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小林一茶의 ≪시경≫ 俳句化 양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7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小林一茶(고바야시 잇사, 1763-1827, 이하 ‘잇사’라고 칭함)의 ≪시경≫ 俳句(이하 ‘하이쿠’라고 칭함)化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이다. 잇사는 1803년 ≪시경≫을 공부하...

      이 글은 小林一茶(고바야시 잇사, 1763-1827, 이하 ‘잇사’라고 칭함)의 ≪시경≫ 俳句(이하 ‘하이쿠’라고 칭함)化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이다. 잇사는 1803년 ≪시경≫을 공부하고, 이를 하이쿠로 재창작하여 ≪享和句帖≫을 작성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없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잇사의 ≪시경≫ 수용 양상을 다룬 바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주로 國風에 한정되었으며 연구자들 사이에 용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번역이라는 관점을 지양하고 俳句化라고 명명하였다. 나아가 두 장르간의 심층적인 교류와 영향 관계를 문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시경≫ 俳句化 양상을 주제의식의 재현,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의경 전화와 제목 차용의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제의식의 재현에서는 주로 고향이나 부모를 그리워하는 작품이 선별되어 俳句化 되었다. 이때 단순한 주제 차용의 수준이 아니라 핵심 의미를 도출, 주석을 고려하여 해석하거나 잇사 개인의 원작 이해가 많이 개입되었음을 살폈다.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에서는 해당 원천들의 의미를 절취하거나 조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해석한 작품이 두드러졌다. 의경 전화에서는 일본적 정경으로 그 분위기를 바꾸는 작품이 있었는가하면, 제목 차용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작품도 존재했다. 俳句化의 의식 지향은 ≪시경≫의 감정이나 격앙된 어조, 비난 등을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고 이치를 배척하거나 詩敎의 관점을 탈피한 것, 도덕적 이상을 담아내지 않는 작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잇사는 ≪시경≫을 하이쿠로 옮겨 올 때 매우 많은 부분에서 하이쿠적인 감상과 습관을 자각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잇사가 ≪시경≫을 俳句化한 것의 의미는 우리의 ≪시경≫ 수용과 대조해볼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에서는 ≪시경≫을 언해하였지만 의역이 아닌 직역을 하였기 때문에 ≪시경≫ 원문의 글자가 유지되었다. 일본의 경우도 훈독체로 ≪시경≫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원 글자가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잇사는 ≪시경≫의 출발점인 민요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일본의 민족어 시가 형태로 그 내용을 옮겼다.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시경≫ 수용 방식을 벗어나 잇사는 민족어 시가로 ≪시경≫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잇사의 ≪시경≫ 俳句化의 의미를 본래 ≪시경≫의 출발점인 노래 그 자체로 인식하여 받아들인 태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for considering and looking through the meaning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Hiku-ka of Kobayashi Issa before reviewing and adapt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Issa wrote his works by using Hyanghwa-Gucheop in 1803,...

      This article is for considering and looking through the meaning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Hiku-ka of Kobayashi Issa before reviewing and adapt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Issa wrote his works by using Hyanghwa-Gucheop in 1803, and he had adopted it as his creative works of Hikai absorb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for about half a year. There has been no national study about this so far, and this study covered the aspects of Issa’s adapting way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Japan and China.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that the contents were limited to Guo-feng and there were no agreement of terminology as well among researcher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at all the works, rejected the view point as just a translation, and denominated this study as Haiku-ka. Above all, this study looked though Issa’s Classic of Poetry(Shi jing) by splitting the aspects of Haiku-ka into borrowing topics and materials. In borrowing topics, the works with the topics of homesick and nostalgic parents stood out. Furthermore, anno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Issa’s original works were deeply involved. In borrowing materials, the original meanings in the works were transformed and changed or even reinterpreted by their own way. Eliminating sublime emotions, furious tone, and condemnation was main characteristic of Haiku-ka in Classic of Poetry(Shi jing). Besides, there were ways of exclusion of reasoning, deviating from the viewpoint of Sigyo(edification by poetry), not including moral senses. In other words, Issa used habits and impressions like the way of Haiku when he was doing Haiku-ka in Classic of Poetry(Shi jing). The meaning that Issa’s Hiku-ka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stood out compared to adaptation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Although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Vietnam was transferred in the form of the poem in Vernacular, the meaning and contents were not changed. Moreover, the original works and characters in Joseon were not destroyed because Classic of Poetry(Shi jing) was not liberally translated but literally. However, Issa transferred the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the form of the poem in Vernacular to reveal the value of popular ballads. This was a different adapting way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from that in Eastern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시경≫ 俳句化의 양상
      • 1. 주제의식의 재현
      • 2.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 <논문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시경≫ 俳句化의 양상
      • 1. 주제의식의 재현
      • 2.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 3. 의경 轉化와 제목 차용
      • Ⅲ. 俳句化의 의식 지향과 그 의미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백효, "현토완역(懸吐完譯) 시경집전(詩經集傳)(上ㆍ下)" 전통문화연구회 1993

      2 최귀묵, "중세 베트남의 <<詩經>> 번역의 양상과 특징" 한국동남아학회 25 (25): 141-171, 2015

      3 심경호,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일지사 1999

      4 "잇사전집" 新濃每日新聞社 1994

      5 최귀묵, "베트남의 쯔놈 번역 텍스트의 양상과 특징" 인문학연구소 73 : 423-455, 2013

      6 유옥희, "고바야시 잇사, 하층의 삶을 보듬다" 문예운동사 121 : 2014

      7 王曉平, "日本詩經學史" 學苑出版社 2009

      8 張文朝, "日本における≪詩經≫學史" 萬卷樓圖書股份有限公司 2012

      9 丸山一彦, "小林一茶新訂版" 櫻楓社 1979

      10 慶應義塾大學付屬硏究所斯道文庫, "圖說書誌學" 勉誠出版 2010

      1 성백효, "현토완역(懸吐完譯) 시경집전(詩經集傳)(上ㆍ下)" 전통문화연구회 1993

      2 최귀묵, "중세 베트남의 <<詩經>> 번역의 양상과 특징" 한국동남아학회 25 (25): 141-171, 2015

      3 심경호,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일지사 1999

      4 "잇사전집" 新濃每日新聞社 1994

      5 최귀묵, "베트남의 쯔놈 번역 텍스트의 양상과 특징" 인문학연구소 73 : 423-455, 2013

      6 유옥희, "고바야시 잇사, 하층의 삶을 보듬다" 문예운동사 121 : 2014

      7 王曉平, "日本詩經學史" 學苑出版社 2009

      8 張文朝, "日本における≪詩經≫學史" 萬卷樓圖書股份有限公司 2012

      9 丸山一彦, "小林一茶新訂版" 櫻楓社 1979

      10 慶應義塾大學付屬硏究所斯道文庫, "圖說書誌學" 勉誠出版 2010

      11 "享和句帖"

      12 金子兜太, "一茶句集" 岩波書店 1983

      13 松尾靖秋, "一茶事典" おうふう 1995

      14 丸山一彦, "一茶の俳諧歌" 俳文学会 13 : 1957

      15 丸山一彦, "一茶と詩経" 俳文学会 11 : 1955

      16 김수경, "『詩集傳詳說』에 보이는 『詩經諺解』에 대한 번역학적 고찰" 민족어문학회 (63) : 173-19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