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식의 편향 구조와 혐오: 국내 위키 서비스 ‘여성혐오’ 논란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23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내 이용량이 많은 위키와 같은 집단지성 시스템이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 속에서 특정한 형태로 지식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위키 서비스인 ‘나무위키’에서 생산되는 페미니즘 관련 문서의 담론과 논증 구조를 분석하였다. 단순 귀납 논증에 의존하는 나무위키의 논증 방식, 양측 입장을 모두 게시하는 객관성을 강제하지 않는 시스템, 유머 표현으로 용인되는 주관적 서술에 기입된 안티-페미니즘적 시각 등을 통해 해당 사이트는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를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를 구성하고 제시하고 있었다. 지식의 형태로 유통되는 해당 위키 서비스의 정보들은 어떤 경우 안티-페미니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반달리즘이나 편집 · 수정 전쟁을 통해 구성되기도 했다. 이러한 지식 구성 방식은 해당 서비스에서는 페미니즘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정치적 올바름 관련 논의나 하위문화에서의 특정한 담론 관련해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과 혐오차별의 논리에 위키 서비스는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자유로운 편집이 가능한 집단지성 형태의 지식 구성은 어떤 지식의 문제를 제기하는지 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국내 이용량이 많은 위키와 같은 집단지성 시스템이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 속에서 특정한 형태로 지식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

      이 연구는 국내 이용량이 많은 위키와 같은 집단지성 시스템이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 속에서 특정한 형태로 지식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위키 서비스인 ‘나무위키’에서 생산되는 페미니즘 관련 문서의 담론과 논증 구조를 분석하였다. 단순 귀납 논증에 의존하는 나무위키의 논증 방식, 양측 입장을 모두 게시하는 객관성을 강제하지 않는 시스템, 유머 표현으로 용인되는 주관적 서술에 기입된 안티-페미니즘적 시각 등을 통해 해당 사이트는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를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를 구성하고 제시하고 있었다. 지식의 형태로 유통되는 해당 위키 서비스의 정보들은 어떤 경우 안티-페미니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반달리즘이나 편집 · 수정 전쟁을 통해 구성되기도 했다. 이러한 지식 구성 방식은 해당 서비스에서는 페미니즘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정치적 올바름 관련 논의나 하위문화에서의 특정한 담론 관련해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과 혐오차별의 논리에 위키 서비스는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자유로운 편집이 가능한 집단지성 형태의 지식 구성은 어떤 지식의 문제를 제기하는지 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collective intelligence systems such as wiki which are actively serviced in Korea come to have a structure of producing and confirming knowledge in a particular from within misogynic online culture.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nalyzed the structure of demonstration and discourse found in feminism-related documents produced by ‘namu wiki’, one of the representative wiki services in Korea. Through the method of demonstration employed by namu wiki relying on simple inductive demonstration, refusal of the objective perspective, or anti-feministic viewpoint included in subjective statements accepted as humorous expressions, the website has been forming and presenting the grounds to justify misogynic online culture. Either vandalism or battles for edition and correction did occur at times in order to solidify anti-feministic insistence. This is the most distinctly shown in the area of feminism, but regarding political righteousness or particular discourse within subculture, similar phenomena take place sometimes. This study here aims to discuss what roles wiki service plays in Korean society concerning political righteousness or the logic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and also what problems of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the form of collective intelligence can possibly creat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collective intelligence systems such as wiki which are actively serviced in Korea come to have a structure of producing and confirming knowledge in a particular from within misogynic online culture. To address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collective intelligence systems such as wiki which are actively serviced in Korea come to have a structure of producing and confirming knowledge in a particular from within misogynic online culture.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nalyzed the structure of demonstration and discourse found in feminism-related documents produced by ‘namu wiki’, one of the representative wiki services in Korea. Through the method of demonstration employed by namu wiki relying on simple inductive demonstration, refusal of the objective perspective, or anti-feministic viewpoint included in subjective statements accepted as humorous expressions, the website has been forming and presenting the grounds to justify misogynic online culture. Either vandalism or battles for edition and correction did occur at times in order to solidify anti-feministic insistence. This is the most distinctly shown in the area of feminism, but regarding political righteousness or particular discourse within subculture, similar phenomena take place sometimes. This study here aims to discuss what roles wiki service plays in Korean society concerning political righteousness or the logic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and also what problems of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the form of collective intelligence can possibly cre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위키피디아, 민주주의, 편향
      • 3. 남성 중심 온라인 공간의 안티-페미니즘과 여성혐오 정서
      • 4. 나무위키와 한국 인터넷 문화
      • 5. 중립적 시각과 나무위키 토론 방침
      • 1. 서론
      • 2. 위키피디아, 민주주의, 편향
      • 3. 남성 중심 온라인 공간의 안티-페미니즘과 여성혐오 정서
      • 4. 나무위키와 한국 인터넷 문화
      • 5. 중립적 시각과 나무위키 토론 방침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민석,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서해문집 2019

