Committee Hearing Debates" 88 (88): 560-576, 1994
50 Norris, Pippa, "Political Recruitment: Gender, Race and Class in the British Parli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51 Norris, Pippa, "Passages to Power: Legislative Recruitment in Advanced Democra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2 Kanter, Rosabeth,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Basic Books 1977
53 Axmann, Roland, "Liberal Democracy into the Twenty-First Century:Globalization, Integration and the Nation-State" St. Martin’s Press 1996
54 Celis, Karen, "Introduction: The Descriptive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of Women: New Directions" 61 (61): 419-425, 2008
55 Thomas, Sue, "How Women Legislate"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56 "Global databases of quota of women"
57 Dodson, Debra., "Gender and Policymaking: Studies of Women in Office" Eagleton Institute of Politic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1991
58 Jones, Park P, "Gender Quotas, Electoral Laws and the Election of Women. Lessons form the Argentine Provinces" 31 (31): 3-21, 1998
59 Phillips, Anne, "Feminism &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60 Caiazza, Amy, "Does Women’s Representations in Elected office lead to Women-Friendly Policy? Analysis of State-Level Data" 26 (26): 35-70, 2004
61 Saint-Germain, Michelle, "Does Their Difference Make a Difference? The Impact of Women in Public Policy in the Arizona Legislative" 70 : 1989
62 Skjeie, Hege, "Credo on Difference-Women in Parliament in Norway"
63 Swers, Michele L., "Connecting Descriptive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An Analysis of Sex Differences in Cosponsorship Activity" 30 (30): 407-433, 2005
64 Gertzog, Irwin N., "Congressional Women: Their Recruitment, Integration, and Behavior" Praeger 1995
65 Reingold, Beth, "Concepts of Representation Among Female and Male State Legislative" 17 (17): 509-537, 1992
66 김원홍, "19대 총선 지역구 공천과정 분석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 방안 모색: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6 (6): 31-52, 2013
67 김민정, "18대 총선에 나타난 여성정치인의 충원" 사회과학연구소 17 (17): 50-83, 2009
68 김형준, "17대 국회여성의원의 입법활동과 여성정치발전" 2005
69 서복경, "17대 18대 여성의원의 의정활동 비교: 투입측면을 중심으로" 8 : 33-60, 2010
70 김지희, "16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진로: 제5회의 여성정치 참여의 이상과 현실; 제16대 총선과 여성 후보의 국회진출: 14, 15, 16대 총선결과의 비교분석" 한국정치학회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2 | 1.42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5 | 1.764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