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돼지감자분말을 첨가한 도토리묵의 제조 및 품질평가 = Quality Evaluation of Acorn Muk added with Jerusalem Artichoke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8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 Jerusalem artichoke powder (among 0%, 2%, 4%, and 6%) in Acorn Muk. The moisture contents of a Acorn Muk increased significantly (76.13~84.01%) with increasing a...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 Jerusalem artichoke powder (among 0%, 2%, 4%, and 6%) in Acorn Muk. The moisture contents of a Acorn Muk increased significantly (76.13~84.01%) with increasing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The a and b values of the Hunter's color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In the physical properties, the hard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of Acorn Muk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cohesiveness of Acorn Muk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22.37~26.35 mg/m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9.58~15.13%)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61.23~79.33%) of Acorn Muk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s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The Acorn Muk containing 4% Jerusalem artichoke powder showed a high score with regard to flavor, mois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amount of Jerusalem artichoke powder for making Acorn Muk is 4%. This study indicate that Acorn Muk treated with Jerusalem artichoke powder had the highest functional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미혜, "흑미발효미강분말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진말다식의 품질 및 관능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4 (14): 93-104, 2018

      2 남산, "증숙 및 열풍 건조 공정에 따른 도토리차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21-26, 2017

      3 박영미,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8 (18): 54-64, 2012

      4 이인숙, "우엉가루를 첨가한 진말다식의 품질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2 (12): 125-136, 2016

      5 박종현, "야콘 첨가 감자전분을 이용한 소스의 품질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5 (15): 103-109, 2019

      6 이진만,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도토리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111-117, 2008

      7 이은혜,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 허브의 병합식이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295-303, 2007

      8 신미혜,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현미설기떡의 품질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9 (29): 112-119, 2019

      9 박금순, "돼지감자 분말과 올리고당을 첨가한 머핀 제조의 최적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9 (29): 101-110, 2014

      10 박화연, "돼지감자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233-241, 2013

      1 신미혜, "흑미발효미강분말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진말다식의 품질 및 관능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4 (14): 93-104, 2018

      2 남산, "증숙 및 열풍 건조 공정에 따른 도토리차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21-26, 2017

      3 박영미,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8 (18): 54-64, 2012

      4 이인숙, "우엉가루를 첨가한 진말다식의 품질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2 (12): 125-136, 2016

      5 박종현, "야콘 첨가 감자전분을 이용한 소스의 품질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5 (15): 103-109, 2019

      6 이진만,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도토리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111-117, 2008

      7 이은혜,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 허브의 병합식이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295-303, 2007

      8 신미혜,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현미설기떡의 품질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9 (29): 112-119, 2019

      9 박금순, "돼지감자 분말과 올리고당을 첨가한 머핀 제조의 최적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9 (29): 101-110, 2014

      10 박화연, "돼지감자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233-241, 2013

      11 박현실, "돼지감자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사)한국조리학회 16 (16): 259-267, 2010

      12 김성호, "도토리의 Polyphenol 및 Gallic Acid 성분의 열수 추출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58-65, 2008

      13 신미혜, "도토리분말을 첨가한 현미설기떡의 제조 및 품질평가" 대한영양사협회 25 (25): 105-114, 2019

      14 김승희, "도토리묵가루 및 추출물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369-375, 2012

      15 이원경, "도토리묵가루 및 추출물을 첨가한 건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376-382, 2012

      16 정상열, "도토리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냉동 현미증편반죽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445-452, 2016

      17 이미영,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도토리다식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849-854, 2006

      18 이순영, "도토리 분말이 선충의 산화성 스트레스 저항성과 수명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670-674, 2013

      19 주신윤,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177-184, 2013

      20 우숙이, "도토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510-515, 2016

      21 이성현, "도토리 급여가 치매모델 마우스 뇌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관련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738-742, 2005

      22 심태흠,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6 (36): 800-803, 2004

      23 이상아,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수제비와 베이커리 제품(식빵,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 특성"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24 최수남, "꾸지뽕열매 동결건조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외식산업학회 14 (14): 131-139, 2018

      25 정미정, "국내산 및 중국산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약학회 38 (38): 90-94, 2007

      26 Lachman J., "biology and chemistry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52 : 492-, 2008

      27 Dewanto V,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50 : 3010-3014, 2002

      28 Cieślik E., "The content of protein and of amino acids in Jerusalem artichoke tubers(Helianthus tuberosus L. )of red variety Rote Zonenkugel" 10 : 433-441, 2011

      29 Tchone M.,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26 : 394-408, 2006

      30 Lim K. B., "Seed dormancy of Jerusalem artichoke(Helianthus tuberosus L. )and seed treatment for germination induction" 34 : 370-377, 1989

      31 Yang, C. S., "Inhibition of carcinogeneses by dietary polyphenolic compound" 21 : 381-406, 2001

      32 Rumessen J. J., "Fructans of Jerusalem artichokes : intestinal transport, absorption, fermentation, and influence on blood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responses in healthy subjects" 52 : 675-681, 1990

      33 Yuan X.,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bioactive substances of Jerusalem artichoke(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133 : 10-14, 2012

      34 Han-Seung Shin, "Effect of Oligosaccharides and Inulin on the Growth and Viability of Bifidobacteria in Skim Milk" 한국식품과학회 15 (15): 543-548, 2006

      35 Fiordaliso, M., "Dietary oligofructose lowers triglycerides phospholipids and cholesterol in serum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s of rats" 30 : 163-167, 1995

      36 Gibson G. R., "Dietary modulation of the human colonic microbiota : introducing the concept of prebiotics" 125 : 1401-1412, 1995

      37 Pyoral, K., "Diabetes and atherosclerosisb an epidemiological view" 3 : 463-524, 1987

      38 Shin H. K.,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Materials from inulin of chicory and jerusalem artichoke"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1998

      39 Saxholt, E., "Danish food composition data bank. revision 7"

      40 Fleming, S. E., "C.R.C" 12 : 1-28, 1979

      41 Singleton VL, "Analy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299 : 152-178, 1999

      42 Kim Y. Y.,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duck added with acorn Muk powder" 16 (16): 260-266, 2000

      43 Kim N. S.,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Hansung University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2 1.6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7 1.56 1.7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