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조ㆍ광해군대 정몽주 인식 = 윤두수의 󰡔成仁錄󰡕과 오운의 󰡔동사찬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써 윤두수의 『성인록』과 오운의 『동사찬요』를 통하여 선조·광해군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중종대 정몽주의 문묘종사는 정몽주를 충신에서 성현의 반열로 올려놓고 있으나, 문묘종사에서 논란이 되었던 정몽주의 출처에 대해서는 여전히 분분하니, 명종대 이황은 程子의 말을 빌어서 그 진위의 논란을 잠재우고 있다.
      선조대 이르러 서인의 영수인 윤두수는 『성인록』에서 정몽주를 송나라의 문천상과 나란히 살신성인한 인물로서, 이제는 충신을 뛰어넘어 ‘仁人’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몽주의 문집인 『포은집』은 한 개인의 문집으로써 세종대에 이어서, 또 한 번 선조 18년(1585)에 간행되어 반포된다. 이때 좌의정 노수신에게 서문을 쓰게 하고, 유성룡에게는 기존의 신계본, 개성본, 관본을 모아서 교정을 보게 하고 발문을 쓰게 하는데, 그 과정에서 대의명분을 저버린 정도전과의 교유 관련 내용은 모두 삭제된다.
      임진왜란 이후 동인의 영수인 유성룡이 교정을 보아서 간행되었던 『포은집』 운각본을 바탕으로 잘못된 곳을 다시 한 번 개진하는 이가 유성룡의 벗인 죽유 오운이다. 오운은 세 차례에 걸쳐 『동사찬요』를 편찬한다. 그 과정에서 『고려사』에는 수록되지 못한, 고려 말 절의를 지킨 인물 길재, 김주, 이양중, 서견, 원천석 등을 추가 서술하는데, 이들은 선조대 이르러 세인의 이목을 받던 인물들이다. 여기에는 선조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한 몫을 하고 있다.
      광해군대 이르러 오운은 『동사찬요』의 정몽주 열전에서 이성계와의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공민왕 16년 기사, 즉 이색이 정몽주를 동방 이학의 비조라고 칭송한 기사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중종 12년 정몽주가 문묘에 종사된 이후 조선 이학의 도통의 연원이라는 것을 말하는 단초가 되는 기사로써, 이를 강조하고자 함인 것이다. 이를 반증하듯 공양왕대 기사 가운데 공양왕의 옹립, 정몽주의 죽음을 제외한 모든 기사를 삭제하여, 도리어 정몽주의 죽음을 살신성인으로 강조하게 되니 성현의 반열에서 ‘인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보면 선조·광해군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은 당파를 초월하여 임진왜란을 극복하였듯이 소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조대 윤두수는 중종대 성현의 반열에 올려진 정몽주의 인식을 ‘인인’ 단계로 구체화시키며, 광해군대 오운은 이를 『동사찬요』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써 윤두수의 『성인록』과 오운의 『동사찬요』를 통하여 선조·광해군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중종대 정몽주...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를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써 윤두수의 『성인록』과 오운의 『동사찬요』를 통하여 선조·광해군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중종대 정몽주의 문묘종사는 정몽주를 충신에서 성현의 반열로 올려놓고 있으나, 문묘종사에서 논란이 되었던 정몽주의 출처에 대해서는 여전히 분분하니, 명종대 이황은 程子의 말을 빌어서 그 진위의 논란을 잠재우고 있다.
      선조대 이르러 서인의 영수인 윤두수는 『성인록』에서 정몽주를 송나라의 문천상과 나란히 살신성인한 인물로서, 이제는 충신을 뛰어넘어 ‘仁人’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몽주의 문집인 『포은집』은 한 개인의 문집으로써 세종대에 이어서, 또 한 번 선조 18년(1585)에 간행되어 반포된다. 이때 좌의정 노수신에게 서문을 쓰게 하고, 유성룡에게는 기존의 신계본, 개성본, 관본을 모아서 교정을 보게 하고 발문을 쓰게 하는데, 그 과정에서 대의명분을 저버린 정도전과의 교유 관련 내용은 모두 삭제된다.
      임진왜란 이후 동인의 영수인 유성룡이 교정을 보아서 간행되었던 『포은집』 운각본을 바탕으로 잘못된 곳을 다시 한 번 개진하는 이가 유성룡의 벗인 죽유 오운이다. 오운은 세 차례에 걸쳐 『동사찬요』를 편찬한다. 그 과정에서 『고려사』에는 수록되지 못한, 고려 말 절의를 지킨 인물 길재, 김주, 이양중, 서견, 원천석 등을 추가 서술하는데, 이들은 선조대 이르러 세인의 이목을 받던 인물들이다. 여기에는 선조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한 몫을 하고 있다.
      광해군대 이르러 오운은 『동사찬요』의 정몽주 열전에서 이성계와의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공민왕 16년 기사, 즉 이색이 정몽주를 동방 이학의 비조라고 칭송한 기사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중종 12년 정몽주가 문묘에 종사된 이후 조선 이학의 도통의 연원이라는 것을 말하는 단초가 되는 기사로써, 이를 강조하고자 함인 것이다. 이를 반증하듯 공양왕대 기사 가운데 공양왕의 옹립, 정몽주의 죽음을 제외한 모든 기사를 삭제하여, 도리어 정몽주의 죽음을 살신성인으로 강조하게 되니 성현의 반열에서 ‘인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보면 선조·광해군대 정몽주에 대한 인식은 당파를 초월하여 임진왜란을 극복하였듯이 소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조대 윤두수는 중종대 성현의 반열에 올려진 정몽주의 인식을 ‘인인’ 단계로 구체화시키며, 광해군대 오운은 이를 『동사찬요』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vestigated abou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through Sunginrok of Yoon Du-Su and Dongsachanyo of Oh U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Jeong Mong-Ju was moved up to the rank to the saint from the loyalist by Moonmyojongsa of Jeong Mong-Ju in Jungjong’s period, however, his source was continuously controversial. Lee Hwang in Myongjong’s period obliterated the authenticity controversy by quotation of Jungja words.
      In Seonjo’s period, Yoon Du-Su, who was the leader of Seoin, recognized Jeong Mong-Ju as the saint in Sunginrok. He called that Jeong Mong-Ju was a martyr like Moon Cheon-Sang in Song Country. Through this recognition, Pounjib of Jeong Mong-Ju was again spreaded and published in 18 years of Seonjo’s period. The introduction was written by Noh Su-Shin, who was the first vice-premier. and the epilogue was written by Ryu Seong-Ryong. In the process, the information relating to Jeong Do-jeon has been deleted.
      After Imjin War, Ryu Seong-Ryong, who was the leader of Dongin, published Pounjib and Oh Un, who was a friend of Ryu Seong-Ryong, was again published after the correction. Oh Un published Dongsachanyo third edition. In this process, Gil Jae, Kim Ju, Lee Yang-Jung, Seo Kyeon, and Won Cheon-Seok were described additionally, they receiv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n Seonjo’s perio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eonjo’s period.
      Additionally, the story of Jeong Mong-Ju in 16 years Gongmin King period in Dongsachanyo was included in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This story was showed that Jeong Mong-Ju in 12 years Jungjong’s period was the origin of Chosun Confucianism, and it was emphasized in this story. As disprove it, all stories except the enthroning of Gongyang King and the death of Jeong Mong-Ju were deleted, rather, the death of Jeong Mong-Ju was emphasized as the martyr and was showed the aspect as the saint.
      Through this article, we could know tha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was communicated as the overcome of the Imjin War transcending the partisans. Yoon Du-Su in Seonjo’s period embodied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moved up to the rank to the saint in Jungjong’s period, Oh Un in Kwanghaegun’s period reflected in Dongsachanyo.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investigated abou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through Sunginrok of Yoon Du-Su and Dongsachanyo of Oh U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Jeong ...