      2 김경희, "포용국가와 청년정책: 젠더 갈등을 넘어 공존의 모색" 정책기획위원회 2019

      3 Zeisler, A., "페미니즘을 팝니다: 우리가 페미니즘이라고 믿었던 것들의 배신" 세종서적 2018

      4 임도영, "파이어아벤트(Paul Karl Feyerabend)의 아나키즘적 인식론에 대한 민주적 해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5 전혜인, "통계를 통해 본 한국 여성의 지위와 여풍 담론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보명, "탈진실 시대의 페미니스트 발화" 2019

      7 백영민,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본 포퓰리즘의 등장과 대의민주주의 위기" 한국언론학회 12 (12): 5-57, 2016

      8 김상배, "집합지성보다는 커뮤니티?: 한국사의 맥락에서 본 인터넷 문화의 특징"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45-92, 2010

      9 김재영, "집단지성의 동인: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사례"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81-205, 2012

      10 주형일, "집단지성과 지적 해방에 대한 고찰: 디지털 미디어는 집단지성을 만드는가?" 인문학연구소 13 (13): 5-34, 2012

      1 유민석,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서해문집 2019

      2 김경희, "포용국가와 청년정책: 젠더 갈등을 넘어 공존의 모색" 정책기획위원회 2019

      3 Zeisler, A., "페미니즘을 팝니다: 우리가 페미니즘이라고 믿었던 것들의 배신" 세종서적 2018

      4 임도영, "파이어아벤트(Paul Karl Feyerabend)의 아나키즘적 인식론에 대한 민주적 해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5 전혜인, "통계를 통해 본 한국 여성의 지위와 여풍 담론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보명, "탈진실 시대의 페미니스트 발화" 2019

      7 백영민,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본 포퓰리즘의 등장과 대의민주주의 위기" 한국언론학회 12 (12): 5-57, 2016

      8 김상배, "집합지성보다는 커뮤니티?: 한국사의 맥락에서 본 인터넷 문화의 특징"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45-92, 2010

      9 김재영, "집단지성의 동인: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사례"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81-205, 2012

      10 주형일, "집단지성과 지적 해방에 대한 고찰: 디지털 미디어는 집단지성을 만드는가?" 인문학연구소 13 (13): 5-34, 2012

      11 한주희,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과 의사결정의 편향성"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2 (22): 113-122, 2015

      12 김보명, "젠더 갈등과 반페미니즘의 문법" 비교문화연구소 56 : 1-25, 2019

      13 백승덕, "읽지 않고도 편이 갈리는 책 - 탈진실 시대에 『제국의 위안부』를 읽는다는 것" (7) : 127-136, 2017

      14 김세은, "인터넷에서의 성차별적 혐오표현에 대한 심의방안연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9

      15 김학준, "인터넷 커뮤니티 '일베저장소'에서 나타나는 혐오와 열광의 감정동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이희은, "위키피디어 정보의 기술문화적 함의 : 집단지성과 지식 권력"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461-497, 2009

