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운전자의 경우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여러가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72076
2013
-
5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1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운전자의 경우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여러가지 ...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운전자의 경우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여러가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와 교통사고와의 인과적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운전정밀적성검사기기와 차량시뮬레이터를 활용,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집단에 대한 인지반응 및 운전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고령운전자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속도예측을 수행하는데 있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행속도 및 과속빈도가 낮게 나타났고, 예측 불가능한 돌발 상황 및 신호대기 후 출발에 대해서는 반응시간이 더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운전자의 경우 자신의 신체적 능력 저하를 인지하고 안전운전 즉, 주의운전, 방어운전의 필요성이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더욱더 크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무면허 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음주취소자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주의분산이 반응속도와 주관적 속도감에 미치는 영향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 특성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저감대책 연구 -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