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s of ‘-dorok’ are ‘until’, ‘degree’, ‘purpos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purpose’ of ‘-dorok’ ba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urpose’ is defined as a reason formulated in terms of the intende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10259
2015
-
목적 연결어미 ; 도급 ; 목적 ; 의도성 ; 결과 함축 ; 의미 발달 ; purposal connective ending ; until ; purpose ; intention ; implicature of result ; development of meanings
700
KCI등재
학술저널
267-302(3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anings of ‘-dorok’ are ‘until’, ‘degree’, ‘purpos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purpose’ of ‘-dorok’ ba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urpose’ is defined as a reason formulated in terms of the intended...
The meanings of ‘-dorok’ are ‘until’, ‘degree’, ‘purpos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purpose’ of ‘-dorok’ based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urpose’ is defined as a reason formulated in terms of the intended outcome of that action. Thus ‘purpose’ can be classified into subtypes, ‘intention’ and ‘(desired) result’. The ‘purpose’ of ‘-dorok’ focuses on the ‘(desired) result’. Compared to ‘-ryeogo’, ‘-goja’ which are purposal connective endings, ‘-dorok’ has lower ‘intention’ and implies ‘result’.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dorok’ has come from ‘until’ which has implicature of result. By examin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we can find out how ‘until’ of ‘-dorok’ has affected to ‘purpose’.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평현,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2005
2 장기용, "현대국어 「-게」와 「-도록」의 통어적 기능 연구"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3 김경안, "한국어에서의 사역현상: 통사론적 사역현상, 통제이론, 목적구문"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1996
4 박재연,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확장에서의 환유와 은유" 국어학회 (70) : 117-155, 2014
5 황주원, "한국어 결과구문의 의미 특성" 한국어의미학회 36 : 531-556, 2011
6 정혜자, "한국어 결과구문의 구속 형태소 ‘-게’에 대한 형태-통사론적 분석" 대한영어영문학회 37 (37): 303-325, 2011
7 백낙천, "특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 ‘-도록’, ‘-을수록’, ‘-락’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53) : 149-169, 2009
8 고은숙, "중세국어의 의도성 연결어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9 백낙천, "접속 어미 ‘-도록’과 ‘-을수록’에 대하여" (6) : 317-328, 1994
1 윤평현,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2005
2 장기용, "현대국어 「-게」와 「-도록」의 통어적 기능 연구"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3 김경안, "한국어에서의 사역현상: 통사론적 사역현상, 통제이론, 목적구문"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1996
4 박재연,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확장에서의 환유와 은유" 국어학회 (70) : 117-155, 2014
5 황주원, "한국어 결과구문의 의미 특성" 한국어의미학회 36 : 531-556, 2011
6 정혜자, "한국어 결과구문의 구속 형태소 ‘-게’에 대한 형태-통사론적 분석" 대한영어영문학회 37 (37): 303-325, 2011
7 백낙천, "특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 ‘-도록’, ‘-을수록’, ‘-락’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53) : 149-169, 2009
8 고은숙, "중세국어의 의도성 연결어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9 백낙천, "접속 어미 ‘-도록’과 ‘-을수록’에 대하여" (6) : 317-328, 1994
10 염필은, "접속 어미 '-게'와 '-도록'의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11 尹相京, "연결형 어미 「-려」·「-려고」·「-고자」의 의미·통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84
12 손세모돌, "연결어미 ‘-고자’와 ‘-려고’에 대하여" (3) : 91-110, 1997
13 최현배, "역대한국문법대계 제1부 제18책" 1979
14 서정수, "어미 ‘게’와 ‘도록’의 대비 연구" (13) : 23-52, 1988
15 석주연, "신소설 자료에 나타난 어미 ‘-도록’의 의미와 문법- 사동과 명령의 범주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9 : 25-49, 2013
16 윤평현, "목적 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9) : 187-203, 1988
17 이금영, "근대국어 의도 관계 연결어미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6) : 37-62, 2011
18 이은경,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9 박진희, "국어 목적절의 네 가지 유형" 국어학회 (61) : 181-206, 2011
20 송홍규, "국어 결과구문의 구성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원 (46) : 191-225, 2007
21 오충연, "국어 결과 구문의 범주 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26 (26): 595-619, 2010
22 김경학, "결과구문의 통사의미특성과 사건구조" 언어교육원 41 (41): 517-542, 2005
23 김경학, "결과구문의 분석과 의미해석에 대해" 25 (25): 31-50, 2000
24 정연주, "‘하다’의 기능에 대한 구문 기반 연구" 고려대학교 2015
25 서정수, "‘게’와 ‘도록’에 관하여" 14 : 41-67, 1987
26 한송화, "‘-으러’와 ‘-으려고’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47) : 343-372, 2007
27 김재윤, "‘-도록’의 통사적 제약 및 의미 분석" (46) : 255-272, 1983
28 석주연, "‘-도록’의 의미와 문법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19 : 37-63, 2006
29 김혜성, "‘-도록’의 의미에 관한 연구" 18 (18): 63-79, 1993
30 이양혜, "‘-도록’의 기능적 특징" 13 (13): 53-76, 1998
31 정연주, "‘-도록 하다’ 구문의 구성 과정에 대하여" 2014
32 이진병, "‘-게/-도록’에 의한 사동문의 문장 의미 구성" 한국언어문학회 (78) : 91-115, 2011
33 李鍾桓, "‘-게, -도록’의 통사적·의미적 특성"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34 윤평현, "‘-게, -도록’의 의미에 대하여" (100) : 307-318, 1998
35 이은정, "[-도록]의 기능과 의미 유형 고찰" (181) : 39-57, 1983
36 Dixon, "The Semantics of Clause Lin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7 Sonia Cristofaro, "Subordi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8 Lakoff,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39 Heine,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0 Sweetser, Eve,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41 Schmidtke-Bode, "A Typology of Purpose Clauses" John Benjamins 2009
42 허웅, "16세기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89
체언 어간말 ‘>오’ 변화에 대하여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5 | 1.45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1 | 1.52 | 2.57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