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PP 투자챕터의 실체규정 - 한중FTA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8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이 2016년 2월 4일 서명되어 참가국의 비준을 앞두고 있다. TPP 투자챕터의 실체규정은 지난 수십여 년 간 투자협정의 운용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인 투자보호에 충실을 기하면서도 투자유치국의 공공정책 시행을 위한 신축성과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네거티브접근법을 취하여 설립 시에서부터 무차별대우를 보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것, 이행요건금지의 구체화 등에서 보듯이 투자시장의 개방 폭과 투자보호의 실질화에서 TPP가 한중FTA보다 넓고도 두텁다. 한국과 중국 양국이 적극적인 해외투자보호 정책을 취한 결과, 한중FTA도 일단 이루어진 투자의 보호에 있어서는 만전을 기하려는 의도가 투자의 정의를 넓게 규정한 부분 등에 나타난다. 하지만 최혜국대우의 적용에 있어 지나치게 광범위한 예외를 인정한 것, 고위경영진 및 이사회 구성 관련 요건 금지 규정의 부재 등은 한중FTA의 한계와 그 규범의 명확성과 충실도를 제고할 필요를 노정한다고 할 것이다. 후속 협상에서 이 부분에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TPP가 투자보호와 국가공공정책 간에 균형을 도모하고자 노력한 것은 투자계약의 정의, 분쟁해결에의 최혜국대우 적용배제, 간접수용에 해당하지 않는 정당한 규제조치와 예외조치의 명시 규정 등에 나타난다. 이와 같은 TPP 투자챕터의 균형감각은 한중FTA 후속협상을 비롯한 한국의 향후 국제투자협정 체결과정에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이 2016년 2월 4일 서명되어 참가국의 비준을 앞두고 있다. TPP 투자챕터의 실체규정은 지난 수십여 년 간 투자협정의 운용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인 투자보호에 ...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이 2016년 2월 4일 서명되어 참가국의 비준을 앞두고 있다. TPP 투자챕터의 실체규정은 지난 수십여 년 간 투자협정의 운용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인 투자보호에 충실을 기하면서도 투자유치국의 공공정책 시행을 위한 신축성과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네거티브접근법을 취하여 설립 시에서부터 무차별대우를 보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것, 이행요건금지의 구체화 등에서 보듯이 투자시장의 개방 폭과 투자보호의 실질화에서 TPP가 한중FTA보다 넓고도 두텁다. 한국과 중국 양국이 적극적인 해외투자보호 정책을 취한 결과, 한중FTA도 일단 이루어진 투자의 보호에 있어서는 만전을 기하려는 의도가 투자의 정의를 넓게 규정한 부분 등에 나타난다. 하지만 최혜국대우의 적용에 있어 지나치게 광범위한 예외를 인정한 것, 고위경영진 및 이사회 구성 관련 요건 금지 규정의 부재 등은 한중FTA의 한계와 그 규범의 명확성과 충실도를 제고할 필요를 노정한다고 할 것이다. 후속 협상에서 이 부분에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TPP가 투자보호와 국가공공정책 간에 균형을 도모하고자 노력한 것은 투자계약의 정의, 분쟁해결에의 최혜국대우 적용배제, 간접수용에 해당하지 않는 정당한 규제조치와 예외조치의 명시 규정 등에 나타난다. 이와 같은 TPP 투자챕터의 균형감각은 한중FTA 후속협상을 비롯한 한국의 향후 국제투자협정 체결과정에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was signed in February 4, 2016 and awaits ratification of the Parties. The investment chapter of the TPP,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practices, tries to balance the need for foreign investment protection and flexibility of the parties for the public policy objectives. Besides the refine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TPP takes negative approach, i.e. no restriction unless mentioned, as a default principle apply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an investment. As a whole, the scope of investment liberalization is wider and the level of protection is higher in the TPP than in Korea-China FTA. The investment chapter of Korea-China FTA, despite its broad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investment, lacks clarity and important provisions such as those on performance requirement and appointment requirement of senior management and boards of directors. The most-favored nation treatment principle also needs to be widened in its application. The balancing efforts of TPP between investment protection and public policy objectives are reflected in the provisions such as the definition of investment agreement, exclusion of MFN treatment in the dispute settlement, and the exception clauses. The sense of balance of the TPP investment chapter should be learned for the future investment treaties including the follow-up negotiation of the Korea-China FTA.
      번역하기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was signed in February 4, 2016 and awaits ratification of the Parties. The investment chapter of the TPP,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practices, tries to balance the need for foreign investment protection and flexi...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was signed in February 4, 2016 and awaits ratification of the Parties. The investment chapter of the TPP,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practices, tries to balance the need for foreign investment protection and flexibility of the parties for the public policy objectives. Besides the refine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TPP takes negative approach, i.e. no restriction unless mentioned, as a default principle apply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an investment. As a whole, the scope of investment liberalization is wider and the level of protection is higher in the TPP than in Korea-China FTA. The investment chapter of Korea-China FTA, despite its broad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investment, lacks clarity and important provisions such as those on performance requirement and appointment requirement of senior management and boards of directors. The most-favored nation treatment principle also needs to be widened in its application. The balancing efforts of TPP between investment protection and public policy objectives are reflected in the provisions such as the definition of investment agreement, exclusion of MFN treatment in the dispute settlement, and the exception clauses. The sense of balance of the TPP investment chapter should be learned for the future investment treaties including the follow-up negotiation of the Korea-China FT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기본원칙 규정
      • III. 기타 실체규정
      • IV. 예외규정
      • 요약
      • I. 서론
      • II. 기본원칙 규정
      • III. 기타 실체규정
      • IV. 예외규정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민, "투자분쟁해결절차에서의 간접수용의 개념 ― NAFTA에서의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 (20): 175-216, 2012

