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5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소재 K대학교 재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희망자를 모집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소재 K대학교 재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희망자를 모집하여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통해 대인관계 유능성을 사전 측정하였고, 프로그램에 실제 참여가 가능한 40명의 실험참여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20명씩 무선배치한 후 실험집단에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수행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프로그램 종료 후(사후)와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추후)에 걸쳐 측정하여 집단과 시기에 따른 비교를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4주 후 재 측정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향상 효과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상담자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성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이 실제 또래상담을 운영하게 될 경우에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rainees’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this study, the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a total of 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rainees’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this study, the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a total of 20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become peer counsellors.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repeated measure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40 students which consists of 20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Twenty participants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which had twenty non-participants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data analysis yields the results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of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hile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control group. Furthermor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measured after 4 weeks of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compared to the data collected at the time of completion.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within subjects group which collected data from two time points, indicating that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not only affect participants’ interpersonal competence right after the completion but also the effect remains after 4 weeks of training comple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