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하악 전치 설측면에 대한 다양한 접착시스템의 접착강도 = Bond strength of different bonding systems to the lingual surface enamel of mandibular incis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25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착시스템과 법랑질보호제 등이 설측 브라켓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75개의 발치된 하악 전치를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 후 설측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Group 1은 Transbond XT를, Group 2는 Transbond XT와 함께 불소 유리레진(Ortho-coat)을 Group 3는 Transbond XT와 Chloro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를 Group 4는 광중합 접착제(Aegis Ortho)를 Group 5는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Clearfil Protect Bond)을 사용하였다. 불소유리 레진이나 Chlorohexidine varnish의 사용유무는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Group 5이 다른 그룹에 비해 접착력과 접착제 잔류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법랑질 보호제 적용 시 설측 브라켓의 접착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번에 사용한 제품들은 설측 교정치료 기간 동안 환자의 구강위생을 개선시킬 수 있어 환자와 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에나멜 층이 얇은 경우 Clearfil Protect Bond의 과도한 접착강도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착시스템과 법랑질보호제 등이 설측 브라켓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75개의 발치된 하악 전치를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착시스템과 법랑질보호제 등이 설측 브라켓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75개의 발치된 하악 전치를 5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나눈 후 설측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Group 1은 Transbond XT를, Group 2는 Transbond XT와 함께 불소 유리레진(Ortho-coat)을 Group 3는 Transbond XT와 Chloro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를 Group 4는 광중합 접착제(Aegis Ortho)를 Group 5는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Clearfil Protect Bond)을 사용하였다. 불소유리 레진이나 Chlorohexidine varnish의 사용유무는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Group 5이 다른 그룹에 비해 접착력과 접착제 잔류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법랑질 보호제 적용 시 설측 브라켓의 접착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번에 사용한 제품들은 설측 교정치료 기간 동안 환자의 구강위생을 개선시킬 수 있어 환자와 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에나멜 층이 얇은 경우 Clearfil Protect Bond의 과도한 접착강도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types of adhesive systems and enamel-protective agents will affect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lingual brackets. Methods: A total of 75 extracted mandibular inciso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nd lingual brackets were bonded. Group 1 specimens received Transbond XT (3M Unitek, Monrovia, CA, USA), Group 2 required the application of a fluoride-releasing resin (Ortho-coat, Pulpdent, Watertown, MA, USA) with Transbond XT, Group 3 specimens received a chlor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 Ivoclar Vivadent, Schaan, Lichtenstein) with Transbond XT. In Group 4, a light-cured orthodontic adhesive (Aegis Ortho, Bosworth, Skokie, USA) was applied and in Group 5, an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 (Clearfil Protect Bond, Kuraray, Osaka, Japan) was us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d strength whether fluoride-releasing resin or chlorhexidine varnish were used or not. Group 5 ha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and adhesive remnant index (ARI) values than other groups (p < 0.001). The application of enamel-protective products did not have an adverse affect on the bond strength of lingual brackets. Conclusions: These products might provide benefits both for the patient and the clinician, by supporting the oral hygiene during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The higher ARI score may be beneficial for Clearfil Protect Bond but its excessive bond strength should be considered in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where the enamel is thin.
      번역하기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types of adhesive systems and enamel-protective agents will affect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lingual brackets. Methods: A total of 75 extracted mandibular incisors were randomly di...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types of adhesive systems and enamel-protective agents will affect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lingual brackets. Methods: A total of 75 extracted mandibular inciso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nd lingual brackets were bonded. Group 1 specimens received Transbond XT (3M Unitek, Monrovia, CA, USA), Group 2 required the application of a fluoride-releasing resin (Ortho-coat, Pulpdent, Watertown, MA, USA) with Transbond XT, Group 3 specimens received a chlorhexidine varnish (Cervitec Plus, Ivoclar Vivadent, Schaan, Lichtenstein) with Transbond XT. In Group 4, a light-cured orthodontic adhesive (Aegis Ortho, Bosworth, Skokie, USA) was applied and in Group 5, an antimicrobial self-etching primer (Clearfil Protect Bond, Kuraray, Osaka, Japan) was us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d strength whether fluoride-releasing resin or chlorhexidine varnish were used or not. Group 5 ha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and adhesive remnant index (ARI) values than other groups (p < 0.001). The application of enamel-protective products did not have an adverse affect on the bond strength of lingual brackets. Conclusions: These products might provide benefits both for the patient and the clinician, by supporting the oral hygiene during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The higher ARI score may be beneficial for Clearfil Protect Bond but its excessive bond strength should be considered in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where the enamel is thi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