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동작학습이 동작형태의 지각과 순서의 기억에 의존한다는 제안에 따라 만3, 4, 5세 연령에 따른 단일동작 및 연속동작의 동작학습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01586
2005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1-49(1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동작학습이 동작형태의 지각과 순서의 기억에 의존한다는 제안에 따라 만3, 4, 5세 연령에 따른 단일동작 및 연속동작의 동작학습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동작학습이 동작형태의 지각과 순서의 기억에 의존한다는 제안에 따라 만3, 4, 5세 연령에 따른 단일동작 및 연속동작의 동작학습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만3, 4, 5세 각 24, 25, 26명 총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일동작 및 연속동작 과제를 선정하고, ‘시범시행’의 과정에 따라 동작을 학습수행하게 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의 단일동작들은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연속동작들은 시기와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발달하여, 반복과 연령에 따라 동작기억이 증가하였다. 셋째, 연속동작은 시기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상호작용의 결과를 보였다. 즉 연속동작의 경우, 만3세와 4세 사이에 상호작용의 효과를 보여 4세부터 반복학습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유아기 동작모방 및 기억능력은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며, 특히 연속동작의 학습은 만 4세부터 반복에 의한 학습이 유의하였다. 따라서 복합동작의 대근육 연속운동패턴은 만4세부터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performance on six single movements and five serial movements of three, four and five-years old children. Three years old was twenty four, four years old are twenty five, five years old are tw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performance on six single movements and five serial movements of three, four and five-years old children. Three years old was twenty four, four years old are twenty five, five years old are twenty six. So total was seventy five. The movement subjects are 1) How does the modeling ability on children’s single movement according to three, four and five-years old. 2) How does the movement memory ability on children’s serial movement according to three, four and five-years old.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y shows the significantly developing change on six single movements in three, four and five-years old. Second, there was to find the interaction effect on five serial movements in second trial three and four years ol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three and four years old is a sensitive periods in learning of mov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심리학 개론" 정민사 1983
2 "통합적 동작교수방법이 유아의 기본동작능력과 창의적 사고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1994
3 "자기 및 또래 모델링이 유아의 주의 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1992
4 "유아의 기본운동 및 지각운동발달에 관한 연구" 2000
5 "유아기 지각운동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1997
6 "유아기 움직임의 개념 및 분류" 10 (10): 169-192, 2005
7 "유아 지각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1997
8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유아의 지각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2000
9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동작수행의 내재적 과정" 한국유아교육협회 7-22, 1995
10 "영유아교사의 현직교육과정 운영" 9 (9): 129-157, 2005
1 "현대심리학 개론" 정민사 1983
2 "통합적 동작교수방법이 유아의 기본동작능력과 창의적 사고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1994
3 "자기 및 또래 모델링이 유아의 주의 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1992
4 "유아의 기본운동 및 지각운동발달에 관한 연구" 2000
5 "유아기 지각운동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1997
6 "유아기 움직임의 개념 및 분류" 10 (10): 169-192, 2005
7 "유아 지각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1997
8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유아의 지각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2000
9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동작수행의 내재적 과정" 한국유아교육협회 7-22, 1995
10 "영유아교사의 현직교육과정 운영" 9 (9): 129-157, 2005
11 "아동의 기억발달" 중앙적성출판사 1985
12 "모델링을 통한 아동들의 동작학습 상징적 코딩과 리허설의 효과" 1989
13 "모델링과 태권도 동작학습동작단위화와 심상연습의 효과" 1989
14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9 (9): 31-56, 2005
15 "교육방법으로서의 교사의 ‘시범’" 2003
16 "published by Front Row Experience" 1988
17 "published by Front Row Experience" Front Row Experience. -1, 1975
18 "published by Front Row Experience" 1981
19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New York:McGraw-Hill 2002
20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New York:McGraw-Hill 1998
21 "The slow learner in the classroom"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71
22 "The role of visual monitoring in observational learning of Action patterns Journal of Motor Behavior" 153-154, 1982
23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2nd ed.)" Austin Texas:Pro-Ed, Inc 2000
24 "The Occupational Therapy" Mosby-Year Book, Inc 1996
25 "Role of timing of visual monitoring and motor rehearsal in observational learning of Action patterns Journal of Motor Behavior" 269-281, 1985
26 "Perceptual and Motor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Prentice-Hall Inc 1979
27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2nd ed.)" Austin, Texas:Pro-Ed, Inc 2000
28 "Observing the Observer:Self-Regulation in the Observational Learning of Motor Skills" 16 (16): 203-240, 1996
29 "Observational Learning and the Effects of Model-Observer Similarity" 94 (94): 405-415, 2002
30 "Movement Education A Program for Young Children Ages 2 to 7" Meda Press Newport news 1985
31 "Life Span Motor Development" Human Kinetics 2001
32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Inc 1993
33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All Children 4th ed" Human Kinetics 2004
유아교육법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유치원 운영실태 평가를 중심으로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의 실용화를 위한 예비연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광주·전남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탐구과학 교수법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와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3-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42 | 2.42 | 2.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7 | 2.56 | 2.707 | 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