      2 허난이, "국제투자조약상 기업의 국적"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3 (13): 115-133, 2015

      3 김대원, "韓國-中國 FTA 투자챕터의 비교법적 분석과 평가"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3 (13): 7-33, 2015

      4 Wolfgang Alschner, "The new gold standard? - Empirically situating the TPP in the investment treaty universe" 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for Trade and Economic Integration 2015

      5 Lise Johnson, "The TPP’s Investment Chapter: Entrenching, rather than reforming, a flawed system" CCSI 2015

      6 Julien Chaisse, "The Reg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y Arrangements" Brit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2015

      7 이재민, "TPP 투자챕터의 특징 및 법적 쟁점 -한미 FTA 투자챕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거래법학회 24 (24): 227-254, 2015

      8 Public Citizen, "Secret TPP Investment Chapter Unveiled: It’s Worse than We Thought"

      9 정찬모, "Kılıç 중재판정과 투자협정상 국내절차선행 요건의 최혜국대우조항을 통한 회피가능성"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2 (12): 169-204, 2014

      10 Luke Eric Peterson, "A First Glance at the Investment Chapter of the TPP Agreement: A Familiar US_Style Structure with a Few Novel Twists"

      1 이재민, "투자분쟁해결절차에서의 간접수용의 개념 ― NAFTA에서의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 (20): 175-216, 2012

      2 허난이, "국제투자조약상 기업의 국적"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3 (13): 115-133, 2015

      3 김대원, "韓國-中國 FTA 투자챕터의 비교법적 분석과 평가"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3 (13): 7-33, 2015

      4 Wolfgang Alschner, "The new gold standard? - Empirically situating the TPP in the investment treaty universe" 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for Trade and Economic Integration 2015

      5 Lise Johnson, "The TPP’s Investment Chapter: Entrenching, rather than reforming, a flawed system" CCSI 2015

      6 Julien Chaisse, "The Reg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y Arrangements" Brit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2015

      7 이재민, "TPP 투자챕터의 특징 및 법적 쟁점 -한미 FTA 투자챕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거래법학회 24 (24): 227-254, 2015

      8 Public Citizen, "Secret TPP Investment Chapter Unveiled: It’s Worse than We Thought"

      9 정찬모, "Kılıç 중재판정과 투자협정상 국내절차선행 요건의 최혜국대우조항을 통한 회피가능성"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2 (12): 169-204, 2014

      10 Luke Eric Peterson, "A First Glance at the Investment Chapter of the TPP Agreement: A Familiar US_Style Structure with a Few Novel Twis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41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