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 원본 대조 윤동주 전집"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2 윤동주, "정본 윤동주 전집" 문학과 지성사 2005
3 이태준, "이태준 문학전집-단편 2" 서음출판사 1988
4 최 일, "이중의 디아스포라, 윤동주" 인천작가회의 59 : 2016
5 류양선, "윤동주의 散文과 詩의 관련양상 -산문 <終始>와 시 <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6) : 443-470, 2004
6 류양선, "윤동주의 <자화상> 재론" 성심어문학회 25 : 2003
7 류양선, "윤동주의 <病院> 분석- 산문 <花園에 꽃이 핀다>와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회 (19) : 375-412, 2006
8 송우혜, "윤동주 평전" 서정시학 2016
9 임현순, "윤동주 시의 디아스포라와 공간" 우리어문학회 (29) : 481-509, 2007
10 구모룡, "윤동주 시와 디아스포라로서의 주체성향" 현대문학이론학회 (43) : 123-146, 2010
1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 원본 대조 윤동주 전집"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2 윤동주, "정본 윤동주 전집" 문학과 지성사 2005
3 이태준, "이태준 문학전집-단편 2" 서음출판사 1988
4 최 일, "이중의 디아스포라, 윤동주" 인천작가회의 59 : 2016
5 류양선, "윤동주의 散文과 詩의 관련양상 -산문 <終始>와 시 <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6) : 443-470, 2004
6 류양선, "윤동주의 <자화상> 재론" 성심어문학회 25 : 2003
7 류양선, "윤동주의 <病院> 분석- 산문 <花園에 꽃이 핀다>와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회 (19) : 375-412, 2006
8 송우혜, "윤동주 평전" 서정시학 2016
9 임현순, "윤동주 시의 디아스포라와 공간" 우리어문학회 (29) : 481-509, 2007
10 구모룡, "윤동주 시와 디아스포라로서의 주체성향" 현대문학이론학회 (43) : 123-146, 2010
11 지현배, "윤동주 시에 나타난 체험의 순환과 작가의식-산문 <종시>와의 관계를중심으로" 문학과언어학회 23 : 2001
12 남수우, "윤동주 시에 나타난 연대의식 연구" 경희대학교 2019
13 신윤희, "윤동주 시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변모과정 연구" 고려대학교 2015
14 권오만, "윤동주 시 깊이 읽기" 소명 2009
15 오창은, "윤동주 산문연구" 어문연구학회 59 : 329-352, 2009
16 김응교, "윤동주 산문 「종시」의 경성과 노동자 -윤동주 연구. 11-"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73-100, 2017
17 김상태, "문체론" 법문사 1994
18 미하일 바흐친, "말의 미학" 길 2007
19 김경훈, "디아스포라의 삶의 공간과 정서 - 백석, 이용악, 윤동주의 경우" 국제비교한국학회 17 (17): 9-39, 2009
20 박수연, "디아스포라와 민족적 정체성" 국제비교한국학회 16 (16): 253-277, 2008
21 김응교, "나무가 있다" 아르테 2019
22 정우택, "在滿朝鮮人의 混種的 正體性과 尹東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217-240, 2009
23 김응교, "1년 동안 글쓰기, 윤동주 산문 「달을 쏘다」 - 윤동주 연구·12 -"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2 (12): 167-194,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