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보행네트워크 기준대중교통 접근성의 지역별⋅계층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for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Based on Pedestrian Net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f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The accessibilities are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each house to the nearest transit facility based on pedestrian network.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omparing inter-regional public transit, subway and main-line bus, between-region inequality of subway accessibilit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ain line bus accessibility. Within-region inequality degree of branch-line bus is greater than that of inter-regional public transit as well as local-line bus, which means more user oriented spatial allocation is needed. (2) In municipal level (administrative gu), while multi-family houses in Gangnam, Seocho, Eunpyung and Jungnang have higher level of accessibility and lower inequality degree, houses in Seodaemun and Jongro have lower accessibility and higher inequality. (3) Accessibility differences between public rental houses and other multi-family houses suggest more spatially unbiased locating of public housing.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f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The accessibilities are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each house to the nearest transit facility based on pedestrian network.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is study analyzes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f multi-family housing in Seoul. The accessibilities are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each house to the nearest transit facility based on pedestrian network.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omparing inter-regional public transit, subway and main-line bus, between-region inequality of subway accessibilit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ain line bus accessibility. Within-region inequality degree of branch-line bus is greater than that of inter-regional public transit as well as local-line bus, which means more user oriented spatial allocation is needed. (2) In municipal level (administrative gu), while multi-family houses in Gangnam, Seocho, Eunpyung and Jungnang have higher level of accessibility and lower inequality degree, houses in Seodaemun and Jongro have lower accessibility and higher inequality. (3) Accessibility differences between public rental houses and other multi-family houses suggest more spatially unbiased locating of public hous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거주지로 부터 교통시설까지 이르는 보행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대중교통 수단별 접근성을 지역적⋅계층적 차원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간 교통수단인 지하철과 간선버스를 비교하면 지하철의 자치구 간 불평등이 간선버스 자치구 간 불평등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내 이동수단인 지선버스의 지역 내 불평등은 또 다른 지역 내 이동수단인 마을버스뿐만 아니라 지역 간 이동수단인 지하철과 간선버스 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선버스 정류장 배치에 있어 다가구⋅다세대 거주자들을 위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치구 차원에서는 강남구, 서초구, 은평구, 중랑구에 소재하는 다가구⋅다세대 주택들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고 자치구 내 불평등도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반대로 서대문구와 종로구에 속한 다가구⋅다세대 주택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고 불평등도가 높다.
      셋째, 마을버스를 제외한 모든 교통수단에서 일반주택과 임대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임대주택의 입지선정 시 특정 교통수단 접근성에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거주지로 부터 교통시설까지 이르는 보행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대중교통 수단별 접근성을 지역적⋅계층적 차원...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거주지로 부터 교통시설까지 이르는 보행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대중교통 수단별 접근성을 지역적⋅계층적 차원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간 교통수단인 지하철과 간선버스를 비교하면 지하철의 자치구 간 불평등이 간선버스 자치구 간 불평등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내 이동수단인 지선버스의 지역 내 불평등은 또 다른 지역 내 이동수단인 마을버스뿐만 아니라 지역 간 이동수단인 지하철과 간선버스 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선버스 정류장 배치에 있어 다가구⋅다세대 거주자들을 위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치구 차원에서는 강남구, 서초구, 은평구, 중랑구에 소재하는 다가구⋅다세대 주택들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고 자치구 내 불평등도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반대로 서대문구와 종로구에 속한 다가구⋅다세대 주택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고 불평등도가 높다.
      셋째, 마을버스를 제외한 모든 교통수단에서 일반주택과 임대주택의 대중교통 접근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임대주택의 입지선정 시 특정 교통수단 접근성에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성실, "지속가능한 정주지 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 : 거주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7 (7): 1-14, 2006

      2 박소현, "주거지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 가회, 성산, 시흥, 상계, 개포, 행당 지역을 사례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215-226, 2008

      3 김광중, "일반주택지역 정비모델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4 남상호,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및 자산 분포 분석" 한국재정정책학회 17 (17): 143-171, 2015

      5 서울시 SH공사, "업무현황" 2016

      6 이원도, "수도권 가구통행 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통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75-86, 2012

      7 윤종진, "서울시 대중교통 접근성의 공간적 정의에 대한 실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69-85, 2015

      8 양승철, "분위회귀분석을 적용한 단독주택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소재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690-704, 2014

      9 성현곤,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TOD)이주택가격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한국지역학회 27 (27): 63-76, 2011

      10 김태경,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특성 및 주거만족요인 분석을 통한 임차인 주거지원정책 제언" 한국주택학회 15 (15): 73-98, 2007

      1 권성실, "지속가능한 정주지 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 : 거주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7 (7): 1-14, 2006

      2 박소현, "주거지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 가회, 성산, 시흥, 상계, 개포, 행당 지역을 사례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215-226, 2008

      3 김광중, "일반주택지역 정비모델 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4 남상호,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및 자산 분포 분석" 한국재정정책학회 17 (17): 143-171, 2015

      5 서울시 SH공사, "업무현황" 2016

      6 이원도, "수도권 가구통행 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통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75-86, 2012

      7 윤종진, "서울시 대중교통 접근성의 공간적 정의에 대한 실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69-85, 2015

      8 양승철, "분위회귀분석을 적용한 단독주택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소재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690-704, 2014

      9 성현곤,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TOD)이주택가격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한국지역학회 27 (27): 63-76, 2011

      10 김태경,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특성 및 주거만족요인 분석을 통한 임차인 주거지원정책 제언" 한국주택학회 15 (15): 73-98, 2007

      11 하은지,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77-89, 2012

      12 정일호, "공정한 사회를 위한 인프라 정책의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국토연구원 2011

      13 Bertaud Alain, "Urban Planning and Housing Affordability" 2014

      14 The Brookings Institute, "The Affordability Index: A New Tool for Measuring the True Affordability of a Housing Choice" The Brookings Institution 3-4, 2006

      15 Ong, P., "Spatial and Transportation Mismatch in Los Angeles" SAGE 25 (25): 43-56, 2005

      16 Alonso, William, "Land Location and Land Us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4

      17 Kawabata, Mizuki, "Job access and employment among low-skilled autoless workers in US metropolitan areas" SAGE 35 (35): 1651-1668, 2003

      18 Lambert P. J., "Inequality Decomposition Analysis and the Gini Coefficient Revisited" STOR 103 (103): 1221-1227, 1993

      19 Bellu, G. B., "Describing Income Inequality : Theil Index and Entropy Class Indexes" FAO 051 : 2-16,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