      This article is investigated abou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through Sunginrok of Yoon Du-Su and Dongsachanyo of Oh U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Jeong Mong-Ju was moved up to the rank to the saint from the loyalist by Moonmyojongsa of Jeong Mong-Ju in Jungjong’s period, however, his source was continuously controversial. Lee Hwang in Myongjong’s period obliterated the authenticity controversy by quotation of Jungja words.
      In Seonjo’s period, Yoon Du-Su, who was the leader of Seoin, recognized Jeong Mong-Ju as the saint in Sunginrok. He called that Jeong Mong-Ju was a martyr like Moon Cheon-Sang in Song Country. Through this recognition, Pounjib of Jeong Mong-Ju was again spreaded and published in 18 years of Seonjo’s period. The introduction was written by Noh Su-Shin, who was the first vice-premier. and the epilogue was written by Ryu Seong-Ryong. In the process, the information relating to Jeong Do-jeon has been deleted.
      After Imjin War, Ryu Seong-Ryong, who was the leader of Dongin, published Pounjib and Oh Un, who was a friend of Ryu Seong-Ryong, was again published after the correction. Oh Un published Dongsachanyo third edition. In this process, Gil Jae, Kim Ju, Lee Yang-Jung, Seo Kyeon, and Won Cheon-Seok were described additionally, they receiv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in Seonjo’s perio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eonjo’s period.
      Additionally, the story of Jeong Mong-Ju in 16 years Gongmin King period in Dongsachanyo was included in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This story was showed that Jeong Mong-Ju in 12 years Jungjong’s period was the origin of Chosun Confucianism, and it was emphasized in this story. As disprove it, all stories except the enthroning of Gongyang King and the death of Jeong Mong-Ju were deleted, rather, the death of Jeong Mong-Ju was emphasized as the martyr and was showed the aspect as the saint.
      Through this article, we could know that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Sarim of Seonjo and Kwanghaegun was communicated as the overcome of the Imjin War transcending the partisans. Yoon Du-Su in Seonjo’s period embodied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moved up to the rank to the saint in Jungjong’s period, Oh Un in Kwanghaegun’s period reflected in Dongsachany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선조대 『成仁錄』을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3. 광해군대 『동사찬요』를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선조대 『成仁錄』을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3. 광해군대 『동사찬요』를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두환, "栗谷 李珥(1536∼1584)의 生涯와 思想" 한국학연구소 38 : 161-200, 2012

