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구성 및 내용 분석 연구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 Focusing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9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매개체다. 따라서 교수자나 학습자에게 방향성과 효용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전체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해 구성상의 특징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교재 활용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는 교재의 방향을 찾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주제 중심, 영역 통합적 구성, 구두 언어 중심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먼저 목표 문법의 제시에서 체계성과 연계성의 미비가 한국어 교수학습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영역 통합적 구성에서 획일적, 기계적 활동이 발생, 문법적 내용성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 구체적 방법으로 기본 문법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어 교재를 통해 한국어의 과학성을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매개체다. 따라서 교수자나 학습자에게 방향성과 효용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전체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해 ...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매개체다. 따라서 교수자나 학습자에게 방향성과 효용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전체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해 구성상의 특징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교재 활용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는 교재의 방향을 찾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주제 중심, 영역 통합적 구성, 구두 언어 중심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먼저 목표 문법의 제시에서 체계성과 연계성의 미비가 한국어 교수학습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영역 통합적 구성에서 획일적, 기계적 활동이 발생, 문법적 내용성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 구체적 방법으로 기본 문법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어 교재를 통해 한국어의 과학성을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di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the problems that arise while usmg them. So this study is gomg to talk about the directions of textbooks that actually help for teach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subject-oriented, area-integrated composition, and verbal language-oriented feature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First, the author pointed out the lack of systemicity and connectivity in presenting target grammar. The author believe this reas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language. Next, it was noted that the area-integrated composition could result in uniformity of activities and mechanical application. Therefore, the author thought that we should be able to supplement the grammatical content to help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extbooks should be able to play their role.
      번역하기

      Korean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di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

      Korean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di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the problems that arise while usmg them. So this study is gomg to talk about the directions of textbooks that actually help for teach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subject-oriented, area-integrated composition, and verbal language-oriented feature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First, the author pointed out the lack of systemicity and connectivity in presenting target grammar. The author believe this reas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language. Next, it was noted that the area-integrated composition could result in uniformity of activities and mechanical application. Therefore, the author thought that we should be able to supplement the grammatical content to help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extbooks should be able to play their ro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전체 구성 3.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단원별 구성요소 분석 4. 결론
      • 1. 서론 2.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전체 구성 3.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단원별 구성요소 분석 4.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