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n current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is based on three targets, ‘vision 3000,’ ‘denuclearization’ and ‘openness.’ With the mis-understanding on the policy, some people are concerned about doing nothing for the improvement of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n current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is based on three targets, ‘vision 3000,’ ‘denuclearization’ and ‘openness.’ With the mis-understanding on the policy, some people are concerned about doing nothing for the improvement of ...
South Korean current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is based on three targets, ‘vision 3000,’ ‘denuclearization’ and ‘openness.’ With the mis-understanding on the policy, some people are concerned about doing nothing for the improvement of South-North relation so far as the south’s overemphasizing the ‘denuclearization’ policy of the North. Nevertheless, this paper asserts that it is actually not right. The current policy seeks the targets to be in harmony with one another
This paper bring up joint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as a solution to inter- Korean economic cooperation under the South’s current policy. The joint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roduces some economic effects. South Korea may gain import-substitution effect, cost-cutting effect, investment-returns effect and so on. The North can enjoy income-creation effect. employment-promoting effect, domestic supply-increasing effect, and export-enlarging effect.
After all, the South and North could together relieve the structural shortage of supply problem and promote economic growth under the influence of the joint exploitation of resources. Accordingly, South Korean government, pursuing ‘Vision 3000: Denuclearization and Openness,’ should push ahead with the joint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as an effective approach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s.
국문 초록 (Abstract)
‘비핵·개방·3000’하에서의 남북경협은 남북한 간의 자원공동 개발에서부터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남북 자원공동개발이 남한의 경우는 수입대체효과, 원가절감효과, 투자수익효과 등을, ...
‘비핵·개방·3000’하에서의 남북경협은 남북한 간의 자원공동 개발에서부터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남북 자원공동개발이 남한의 경우는 수입대체효과, 원가절감효과, 투자수익효과 등을, 그리고 북한의 경우는 소득창출효과, 고용창출효과, 내수보장효과 등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북한광업생산 정상화를 목표로 할 경우 2006년 24.1억 달러의 생산에서 10년 뒤 54.2억 달러로 증가될 수 있다. 이는 광업생산을 2.2배 증대시키는 것이며 연평균 8.4% 생산증가율을 지속하는 셈이 된다. 또한 자원공동개발은 북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상호성 또는 쌍방성에 기초한 남북경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남한 일방의 교류협력으로 인한 불균형성을 시정하고 정상적 남북협력관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남북한 간의 자원공동개발은 남북한 모두에게 가시적인 이익을 가져다줌으로써 정상적인 남북경협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자원공동개발은 현 정부의 ‘비핵·개방·3000’ 가운데 ‘3000’ 실현을 위한 선도부문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은행 자료"
2 "한국무역협회 자료"
3 "통일원. 『북한경제통계 자료집』. 1995"
4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 대북정책은 이렇습니다』. 2008"
5 "통일부. 『북한개요』. 2003"
6 "통일부, 내부 보고서"
7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2007"
8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9 "조선대백과사전 21" 백과사전출판사 1996
10 홍성국, "자력갱생의 기로; 북한경제 이론과 실제" 피씨라인 2005
1 "한국은행 자료"
2 "한국무역협회 자료"
3 "통일원. 『북한경제통계 자료집』. 1995"
4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 대북정책은 이렇습니다』. 2008"
5 "통일부. 『북한개요』. 2003"
6 "통일부, 내부 보고서"
7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2007"
8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9 "조선대백과사전 21" 백과사전출판사 1996
10 홍성국, "자력갱생의 기로; 북한경제 이론과 실제" 피씨라인 2005
11 한국산업은행, "신 북한의 산업(상)" 2005
12 홍성국, "북핵문제가 북한의 체제내구력에 미치는 영향" 2007
13 남성욱, "북한의 비핵화와 개혁·개방전망"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 : 2007
14 홍성국, "북한경제의 시장화 평가”, 한국수출입은행, 『수은 북한경제』. 여름호, 2008"
15 "대한광업진흥공사. 『북한 정촌흑연광산 투자는 이렇게 하였다』. 2007"
16 "대한광업진흥공사. 『광물자원 매장량 현황』. 2005"
17 "대한광업진흥공사. 『광물요람 2002~2006』. 2006"
18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북한연구학회. 『신 남북경협과 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 발전과제』. 2007"
19 김영윤, "남북경협의 현황과 과제(수은 북한경제)" 한국수출입은행 2008
20 정우진, "남북 광물자원개발 협력방안과 과제. 『수은 북한경제』. 겨울호. 한국수출입은행. 2007"
21 "경제사전 제2권" 백과사전출판사 1985
22 "『중앙일보』"
23 "『중앙SUNDAY』"
24 "『조선중앙통신』"
25 "『조선일보』"
26 "World Trade Search, D.P.R.Korea Export & Import, Kyoto, Japan: WTS Co. Ltd., 2007"
27 "KOTRA의 연도별 북한 무역 추정 자료"
28 양문수, "2007 남북정상회담 이후 경제협력의 전망과 과제" 통일연구원 16 (16): 2007
29 한국무역협회, "2007 남북교역 조사보고서" 2008
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년도 광산물 수급현황" 2007
‘진달래’ 이미지의 변화와 그 의미: 북한 시에 나타난 ‘진달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8 | 1.82 | 2.05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