      2 "표제음주동국사략"

      3 "포은집"

      4 "퇴계집"

      5 김보정, "중종․명종대 정몽주 인식 - 박상의 『동국사략』과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을 중심으로 -" 부경역사연구소 (39) : 275-307, 2016

      6 "죽유집"

      7 김순희, "죽유 오운의「포은집」교정에 대하여" 한국서지학회 (32) : 337-359, 2005

      8 고령대가야박물관, "죽유 오운의 삶과 학문세계" 역락 2007

      9 한영우, "조선후기사학사연구" 일지사 1989

      10 김학수, "조선후기 영천지역 사림과 임고서원" 포은학회 6 : 120-166, 2010

      1 지두환, "栗谷 李珥(1536∼1584)의 生涯와 思想" 한국학연구소 38 : 161-200, 2012

      2 "표제음주동국사략"

      3 "포은집"

      4 "퇴계집"

      5 김보정, "중종․명종대 정몽주 인식 - 박상의 『동국사략』과 유희령의 『표제음주동국사략』을 중심으로 -" 부경역사연구소 (39) : 275-307, 2016

      6 "죽유집"

      7 김순희, "죽유 오운의「포은집」교정에 대하여" 한국서지학회 (32) : 337-359, 2005

      8 고령대가야박물관, "죽유 오운의 삶과 학문세계" 역락 2007

      9 한영우, "조선후기사학사연구" 일지사 1989

      10 김학수, "조선후기 영천지역 사림과 임고서원" 포은학회 6 : 120-166, 2010

      11 "조선왕조실록 (선조~광해군)"

      12 김보정,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포은학회 9 : 67-97, 2012

      13 "월정집"

      14 "오음유고"

      15 김보정, "세조·성종대 정몽주 인식" 역사실학회 (57) : 5-38, 2015

      16 "성인록"

      17 지두환, "선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

      18 "서애집"

      19 박인호, "동사찬요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지리인식" 퇴계연구소 (40) : 29-62, 2007

      20 "동사찬요"

      21 "동국통감"

      22 "동국사략"

      23 "대동야승"

      24 지두환, "광해군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

      25 "고려사절요"

      26 "고려사"

      27 죽유전서간행회, "竹牖全書" 고령문화원 2000

      28 김순희, "竹牖 吳澐의 學問과 著述世界" 한국서지학회 (41) : 473-493, 2008

      29 이연숙, "梧陰 尹斗壽의 정치활동과 임진왜란"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69-108, 2012

      30 장숙필, "梧陰 尹斗壽의 인물과 도학적 실천"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7-39, 2012

      31 안세현, "梧陰 尹斗壽의 官僚 文人的 性格과 文學的 位相"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41-68, 2012

      32 김순희, "吳澐의 『東史簒要』의 書誌學的 硏究" 한국서지학회 24 : 393-420, 2002

      33 박인호, "『동사찬요』 「열전」 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인식" 퇴계연구소 (50) : 265-306, 2012

      34 한영우, "17세기 초의 역사서술 – 오운의 「동사찬요」와 조정의 「동사보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 1985

      35 정구복, "16∼17세기의 사찬사서에 대하여" 전북사학회 1 :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