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정치참여의 한 형태로서 시위참여가 갖는 특성을 미시적 수준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시위라는 정치적 현상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시위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0679
-
2010년
Korean
촛불 시위 ; National Assembly election ; political participation ; post-materialism ; political culture ; generational conflict ; post-modernism ; political process ; candle-light demonstration ; mass demonstration ; voting participation ; new social movement ; political ideology ; young v ; 대중 시위 ; 정치참여 ; 탈물질주의 ; 정치문화 ; 시위문화 ; 투표참여 ; 신사회운동 ; 정치과정 ; 정치이념 ; 탈근대화 ; 젊은 유권자 ; 세대 갈등 ;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시민단체 ; 항쟁적 정치 candle-light demonstration ; mass demonstration ; political participation ; post-materialism ; political culture ; voting participation ; candle-light demonstration ; new social movement ; political process ; political ideology ; post-modernism ; young voters ; generational conflict ; Presidential election ; National Assembly election ; civic groups ; contentious politics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정치참여의 한 형태로서 시위참여가 갖는 특성을 미시적 수준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시위라는 정치적 현상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시위참...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정치참여의 한 형태로서 시위참여가 갖는 특성을 미시적 수준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시위라는 정치적 현상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시위참여자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행위자적 관점에서 다른 참여형태와 구분되는 시위참여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여기서 초점을 맞추는 것은 투표참여와 비교할 때 시위참여가 수반하는 높은 비용과 자발성이다. 시위 참여는 반정부 무력 투쟁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비용을 수반하는 정치참여 형태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 것은 물론, 자칫 시위가 불법적인 성격으로 발전하게 될 경우에는 처벌까지 각오해야 한다. 이러한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상당한 자발성이 요구된다. 반면 투표참여는 가장 비용이 적게 들며, 따라서 자발적 의지가 별로 없는 경우에도 투표에 참여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두 번째는 거시적 수준에서 시위의 여러 형태를 분류하고, 이에 따라 한국 시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시위를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시위발생의 원인에 따라 (간접적 혹은 직접적), 시위가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사익 추구 혹은 공익 추구), 시위의 폭력성 또는 불법성 여부에 따라, 또는 참가자의 범위나 규모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분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국의 시위 형태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세 번째는 최근 시위 성격의 변화를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확산이라는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00년대 들어 발생하는 시위의 특징은 과거에 비해 평화적이고 참여자의 범위가 넓어졌을 뿐만 아니라, 일부 시위 참여자들은 시위 자체를 즐긴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위 성격의 변화를 참여자의 가치관의 변화라는 미시적 요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즉 탈물질주의적인 가치관을 가진 시위 참여자의 경우 시위를 특정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위 자체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여유를 가질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sts largely of three parts. One is a theoretical part, where we examin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on as one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at the micro level. For a demonstration to materialize, it requires demonstrato...
This study consists largely of three parts. One is a theoretical part, where we examin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on as one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at the micro level. For a demonstration to materialize, it requires demonstrators, or parcipants in a demonstration. From this actor perspectivee,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ors as oppposed to participants in other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voting. The discussion will be focused on the high cost and voluntarism entailed in the act of demonstration. Participating in political demonstration requires very high costs. Demonstrators not only invest a lot of time and efforts, but also take the risk of punishment or violence, in case the demonstration turns illegal or violent. Voluntarism is a precondition for accepting this high cost and high risk. This is in dire contrast to the act of voting, which requires a relatively low cost, and thus involves little voluntarism.
A second part is a formation of a main hypothesis. The hypothesis is that the expansion of post-materialism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changes in the Korean demonstration culture as evidenced in a serie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recent years. Recent demonstrations are more peaceful, and the participants are much more diverse than past demonstrations. Furthermore, some of the participants seem to enjoy the act of demonstration itself. This changes in the nature of demonstrations and demonstration culture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micro level factors, that is, changing values of demonstrator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ansion of post-materialism among young Korean voters. These young voters see political demonstration not simply as a means of achieving their political goals, but also as a source of entertainment and pleasure. In other words, they have the luxury of enjoying the the political action, whereas paticipants in the past demonstrations were obsessed with their urgent political goals.
In the third part, we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is. In doing so, we utilize three different kinds of survey data, collected in various ways and various times. With this data, we examin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recent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are indeed more post-materialistic than non-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