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상사에서 ‘행복한 삶’이라는 주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고전적인 질문의 하나이다. 유가(儒家)의 창시자 공자(孔子. BC.551∼BC.479)가 인(仁)의 가치를 강조한 것 또한 ‘행복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사상사에서 ‘행복한 삶’이라는 주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고전적인 질문의 하나이다. 유가(儒家)의 창시자 공자(孔子. BC.551∼BC.479)가 인(仁)의 가치를 강조한 것 또한 ‘행복한 ...
정치사상사에서 ‘행복한 삶’이라는 주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고전적인 질문의 하나이다. 유가(儒家)의 창시자 공자(孔子. BC.551∼BC.479)가 인(仁)의 가치를 강조한 것 또한 ‘행복한 삶’을 추구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가적 행복’은 ‘유가적 좋은 삶’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글은 공자의 사상과 언행이 가장 잘 수록되어 있는 논어를 텍스트로 하여 공자의 행복 관념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2장에서, 좋은 삶과 행복한 삶에 대한 보편적인 지성사적 인식과 관련 서양고대의 그것을 먼저 간단히 살펴본 다음, 3장부터 5장까지에 걸쳐 공자의 행복관을 각각 인간의 진정한 행복을 각각 학습의 내면적 기쁨, 사회와 공유하는 외연적 즐거움, 그리고 인간다운 인간 곧 자기완성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 論語 모두(冒頭) 편인 <학이(學而)>편 1장, 곧 “學而時習之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의 3구절이 구체적인 공자의 행복관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 각각의 구절들이 論語 전체에서 피력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me, ‘Good Life’, is one of the most classical questions all over the oriental and European societies in the history of politic ideas. Confucius (BC. 551 ~ BC. 479), a philosopher representing oriental ideas, also sought ‘Good World’ by ...
The theme, ‘Good Life’, is one of the most classical questions all over the oriental and European societies in the history of politic ideas. Confucius (BC. 551 ~ BC. 479), a philosopher representing oriental ideas, also sought ‘Good World’ by proposing new world, and such ‘Good World’ cannot be separated from ‘Good Life’, which is ‘Happy Life’, so that his foundation of Confucius School means that he dreamt of ‘Confucianism based Happiness’ in another words.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Confucius’ viewpoint of happiness using Analects that best shows his ideas, words and behaviors. In the Chapter 2, I checked good life and happy life dealt in the ancient European societies to get a general cognition of them. Then, I looked into the details written in the Chapter 1 Introduction, Section 1 ‘HakEe(學而)’, Analects, in which Confucius thought that the genuine happiness of human was the process toward internal joy from learning, external joy from communicating with society and humanistic human that was the completion of oneself, which I used as the keys for this study. In the Chapter 3, 4 and 5, therefore, I investigated how such keys shown in the Chapter 1 of the Section ‘HakEe’ were achieved all through Analec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集註 (朱熹)"
2 "論語"
3 "老子"
4 플라톤, "플라톤의 대화편중 <크리톤>"
5 이상임, "쾌락과 도덕의 문제-?유가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유교학회 (23) : 291-321, 2005
6 蕭公權, "중국정치사상사" 서울대출판부 1998
7 김용민, "좋은 삶과 정치. in: 동서고금의 좋은 삶과 정치" 2009
8 이상호, "유교의 悅樂 사상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49) : 117-152, 2007
9 권상우, "유가 ‘관계 맺음’에서 바라본 잘 삶-‘禮樂’문화적 토대에서의 孟子와 荀子思想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53) : 7-40, 2008
10 박선목,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동서양의 행복론" (55) : 2006
1 "論語集註 (朱熹)"
2 "論語"
3 "老子"
4 플라톤, "플라톤의 대화편중 <크리톤>"
5 이상임, "쾌락과 도덕의 문제-?유가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유교학회 (23) : 291-321, 2005
6 蕭公權, "중국정치사상사" 서울대출판부 1998
7 김용민, "좋은 삶과 정치. in: 동서고금의 좋은 삶과 정치" 2009
8 이상호, "유교의 悅樂 사상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49) : 117-152, 2007
9 권상우, "유가 ‘관계 맺음’에서 바라본 잘 삶-‘禮樂’문화적 토대에서의 孟子와 荀子思想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53) : 7-40, 2008
10 박선목,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동서양의 행복론" (55) : 2006
11 배병삼, "논어, 사람의 길을 열다" 사계절 2005
12 안외순, "군자와 시민,그리고 시민의 군자화" (10) : 2004
13 장현근, "군자와 세계시민" (5) : 1997
14 플라톤, "국가-政體" 서광사 1997
15 "韓非子"
16 "孟子集註"
17 "孟子"
18 論語注疏, "十三經注疏 整理本 23" 北京大學出版社 2000
19 김용남, "儒敎의 幸福觀" (21) : 1999
20 조남욱, "儒家에서 지향하는 ‘즐김(樂)의 경지’에관한 연구" 한국유교학회 (28) : 2007
21 서근식, "『論語』 「學而」 1장의 解釋學的 硏究" 동양고전학회 (32) : 189-213, 2008
22 안외순, "‘좋은 삶’과 孟子의 仁政論" 동양고전학회 (37) : 441-471,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1.05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