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 분석;성과와 과제 = Research Trends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 Education; A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during the past 20 ye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3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상옥,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115-129, 2007

      2 윤인경, "한국가정과교육 동향분석" 13 (13): 73-83, 2001

      3 윤인경,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55-71, 2005

      4 김나연, "취학기 아동청소년 소비자교육의 연구동향-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교육대상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27-40, 2005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실과교육 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6 정성봉,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론" 교학사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ㆍ가정)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8 한국기술교육학회, "기술, 가정, 기술ㆍ가정 과목의 교사자격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를 위한 연구 공청회"

      9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Ⅲ):즐거운 생활, 체육, 음악, 미술, 실과, 특별활동" 교육부 1993

      10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문교부

      1 장상옥,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115-129, 2007

      2 윤인경, "한국가정과교육 동향분석" 13 (13): 73-83, 2001

      3 윤인경, "한국 가정과교육 연구 논문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55-71, 2005

      4 김나연, "취학기 아동청소년 소비자교육의 연구동향-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교육대상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27-40, 2005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실과교육 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6 정성봉,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론" 교학사 2007

      7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ㆍ가정)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8 한국기술교육학회, "기술, 가정, 기술ㆍ가정 과목의 교사자격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를 위한 연구 공청회"

      9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Ⅲ):즐거운 생활, 체육, 음악, 미술, 실과, 특별활동" 교육부 1993

      10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문교부

      11 이연숙, "가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2009

      12 양정혜, "7차 교육과정 이후 가정과 교과교육의 연구동향" 대한가정학회 14 (14): 61-72,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