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 인지적 인식과 미래계획기억 인출 과정  :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 =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ospective memory retrieval process: The effect of voluntary attention allocation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5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미래계획기억 연구들은 미래계획기억이 인출되는 두 가지 처리 과정, 주의를 사용하여 미래계획기억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인출하는 과정과 환경의 외부적 단서에 의해 미래계획기억이 자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인출되는 과정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였지만, 이런 인출 과정들이 어떤 방식과 조건들로 인하여 나누어지는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증거들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처리방식이 나누어지는 주요 요인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 계획기억 수행을 위해 얼마만큼의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각하게 되는 메타 인지적 인식과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계획기억 과제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메타 인지적 인식을 심어주기 위하여 미래계획 기억을 상기시키는 외부 단서의 특성을 조작하였고, 실험 2에서는 과제의 어려움과 과제 수행을 위해 드는 인지적 노력의 정도를 알려주는 사전 정보를 각각 달리 제시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메타 인지적 인식을 조작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 1, 2 모두 실험 참가자에게 유도된 메타 인지적 인식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방식이 달려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대한 메타 인지적 인식이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메타 인지적 인식에 의한 주의 할당 전략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성공적인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인출 단서의 특성, 주의자원)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번역하기

      기존의 미래계획기억 연구들은 미래계획기억이 인출되는 두 가지 처리 과정, 주의를 사용하여 미래계획기억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인출하는 과정과 환경의 외부적 단서에 의해 미래계획...

      기존의 미래계획기억 연구들은 미래계획기억이 인출되는 두 가지 처리 과정, 주의를 사용하여 미래계획기억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인출하는 과정과 환경의 외부적 단서에 의해 미래계획기억이 자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인출되는 과정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였지만, 이런 인출 과정들이 어떤 방식과 조건들로 인하여 나누어지는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증거들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처리방식이 나누어지는 주요 요인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 계획기억 수행을 위해 얼마만큼의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지각하게 되는 메타 인지적 인식과 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발적 주의 할당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 참가자들이 미래계획기억 과제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메타 인지적 인식을 심어주기 위하여 미래계획 기억을 상기시키는 외부 단서의 특성을 조작하였고, 실험 2에서는 과제의 어려움과 과제 수행을 위해 드는 인지적 노력의 정도를 알려주는 사전 정보를 각각 달리 제시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메타 인지적 인식을 조작해보았다. 그 결과, 실험 1, 2 모두 실험 참가자에게 유도된 메타 인지적 인식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방식이 달려졌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대한 메타 인지적 인식이 미래계획기억의 인출 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메타 인지적 인식에 의한 주의 할당 전략에 따라 미래계획기억의 성공적인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인출 단서의 특성, 주의자원)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spective memory (PM) is memory for activities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such as remembering to purchase a piece of fruit on the way home or remembering to give someone a telephone message. Theoretically, PM retrieval can be accomplished either by controlled monitoring of intended action or by a more automatic process that spontaneously responds to the presence of intended even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wareness in PM retrieval process.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PM condition with a salient cue to stimulate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Results showed the salient cue condition spontaneously triggered remembering to perform an intended action.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about PM task difficulty and about the degree to which cognitive capacity is required to realize the PM task. Results showed that PM retrieval process varied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i.e., more resources were allocated if the PM task was expected to be difficult).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PM retrieval process.
      번역하기

      Prospective memory (PM) is memory for activities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such as remembering to purchase a piece of fruit on the way home or remembering to give someone a telephone message. Theoretically, PM retrieval can be accomplished either...

      Prospective memory (PM) is memory for activities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such as remembering to purchase a piece of fruit on the way home or remembering to give someone a telephone message. Theoretically, PM retrieval can be accomplished either by controlled monitoring of intended action or by a more automatic process that spontaneously responds to the presence of intended even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wareness in PM retrieval process. In Experiment 1, we manipulated PM condition with a salient cue to stimulate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Results showed the salient cue condition spontaneously triggered remembering to perform an intended action. In Experiment 2, we manipulated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about PM task difficulty and about the degree to which cognitive capacity is required to realize the PM task. Results showed that PM retrieval process varied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i.e., more resources were allocated if the PM task was expected to be difficult).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ipants’ meta-cognitive awaren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PM retrieval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실험 1
      • 실험 2
      • 종합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 실험 1
      • 실험 2
      • 종합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