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지국가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72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복지국가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다. 1980년대까지는 `왜 복지국가가 생성·발전하였는가?`라는 거시적 질문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연구가 진행 되었다. 초기의 산업화이론과 독점자본주의론에 이어 197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민주주의론(권력자원론), 이익집단정치론, 국가중심론 등이 대두되었다. 1980년대 후반까지 유럽에서는 권력자원론이 가장 강력한 이론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면, 미국에서는 국가중심이론이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1990년에는 이 두 이론을 발전시켜 Esping-Andersen이 `세 가지 복지국가체제`를 제시하게 된다. 이 연구는 복지국가연구 역사에서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1990년대의 복지국가 연구는 자본주의 다양성이나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들과 결합하며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특히 복지 체제론과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은 모든 복지국가를 동질하게 보고 보편적인 요인을 찾거나 모든 국가들을 개별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중범위적 수준에서 역사적이고 제도적 경로와 구조를 공유하는 유형들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서구 복지국가를 넘어서 동아시아나 개발도상국 복지체제에 대한 연구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복지국가에 대한 개혁적 접근으로 사회투자국가론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최근에는 산업적 시민권이 약화되고 프레케리아트가 등장함에 따라서 기본소득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복지국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번역하기

      복지국가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다. 1980년대까지는 `왜 복지국가가 생성·발전하였는가?`라는 거시적 질문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연구가 진행 되었다. 초기�...

      복지국가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다. 1980년대까지는 `왜 복지국가가 생성·발전하였는가?`라는 거시적 질문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연구가 진행 되었다. 초기의 산업화이론과 독점자본주의론에 이어 197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민주주의론(권력자원론), 이익집단정치론, 국가중심론 등이 대두되었다. 1980년대 후반까지 유럽에서는 권력자원론이 가장 강력한 이론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면, 미국에서는 국가중심이론이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1990년에는 이 두 이론을 발전시켜 Esping-Andersen이 `세 가지 복지국가체제`를 제시하게 된다. 이 연구는 복지국가연구 역사에서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1990년대의 복지국가 연구는 자본주의 다양성이나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들과 결합하며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특히 복지 체제론과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은 모든 복지국가를 동질하게 보고 보편적인 요인을 찾거나 모든 국가들을 개별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중범위적 수준에서 역사적이고 제도적 경로와 구조를 공유하는 유형들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서구 복지국가를 넘어서 동아시아나 개발도상국 복지체제에 대한 연구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복지국가에 대한 개혁적 접근으로 사회투자국가론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최근에는 산업적 시민권이 약화되고 프레케리아트가 등장함에 따라서 기본소득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복지국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면,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2 정무권,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3 정무권,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4 이주하,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5 김연명,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 인간과 복지 2002

      6 최태욱, "조정시장경제와 합의제 민주주의의 상호보완성"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9) : 506-547, 2013

      7 최영준, "위험 관리자로서의 복지국가: 사회적 위험에 대한 이론적 이해" 정부학연구소 17 (17): 31-57, 2011

      8 신동면, "복지국가 트릴레마 양상의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119-147, 2012

      9 이주하, "민주주의의 다양성과 공공성: 레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45-168, 2010

      10 Chang, H-J., "국가의 역할" 부키 2006

      1 신동면,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2 정무권,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3 정무권,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4 이주하,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I" 인간과 복지 2009

      5 김연명,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 인간과 복지 2002

      6 최태욱, "조정시장경제와 합의제 민주주의의 상호보완성"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9) : 506-547, 2013

      7 최영준, "위험 관리자로서의 복지국가: 사회적 위험에 대한 이론적 이해" 정부학연구소 17 (17): 31-57, 2011

      8 신동면, "복지국가 트릴레마 양상의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119-147, 2012

      9 이주하, "민주주의의 다양성과 공공성: 레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45-168, 2010

