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初等學校 實科 敎科專擔制의 運營實態와 活性化 方案 = Operating Reality and Activating Method of the Departmental System for Practical Arts in the Prim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1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실과 교과전담제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그 시사점 및 개선점을 찾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하였다.
      분석은 SPSS/PC를 사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집단 특성에 따른 반응차의 유의도를 밝히기 위해, 성별, 연령별, 지역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변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과 교과전담제의 필요성에 대해 학교경영자와 교사의 응답자 76.7%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과 교과가 교과전담제에 포함되어 있는 비율은 41.7%였으며, 이를 실시하지 못한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교과전담 교사의 부족이었다.
      (2) 실과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는 68.5%였으며,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원인은 실습실 및 교구부족이 가장 컸으며, 실습의 번거로움, 교사의 능력부족 등의 순이었다.
      (3) 실과 교과전담 교사 연수자 추천 방식 중 희망자가 없어서 할 수 없이 추천 받은 교사가 29.8%, 승진 부과점 획득을 위한 목적성 추천이 23.0%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수시간이 실과 교과전담에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는 10시간 미만인 경우가 18.6%나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실과 교과전담제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실과 교과전담 수업의 주당 시수를 20시간 상한선으로 하여 법제화되어야 한다.
      (2) 실과 교과의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실과의 실습실 및 교재도구, 실험 실습 기자재가 확충되어야 한다.
      (3) 실과 교과전담 교사 기피를 막고 적절한 전담교사를 수급하기 위해서는 수당지급, 승진 가산점 부여, 보결 수업 면제, 전보시 우선권 부여 등의 우대책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실과 교과전담제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그 시사점 및 개선점을 찾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하였다. 분석은 SPS...

      이 연구는 실과 교과전담제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그 시사점 및 개선점을 찾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하였다.
      분석은 SPSS/PC를 사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집단 특성에 따른 반응차의 유의도를 밝히기 위해, 성별, 연령별, 지역별, 교육경력별, 학교규모별 변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과 교과전담제의 필요성에 대해 학교경영자와 교사의 응답자 76.7%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과 교과가 교과전담제에 포함되어 있는 비율은 41.7%였으며, 이를 실시하지 못한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교과전담 교사의 부족이었다.
      (2) 실과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는 68.5%였으며,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원인은 실습실 및 교구부족이 가장 컸으며, 실습의 번거로움, 교사의 능력부족 등의 순이었다.
      (3) 실과 교과전담 교사 연수자 추천 방식 중 희망자가 없어서 할 수 없이 추천 받은 교사가 29.8%, 승진 부과점 획득을 위한 목적성 추천이 23.0%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수시간이 실과 교과전담에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는 10시간 미만인 경우가 18.6%나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실과 교과전담제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실과 교과전담 수업의 주당 시수를 20시간 상한선으로 하여 법제화되어야 한다.
      (2) 실과 교과의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실과의 실습실 및 교재도구, 실험 실습 기자재가 확충되어야 한다.
      (3) 실과 교과전담 교사 기피를 막고 적절한 전담교사를 수급하기 위해서는 수당지급, 승진 가산점 부여, 보결 수업 면제, 전보시 우선권 부여 등의 우대책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t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and finding their suggesting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and groping for their activated 1
      The findings acquired from the questionnair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n the necessit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76.7% of school managers and teachers was recognized positively.
      (2) The case that lesson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operated normally was amounted to 68.5%.
      (3) In the recommendation methods for the study and training of the teachers exclusively were responsible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teachers who were recommended against their own will be no applicants accounted for 29.8%. And the case of less than 10 hours in training was not useful for the Practical Arts Departmental System accounted for 18.6%.
      According to the above questionnaire analysis, we suggest the activated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as follows.
      (1) The lesson hours for a week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should be legislated less than 20 hours.
      (2) To operat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efficiently, laboratory and teaching materials, etc. should be expanded.
      (3) To prevent the teacher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from avoiding their job and supply appropriate teachers, special treatment measures for the teachers are necessary.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t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and finding their suggesting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and groping for their activated 1 The findings acquired fr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t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and finding their suggesting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and groping for their activated 1
      The findings acquired from the questionnair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n the necessit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76.7% of school managers and teachers was recognized positively.
      (2) The case that lesson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operated normally was amounted to 68.5%.
      (3) In the recommendation methods for the study and training of the teachers exclusively were responsible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teachers who were recommended against their own will be no applicants accounted for 29.8%. And the case of less than 10 hours in training was not useful for the Practical Arts Departmental System accounted for 18.6%.
      According to the above questionnaire analysis, we suggest the activated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as follows.
      (1) The lesson hours for a week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should be legislated less than 20 hours.
      (2) To operat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efficiently, laboratory and teaching materials, etc. should be expanded.
      (3) To prevent the teacher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from avoiding their job and supply appropriate teachers, special treatment measures for the teachers are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論
      • 1. 硏究의 必要性
      • 2. 硏究의 目的
      • Ⅱ. 硏究方法
      • Ⅲ. 實科 敎科專擔制의 活性化 方案
      • Ⅰ. 緖論
      • 1. 硏究의 必要性
      • 2. 硏究의 目的
      • Ⅱ. 硏究方法
      • Ⅲ. 實科 敎科專擔制의 活性化 方案
      • 1. 實態 調査 分析
      • 2. 實科 敎科專擔制의 活性化 方案
      • Ⅳ. 結論 및 提言
      • 1. 結論
      • 2. 提言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