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정현종의 시 ?생명 만다라?를 인지시학 방법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인지시학의 주요 개념인 어휘의 카테고리, 개념적 은유, 이미지도식 등을 적용해서 시공간의 은유적 경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41277
2013
Korean
생명 만다라 ; 만다라 ; 카테고리 ; 인지모델 ; 개념적 은유 ; 이미지 도식 ; 시공간의 은유적 경로 ; 요약 주사 ; 전경 ; 배경 ; Life Mandala ; Mandala ; categories ; cognitive model ; conceptual metaphor ; image schema ; metaphoric paths of time and space ; summary scanning ; figure ; ground.
KCI등재
학술저널
281-313(3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정현종의 시 ?생명 만다라?를 인지시학 방법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인지시학의 주요 개념인 어휘의 카테고리, 개념적 은유, 이미지도식 등을 적용해서 시공간의 은유적 경로...
이 글에서는 정현종의 시 ?생명 만다라?를 인지시학 방법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인지시학의 주요 개념인 어휘의 카테고리, 개념적 은유, 이미지도식 등을 적용해서 시공간의 은유적 경로를 중심으로 고찰하려 한다. 논의는 ?생명 만다라?와 불교적 상징의 회화형식 미술품 ‘만다라(曼茶羅
mandala)’의 유사한 형식과 내용을 관련지어 전개하고자 한다. 논의 과정은 텍스트의 인지기호와 인지구조 그리고 인지지향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며 진행된다.
언어적 인지기호는 텍스트 공간의 은유적 경로에 연쇄되어 드러난다. 이러한 특성은 어휘, 행간걸침, 통사 구조, 명사형 종결어미 배치 등으로 나타난다. ‘나팔꽃’, ‘이슬’, ‘메아리’, ‘눈동자’, ‘만다라’ 등의 어휘론적 카테고리는 둥근 형상을 보이며, 맑고 순수한 이미지를 상징하는 의미론적 계열체를 형성한다.
인지구조는 시공간의 은유적 경로에 수렴되는 응축적 양상으로 드러난다. ‘만다라’는 ‘꽃’에 맺힌 ‘이슬’에 비치고, ‘이슬의 메아리’와 ‘눈동자에 맺힌 이슬’ 속에 응축되어 나타난다. 인지주체의 관점은 꽃에서 이미지로서의 만다라를 보여주고, 생명 전체의 만다라로 확장되며, 주체의 내부로 들어와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만다라’는 종교적 상징이 삶의 유의미한 표지가 된다.
인지지향은 순환적 확산 양상을 보인다. ‘이슬’에 비치고 ‘메아리 속’에 있는 ‘만다라’는 생명과 삶의 심오한 의미를 상징한다. ‘만다라’는 ‘이슬속’에 비치면서 우주를 함축하고 있는 의미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특성은 각 의미단락의 인지구조를 합체한 시공간의 은유적 경로의 양상으로 드러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Jeong Hyun Jong’s ‘Life Mandala’ through cognitive poetic analytical method. Specific methods adopted here are lexical categories, conceptual metaphor, image schema, and metaphor of time and space is the main route. ...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Jeong Hyun Jong’s ‘Life Mandala’ through cognitive poetic analytical method. Specific methods adopted here are lexical categories, conceptual metaphor, image schema, and metaphor of time and space is the main route. ‘Life Mandala’ and ‘Mandala’, which is religiously symbolic art work, are related with each other. Linguistic cognitive sign, cognitive structure and cognitive orientation will be revealed on analysis.
Linguistic cognitive signs of ‘Life Mandala’ are revealed in the form of chains. This trait is revealed through words, enjambment, syntax structure and ending rhyme with noun. These chained linguistic cognitive signs produce rhythm in forms and meanings. ‘morning glory’, ‘morning dew’, ‘echo’, ‘eye pupil’, ‘mandala’ are round in terms of shape and lurid and pure in terms of meaning.
Cognitive structure shows characteristics of condensation. Mandala shines in the dew on flower and is condensed in echo of dew and dew of pupils. Cognitive aims are diffused in circulation. Mandala shining in dew symbolizes profound meanings of life and is chained into expansion of life and meanings.
Cognitive orientation has the aspects of circulation of expansion. Mandala in dews and echoes symbolizes life and profound meaning of life. The universe is condensed in mandala in forms of dew and echo, where the expansion of meaning happens. These traits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metaphoric paths of time and spa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호, "한국 현대시의 인지시학적 이해"
2 백원기, "하디와 정현종의 불교생태 시학"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5) : 107-134, 2011
3 소필균, "정현종의 「화음-발레리나에게」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시간은유의 공간화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4 (54): 255-285, 2013
4 소필균, "정현종의 「무지개나라의 물방울」에 대한 인지시학적 분석 - 공간은유의 의미확장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2 (52): 161-196, 2012
5 신현락, "정현종의 시세계에 관한 고찰" 21 : 1999
6 소필균, "정현종의 <독무>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은유와 환유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62 (162): 321-358, 2012
7 최동호, "정현종 시와 노장적 불교적 사상, In 작가세계" 세계사 1990
8 정현종, "정현종 시 전집 1" 문학과지성사 2008
9 이광호, "정현종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10 김재홍, "자유에의 길 또는 생명사상, In 작가세계" 세계사 1990
1 양병호, "한국 현대시의 인지시학적 이해"
2 백원기, "하디와 정현종의 불교생태 시학"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5) : 107-134, 2011
3 소필균, "정현종의 「화음-발레리나에게」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시간은유의 공간화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4 (54): 255-285, 2013
4 소필균, "정현종의 「무지개나라의 물방울」에 대한 인지시학적 분석 - 공간은유의 의미확장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52 (52): 161-196, 2012
5 신현락, "정현종의 시세계에 관한 고찰" 21 : 1999
6 소필균, "정현종의 <독무>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은유와 환유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62 (162): 321-358, 2012
7 최동호, "정현종 시와 노장적 불교적 사상, In 작가세계" 세계사 1990
8 정현종, "정현종 시 전집 1" 문학과지성사 2008
9 이광호, "정현종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10 김재홍, "자유에의 길 또는 생명사상, In 작가세계" 세계사 1990
11 Vyvyan Evans, "인지언어학 용어사전" 한국문화사
12 이정화, "인지시학 개론" 한국문화사 2009
13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2008
14 Philip Wilkinson, "세계신화사전" 웅진닷컴 2002
15 Mircea Eliade, "상징, 신성, 예술" 서광사 1991
16 노양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17 George Lakoff, "몸의 철학" 박이정 2011
18 석도열, "만다라이야기" 맑은 소리 2000
19 김용환, "만다라 깨달음의 영성세계" 열화당 1991
20 Mark Johnson, "마음 속의 몸" 한국문화사 1992
21 임혜원, "공간개념의 은유적 확장" 한국문화사 2004
22 정현종, "[단행본] 정현종 시 전집 . 1" 문학과지성사 1999
23 미르치아 엘리아데, "[단행본] 이미지와상징 : 주술적, 종교적상징체계에관한시론" 까치글방 1998
24 오선영, "(정현종의 시세계) 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 때" 문학동네 199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1 | 1.36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