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바닥재 종류 별 층간소음 저감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목질계 바닥 마감재의 경우 경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있으나(최대 31%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70751
2019
-
500
학술저널
38-38(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바닥재 종류 별 층간소음 저감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목질계 바닥 마감재의 경우 경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있으나(최대 31%에서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분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바닥재 종류 별 층간소음 저감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목질계 바닥 마감재의 경우 경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있으나(최대 31%에서 최소 21%),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전혀 효과가 없어 목질계 바닥 마감재에 의한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인 것으로 조사, 보고된 바 있다(2013,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제품 안전실태조사 보고).
본 연구에서는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바닥재 개발을 위하여 석재(대리석 등 8종) 및 타일류(벽타일과 바닥타일 5종) 등의 고밀도 이종재료를 기재로 사용하고, 그 위에 활엽수 무늬목을 접합시켜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영림목재(주)의 바닥충격음 측정 시설을 이용하여 KS F 2865 방법에 따라 각각의 제조 시험체를 대상으로 경량 및 중량충격음을 측정하여 충격음 저감 효과를 조사하였다. 8종의 석재류 중에서 국토교통부의 차단성능 기준이 50dB 이하를 충족시킨 것은 현무암(50dB)과 고흥석(49dB) 등 2종 이었으며, 타일류의 경우에는 1종의 벽타일을 제외하고 4종(47~50dB) 모두 기준을 충족시킨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가 우수했던 석재 및 타일류에서 차단성능 기준(58dB) 이상의 경량충격음을 나타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브 위에 접합할 때 고무 또는 코르크 칩을 바닥재와 슬라브 사이에 사용한 결과, 차단성능 기준 이하의 경량충격음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중량충격음 저감 상승효과도 나타났다. 특히 제품명 모자이크 타일의 경우에는 가장 우수한 차단성능을 보여 각각 경량충격음은 49~50dB, 중량충격음은 48dB의 바닥충격음을 나타냈다.
< 구두-E-08 > Bio-Copolyester인 ECOZEN을 이용한 합성 목재 개발
< 구두-E-09 > 목재-마그네슘 적층복합재(WM Board)의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
목조건축 - 우리나라 목재산업의 희망이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