      17 이길호, "우리는 디씨 : 디시, 잉여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의 인류학" 이매진 2012

      18 강준만, "왜 대중은 반지성주의에 매료되는가?: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반지성주의" 한국정치정보학회 22 (22): 27-62, 2019

      19 김수아, "온라인 커뮤니티와 남성-약자 서사 구축: ‘여성혐오’ 및 성차별 사건 관련 게시판 토론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3 (33): 67-107, 2017

      20 정돈욱, "온라인 게임 트롤링 : 발생과정과 유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21 마경희, "성불평등과 남성의 삶의 질" 한국여성정책연구소 2018

      22 전창영,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혐오표현 통신심의에 대한탐색적 고찰온라인 혐오표현의 실태 및 규제 현황" 한국방송학회 (104) : 70-102, 2018

      23 김수아, "미투 운동 이후 한국 신문에 나타난 성별 갈등 보도 분석" 언론중재위원회 5 (5): 95-139, 2019

      24 Hofstadter, R., "미국의 반지성주의" 교우서가 2017

      25 홍성수, "말이 칼이 될 때 : 혐오표현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어크로스 2018

      26 조주현,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나남 2009

      27 이항우, "네트워크 사회의 집단지성과 권위 : 위키피디어(Wikipedia)의 반전문가주의" 비판사회학회 (84) : 278-303, 2009

      28 김수아, "남성 중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페미니즘 주제 토론 가능성: '역차별'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7-46, 2017

      29 김수아, "‘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 페이스북 ‘여성혐오’ 페이지 분석"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5-44, 2016

      30 정희진, "‘남성 혐오’는 가능한가" 110-124, 2015

      31 Greenstein, S., "experts or crowd-based models produce more bias? Evidence from encyclopedia Britannica and Wikipedia" 42 (42): 2018

      32 Wagner, C., "Women through the glass ceiling: gender asymmetries in Wikipedia" 5 (5): 2016

      33 Lih, A., "Wikipedia as participatory journalism: reliable sources? metrics for evaluating collaborative media as a news resource" 16-17, 2004

      34 Lam, Shyong K., "WP:Clubhouse? An exploration of wikipedia's gender imbalance" ACM 2011

      35 Read, B., "Truth, masculinity and the anti-elitist backlash against the university in the age of Trump" 23 (23): 593-605, 2018

      36 Poe, M., "The hive"

      37 Benkler, Y., "The Wealth of networks: How social production transforms markets and freedom" Yale University Press 2006

      38 Viegas, F. B., "Talk before you type: Coordination in Wikipedia" IEEE 2007

      39 Church, J., "Perceptions versus interpretations, and domains for self-fulfilling prophesies" 40 : 25-26, 2017

      40 Ardichvili, A., "Motivation and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online knowledge sharing communities of practice" 7 (7): 64-77, 2003

      41 Moy, C. L., "Improving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editing Wikipedia" 87 (87): 1159-1162, 2010

      42 Xu, S. X., "Impact of Wikipedia on market information environment" 37 (37): 1043-1068, 2013

      43 Antin, J., "Gender differences in Wikipedia editing" ACM 2011

      44 Welser, H. T., "Finding social roles in Wikipedia" 122-129, 2011

      45 Glover, D., "Discrimination as a self-fulfilling prophecy: Evidence from French grocery stores" 132 (132): 1219-1260, 2017

      46 Callahan, E. S., "Cultural bias in Wikipedia content on famous persons" 62 (62): 1899-1915, 2011

      47 Tappin, B., "Choosing the right level of analysis: Stereotypes shape social reality via collective action" 40 : 37-38, 2017

      48 Shachaf, P., "Beyond vandalism: Wikipedia trolls" 36 (36): 357-370, 2010

      49 천관율, "20대 남자: ‘남성 마이너리티’ 자의식의 탄생" 시사IN북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Women'S Communication Association -> Korean Women's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4 2.562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