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횡축 4정점 체중부하 감소기법 이용한 하지 근력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0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중 벨트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좌우 독립적 보행 시 횡축 체중부하 감소 유무에 따른 하지근력불균형 개선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피험자들은 하지의 좌우 근력차이가 20% 이상인 자 20명이며 체중부하 감소 유무에 따라 각각 10명씩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보행운동을 격일로 40분씩 주 3회, 총 4주간 진행되었으며 2주마다 등속성 관절토크 검사를 실시하여 고관절, 슬관절 및 족관절의 최대근력과 평균일률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고관절에서 가장 큰 하지의 좌우 최대근력 불균형 개선효과(12.51%)를 보였으며 슬관절에서는 근반응성 개선효과(10.66%)가 크게 나타났다. 체중부하 감소방법은 하지의 근력불균형 개선효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이중 벨트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좌우 독립적 보행 시 횡축 체중부하 감소 유무에 따른 하지근력불균형 개선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피험자들은 하지의 좌우 근력차이가 20% ...

      본 연구는 이중 벨트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좌우 독립적 보행 시 횡축 체중부하 감소 유무에 따른 하지근력불균형 개선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피험자들은 하지의 좌우 근력차이가 20% 이상인 자 20명이며 체중부하 감소 유무에 따라 각각 10명씩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보행운동을 격일로 40분씩 주 3회, 총 4주간 진행되었으며 2주마다 등속성 관절토크 검사를 실시하여 고관절, 슬관절 및 족관절의 최대근력과 평균일률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고관절에서 가장 큰 하지의 좌우 최대근력 불균형 개선효과(12.51%)를 보였으며 슬관절에서는 근반응성 개선효과(10.66%)가 크게 나타났다. 체중부하 감소방법은 하지의 근력불균형 개선효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were to investigate effect of correction to muscle imbalance in lower limbs according to reduction of weight bearing methods of four point of horizontal shaft using two-belt treadmill. Participants were divided to two group according to each ten peoples who have difference of muscle function in left and right legs over 20%. Experiment progressed forty minutes a day three days a week, total four weeks and we estimated the maximal peak torque and average power for testing joint torque in hip, knee and ank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ction effect of muscle imbalance to the maximal muscle strength was the most effective in hip joint. Also in knee joint, correction effect of muscular re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too. We thought that reduction of weight bearing methods could be positive effect to correct muscle imbalance in lower limb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were to investigate effect of correction to muscle imbalance in lower limbs according to reduction of weight bearing methods of four point of horizontal shaft using two-belt treadmill. Participants were divided to two group according...

      In this paper, we were to investigate effect of correction to muscle imbalance in lower limbs according to reduction of weight bearing methods of four point of horizontal shaft using two-belt treadmill. Participants were divided to two group according to each ten peoples who have difference of muscle function in left and right legs over 20%. Experiment progressed forty minutes a day three days a week, total four weeks and we estimated the maximal peak torque and average power for testing joint torque in hip, knee and ank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ction effect of muscle imbalance to the maximal muscle strength was the most effective in hip joint. Also in knee joint, correction effect of muscular re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too. We thought that reduction of weight bearing methods could be positive effect to correct muscle imbalance in lower limb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식, "하지 불균형 자세의 작업부하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2 이인석, "쪼그려 앉은 작업자세에서의 작업부하 평가" 포항공과대학교 1997

      3 강승록, "요추강화 운동기기의 훈련을 통한 유연성 및 근력 특성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4 (4): 53-61, 2010

      4 문영진, "역도인상동작 수행시 좌우근력의 불균형 분석 및 처치 프로그램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49, 2006

      5 강승록, "실내용 승마운동기를 이용한 젊은 성인남녀의 유연성 및 근기능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7 (7): 1-11, 2013

      6 강승록, "상지 좌우 운동부하 편차방식이 근력 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밀공학회 29 (29): 1026-1034, 2012

      7 김은식, "불균형 하지 자세에 대한 주관적 불편도 평가에 관한 연구" 33-41, 2009

      8 강승록, "로잉운동의 부하편차 방식 적용에 따른 상하지 생체 역학적 평가" 한국운동역학회 21 (21): 369-382, 2011

      9 박양선, "노인 하지근력 불균형에 따른 보행과 계단 내리기 보행의 변인 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 20 (20): 127-132, 2012

      10 M. J. Mueller, "Weight-Bearing Versus Non weight-Bearing Exercise for Persons With Diabetes and Peripheral Neuropath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9 (9): 829-838, 2013

      1 김은식, "하지 불균형 자세의 작업부하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2 이인석, "쪼그려 앉은 작업자세에서의 작업부하 평가" 포항공과대학교 1997

      3 강승록, "요추강화 운동기기의 훈련을 통한 유연성 및 근력 특성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4 (4): 53-61, 2010

      4 문영진, "역도인상동작 수행시 좌우근력의 불균형 분석 및 처치 프로그램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49, 2006

      5 강승록, "실내용 승마운동기를 이용한 젊은 성인남녀의 유연성 및 근기능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7 (7): 1-11, 2013

      6 강승록, "상지 좌우 운동부하 편차방식이 근력 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밀공학회 29 (29): 1026-1034, 2012

      7 김은식, "불균형 하지 자세에 대한 주관적 불편도 평가에 관한 연구" 33-41, 2009

      8 강승록, "로잉운동의 부하편차 방식 적용에 따른 상하지 생체 역학적 평가" 한국운동역학회 21 (21): 369-382, 2011

      9 박양선, "노인 하지근력 불균형에 따른 보행과 계단 내리기 보행의 변인 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 20 (20): 127-132, 2012

      10 M. J. Mueller, "Weight-Bearing Versus Non weight-Bearing Exercise for Persons With Diabetes and Peripheral Neuropath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9 (9): 829-838, 2013

      11 T. Jurimae, "Relationship between rowing ergometer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upper and lower body exercises in rowers" 14 (14): 434-437, 2010

      12 C. Askling, "Hamstring injury occurrence in elite soccer players after preseason strength training with eccentric overload" 13 (13): 244-250, 2003

      13 L. Nasher, "Evaluation of postural stability, movement, and control, In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Mosby 199-234, 2004

      14 R. J. Schmitz, "Effect of axial load on anterior tibial translation when transitioning from non-weight bearing to weight bearing" 25 : 77-82, 2010

      15 R, U. Newton, "Determination of functional strength imbalance of the lower extremities" 20 (20): 971-99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56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