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폴 리쾨르, "해석이론" 서광사 2017
2 존 K. 세리프, "의미의 이해-찰스 퍼스와 구조주의 그리고 문학" HUINE 2016
3 정혜경, "소설의 영화화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살인자의 기억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7 (67): 257-289, 2018
4 최혜령, "서사전략으로서 오독(誤讀)의 효과와 의의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에서 나타나는 독자의 오독(誤讀)을 중심으로" 구보학회 (24) : 467-503, 2020
5 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문학동네 2013
6 권희철, "살인자의 기억법" 문학동네 2013
7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반시대적 고찰" 책세상 2015
8 박진,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이론적 쟁점과 신빙성 판단 과정의 윤리적 효과" 현대문학이론학회 (75) : 135-158, 2018
9 C. A. 반 퍼슨, "몸․ 영혼․ 정신: 철학적 인간학 입문" 서광사 2005
10 노양진, "몸․ 언어․ 철학" 서광사 2009
1 폴 리쾨르, "해석이론" 서광사 2017
2 존 K. 세리프, "의미의 이해-찰스 퍼스와 구조주의 그리고 문학" HUINE 2016
3 정혜경, "소설의 영화화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살인자의 기억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7 (67): 257-289, 2018
4 최혜령, "서사전략으로서 오독(誤讀)의 효과와 의의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에서 나타나는 독자의 오독(誤讀)을 중심으로" 구보학회 (24) : 467-503, 2020
5 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문학동네 2013
6 권희철, "살인자의 기억법" 문학동네 2013
7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반시대적 고찰" 책세상 2015
8 박진,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이론적 쟁점과 신빙성 판단 과정의 윤리적 효과" 현대문학이론학회 (75) : 135-158, 2018
9 C. A. 반 퍼슨, "몸․ 영혼․ 정신: 철학적 인간학 입문" 서광사 2005
10 노양진, "몸․ 언어․ 철학" 서광사 2009
11 홍사현, "망각으로부터의 기억의 발생 - 니체의 기억 개념 연구" 철학연구소 42 : 325-363, 2015
12 송재익, "내포작가의 의도를 고려한 현대소설의 이면 읽기 교육 연구-신빙성이부족한 서술자 작품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3 류보선, "「수치심과 죄책감 사이 혹은 우리 시대의 윤리-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문학동네 20 : 2013
14 류보선, "‘살인자의 기억법’과 ‘너의 목소리’-세월호와 한국문학, 그리고 계간 문학동네 이십 년" 문학동네 21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