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모바일 응용을 위한 웹 맵 서비스 확장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xtended Web Map Service Interfaces for Mobile Ap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79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웹을 통해 지리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표준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웹 맵 서비스(WMS, Web Map Service)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는 웹 맵 서비스를 위한 개방형 인...

      최근 웹을 통해 지리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표준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웹 맵 서비스(WMS, Web Map Service)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는 웹 맵 서비스를 위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명세를 발표하고, ISO 표준으로 채택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는 등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OGC에서 정의하고 있는 WMS 명세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응용 프로그램 작성에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유선 인터넷 환경과 달리 모바일 환경에서의 응용에서 맵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데이터의 크기는 전송 비용뿐 아니라, 맵 클라이언트의 응답시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또한 모바일 응용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필기에 따라서 적절한 품질의 맵을 제공해야하며, 응용 분야에 특화된 질의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OGC에서 제안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면서, 모바일 응용을 위한 요구조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모바일 웹 맵 서비스(Mobile Web Map Service, M-WMS)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또한 모바일 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맵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논문은 현재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LB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모바일 응용에서 적용 가능한 웹 맵 서버를 생성하고 사용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web map services with standard interfaces have been developed to a high degree for the purpose of sharing of spatial data through the web. Among the various kinds of works related, the specification for the web map service released by Op...

      Recently, the web map services with standard interfaces have been developed to a high degree for the purpose of sharing of spatial data through the web. Among the various kinds of works related, the specification for the web map service released by Open Geospatial Consortium (OGC) is the most prominent, and is nearly adopted as international standard (ISO/DIS 19128) in developing the web map servers. The web map server of OGC, however, provides the insufficient capabilities for mobile applications. Unlike the wired applications, the mobile applications would require the map server to minimize of size of data transferred, because the size of data is very important factor in communication cost and the response time of map clients. And the mobile applications require different quality of map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mobile devices. The mobile application, also require some application specific queries.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the interfaces for mobile web map services (M-WMS) which fully comply with the standard interfaces proposed in OGC. And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web map server for mobile map services.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construc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web map servers in mobile applications, such as LBS and telema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riting GIS Applications for the WWW" 1997.

      2 "WebGIS" 1998.

      3 "Web Map Service 1.3" 2004.

      4 "Web Feature Service Draft Candidat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0.0.12" 2001.

      5 "Using the Internet to Access Geographic Information An Open GIS Interface Prototype" 1997.

      6 "The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 Revision 1.1" 1999.

      7 "The OpenGIS Abstract Specification Model Version 3" 1998.

      8 "Styled Layer Description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1.0.0" 2002.

      9 "OpenGIS Location Services (OpenLS): Core Services 1.0," 2004.

      10 "Multiple Representations in GIS Materialization Through Map Generalization. Geometric" 60-65, 1999

      1 "Writing GIS Applications for the WWW" 1997.

      2 "WebGIS" 1998.

      3 "Web Map Service 1.3" 2004.

      4 "Web Feature Service Draft Candidat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0.0.12" 2001.

      5 "Using the Internet to Access Geographic Information An Open GIS Interface Prototype" 1997.

      6 "The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OLE/COM Revision 1.1" 1999.

      7 "The OpenGIS Abstract Specification Model Version 3" 1998.

      8 "Styled Layer Description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1.0.0" 2002.

      9 "OpenGIS Location Services (OpenLS): Core Services 1.0," 2004.

      10 "Multiple Representations in GIS Materialization Through Map Generalization. Geometric" 60-65, 1999

      11 "Information theoretic approach to feature elimination" 203-211, 2001

      12 "GiMODig system architecture"

      13 "Developing Geographic Services on the World Wide Web" 1995.

      14 "Automated map generalization with multiple operators a simulated annealing approach" 17 : 743-769, 2003

      15 "A Primer on Creating Geographic Services" 56-58, 1996

      16 "A Generic Map Interface to Query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World Wide Web"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5-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7-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br>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