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술형 평가에서의 교사평가와 동료평가 활동 경험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인식 =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Descriptive Assessment Activity Experiences by Teacher or by Pe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9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에 대한 교사평가와 동료평가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시사점...

      이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에 대한 교사평가와 동료평가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소도시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2개반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평가는 10차시 수업 동안 진행되었으며, 교사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교사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수업 중에 실시하였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소집단 별로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교사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와 학생평가에서 동일한 채점 기준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하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업성취도가 하위인 학생들만 비교한 결과 교사평가를 실시한 학급보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학급에서 성취도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결과에서도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 평가가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별히 과학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of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domains by descriptive items assessment of teacher or peer and to obtain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of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domains by descriptive items assessment of teacher or peer and to obtain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wo classes of 11th grade students located in a small city were selected and took an exam related to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domains before and after the assessment. The assessmen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during 10 lessons and the teacher gave feedback to the students of the teacher assessment class in the lessons. In the peer assessment class, a small-size student group discussion and feedback were given to the students after the exam. The results show that higher level achievement group students represented relatively positive satisfaction on teacher assessment, and lower level achievement group students represented positive satisfaction on peer assessment. In spite of the same marker list, higher level achievement group students represent relatively high reliability than lower level achievement group students. The lower level achievement group students in the peer assessment class got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of achievement than the students of teacher assessment class. The peer assessment activity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ffective domain of the lower level achievement group students, especially signigicant meaning of statistics was found on the students` perception about sc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2 채수진,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평가방법의 일관성 검토 :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331-349, 2006

      3 강경희,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교육연구원 25 (25): 261-275, 2009

      4 한정선, "동료평가가 온라인 토론 양상에 미치는 변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87-107, 2008

      5 김유향, "과학 탐구 사고력 측정을 위한 서술형 평가 도구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167-177, 2012

      6 Wen, M. L.,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online peer assessment" 51 : 27-44, 2006

      7 Back, S. K., "The principle of descriptive evaluation" Education Science Company 2000

      8 "The logic and computational details of the Mann-Whitney test. chapter 11a.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Inferential Statistics.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Statistics at the University of Saskatchewan: ©Richard Lowry 2001-2014"

      9 Orsmond, P., "The importance of marking criteria in peer and self-assessment" 21 (21): 239-249, 1996

      10 Hong, M.,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with assay & description type test science in biology for high school students" 30 : 65-100, 2006

      1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2 채수진,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평가방법의 일관성 검토 :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331-349, 2006

      3 강경희, "발표 활동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 동료평가에 관한 결과와 인식 분석" 교육연구원 25 (25): 261-275, 2009

      4 한정선, "동료평가가 온라인 토론 양상에 미치는 변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4 (24): 87-107, 2008

      5 김유향, "과학 탐구 사고력 측정을 위한 서술형 평가 도구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167-177, 2012

      6 Wen, M. L.,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online peer assessment" 51 : 27-44, 2006

      7 Back, S. K., "The principle of descriptive evaluation" Education Science Company 2000

      8 "The logic and computational details of the Mann-Whitney test. chapter 11a.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Inferential Statistics.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Statistics at the University of Saskatchewan: ©Richard Lowry 2001-2014"

      9 Orsmond, P., "The importance of marking criteria in peer and self-assessment" 21 (21): 239-249, 1996

      10 Hong, M.,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with assay & description type test science in biology for high school students" 30 : 65-100, 2006

      11 Song, H. M.,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peer evaluation and the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s in solving descriptive questions of metabolis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6

      12 Alexopoulou, E.,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 Peer interaction modes in peers and fours" 33 (33): 1099-1114, 1996

      13 Green, M., "Responsive evaluation" Heinemann 83-103, 1994

      14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inforcing method of descriptive and assay assessment for students' improvement of scholastic ability in Seoul" 2010

      15 Falchikov, N., "Product comparisons and process benefits of collaborative peer group and self assessments" 11 : 146-166, 1986

      16 Farr, R., "Portfolio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lex publishing 1994

      17 Defina, A. A., "PortFolio assessment. Getting started" Scholastic Professional Books 1992

      18 Blom, D., "Peer assessment of tertiary music performance" 21 (21): 111-125, 2004

      19 Hahn, A. J., "New elementary science teaching method" Education science company 1997

      20 Kim, H. N., "National science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Science Education Institut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8

      21 Fry, 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peer marking in higher education" 15 : 177-189, 1990

      22 Kyungkido Education Office, "Guidebook of descriptive & Essay evaluation. North government office building, Support s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2012

      23 Webb, N. M., "Group Composition, Group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small groups" 74 (74): 475-484, 1982

      24 Topping, K., "Formative peer assessment of academic writing between postgraduate students" 25 (25): 149-169, 1998

      25 Park, D. S., "Evaluation of education" Education Science Company 2008

      26 Kang, H., "Elemenatary science education theory" Education Science Company 2010

      27 Watson, S. B., "Effects of cooperative incentives and heterogeneous arrangement on achievement and interaction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s in a college life science course" 32 (32): 291-299, 1995

      28 Ha, B., "Development of practical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6 : 33-72, 2000

      29 Ballantyne, R., "Developing procedures for implementing peer assessment in large classes using an action research process" 27 (27): 427-441, 2002

      30 Kim, S., "Developing descriptive essay problems in mathematics for high school students" 30 : 1-22, 2006

      31 Lee, J., "Descriptive evaluation ROAD VIEW-Science" ParkLeeJung Publisher 2011

      32 Kim, J. H., "Descriptive evaluation ROAD VIEW" ParkLeeJung Publisher 2010

      33 Yang, G. S., "Descriptive and essay assessment source book"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06

      34 Hwang, J., "An assess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performance on science process skills in biology" 14 (14): 67-84, 2010

      35 Cho, H. M.,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peer evaluation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vism" 23 : 229-254, 2004

      36 김광용,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과목의 서술형 수행평가 적용방안" 교육연구원 29 (29): 187-20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