      10 Chang, H-J., "국가의 역할" 부키 2006

      11 Standing, G., "Work after Globalization: Building Occupational Citizenship" Edward Elgar Publishing 2010

      12 Esping-Andersen, G.,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3 Skocpol, T., "Vision and Method in Historical Soc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1, 1984

      14 Hall, P. A., "Varieti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5 Wilensky, H. L., "Trade-Offs in Public Finance" 27 (27): 333-358, 2006

      16 Morel, N., "Towards a Social Investment Welfare State?:Ideas, Policies and Challenges" Policy Press 2012

      17 Wilensky, H. L.,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Structural and Ideological Roots of Public Expendi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18 Esping-Andersen, G.,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19 Giddens, A., "The Third Way" Polity 1998

      20 Standing, G., "The Precariat:The New Dangerous Class" A&C Black 2011

      21 Bonoli, G., "The Politics of the New Social Policies: Providing Coverage against New Social Risks in Mature Welfare States" 33 (33): 431-449, 2005

      22 Weaver, K., "The Politics of Blame Avoidance" 6 (6): 371-398, 1986

      23 Skocpol, T., "The Political Formation of the American welfare State in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 6 : 87-148, 1983

      24 Pierson, P.,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48 (48): 143-179, 1996

      25 Pierson, P.,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410-456, 2001

      26 Esping-Andersen, G., "The Incomplete Revolution: Adapting to Women's New Roles" Polity 2009

      27 O’Connor, J., "The Fiscal Crisis of the State" St. Martins Press 1973

      28 Esping-Andersen, G.,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9 Holliday, I., "Productivist Welfare Capitalism: Social Policy in East Asia" 48 : 706-723, 2000

      30 Korpi, W., "Power, Politics, and State Autonomy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Citizenship: Social Rights during Sickness in Eighteen OECD Countries since 1930" 54 (54): 309-328, 1989

      31 Lijphart, A., "Patterns of Democracy" Yale University Press 1999

      32 원종욱, "OECD 국가의 사회복지지출과 재정건정성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3 Gough, I., "Insecurity and Welfare Regimes in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Social Policy in Development Contex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4 Pontusson, J., "Inequality and Prosperity: Social Europe Vs. Liberal Ameri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35 Kerr, C., "Industrialism and Industrial Man" Oxford University Press 1960

      36 Wilensky, H. L., "Industrial Society and Social Welfare" Russell Sage Foundation 1965

      37 Piketty, T.,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1913-1998" 118 (118): 1-39, 1998

      38 Lindert, P. H., "Growing Public. Two Volu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9 Iversen, T., "Equality, Employment, and Budgetary Restraint: The Trilemma of the Service Economy" 50 (50): 507-546, 1998

      40 Choi, Y. J., "End of the Era of Productivist Welfare Capitalism? Diverging Welfare Regimes in East Asia" 40 (40): 275-294, 2012

      41 Iversen, T., "Electoral Institutions and the Politics of Coalitions:Why Some Democracies Redistribute More Than Others" 100 (100): 165-181, 2006

      42 Cusack, T. R., "Economic Interests and the Origins of Electoral Systems" 101 (101): 373-391, 2007

      43 Pierson, P.,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Reagan, Thatcher, and the Politics of Retrench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44 Huber, E.,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Welfare State" Chicago University Press 2001

      45 Offe, C., "Contradictions of the Welfare State" Hutchinson 1984

      46 Kitschelt, H., "Continuity and Change in Contemporary Capit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7 Ebbinghaus, B., "Comparing Welfare Capitalism" Routledge 2001

      48 Iversen, T., "Capitalism, Democracy, and Welfa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9 Pierson, C., "Beyond the Welfare State?: The New Political Economy of Welfare" Polity 2006

      50 Hancké, B., "Beyond Varieti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1 Soskice, D., "Beyond Varieties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89-121, 2008

      52 Pampel, Fred C., "Age, Class, Politics, and the Welfare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JG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36 1.7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