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2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 독서요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0 명 중에서 20명을 선정하여 각각 1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는 1회기 40분씩 총 12회기의 독서요법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를 장은영(2001)이 번안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서 얻어진 자료의 처리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전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업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 독서요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0 명 중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 독서요법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0 명 중에서 20명을 선정하여 각각 1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는 1회기 40분씩 총 12회기의 독서요법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를 장은영(2001)이 번안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서 얻어진 자료의 처리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전체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집단 독서요법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학업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 독서요법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biblio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to examine its effe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120 sixth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y are randomly allocated at experiment group(n=10) and control group(n=10). Twelve sessions were administrated to experiment group for group bilbiotherapy and each session had run 40 min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esteem inventory which was originated from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1967) and Chang(2001) translated and modified and the researcher remodifi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ANCOVA.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omely Self-Esteem, but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schoolwork Self-Esteem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biblio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biblio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to examine its effe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120 sixth graders at H e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biblio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to examine its effe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120 sixth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y are randomly allocated at experiment group(n=10) and control group(n=10). Twelve sessions were administrated to experiment group for group bilbiotherapy and each session had run 40 min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esteem inventory which was originated from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1967) and Chang(2001) translated and modified and the researcher remodifi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ANCOVA.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omely Self-Esteem, but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schoolwork Self-Esteem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biblio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집단 독서요법 프로그램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 국문초록
      • 집단 독서요법 프로그램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