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건축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신흥 경제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및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초고층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이 가지는 도시의 랜드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08958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건축설계전공 , 2009. 8
2009
한국어
720.483720.49725.2711.4 판사항(22)
서울
viii, 80장 : 삽도, 도표 ; 26 cm.
지도교수:박영건
참고문헌(76-77 p.)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고층 건축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신흥 경제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및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초고층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이 가지는 도시의 랜드마...
초고층 건축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신흥 경제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및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초고층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이 가지는 도시의 랜드마크 차원을 넘어서 해당 지역 및 관련 산업의 허브로의 역할은 물론 국가의 문화 및 경제의 우월성을 나타내는데 활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서울, 인천, 부산 등지에서 활발하게 초고층 건축물이 계획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초고층 건축물의 특성상 나홀로 건물이 아닌 도시계획적 차원에서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초고층 건축물의 입지선정에서부터 다각도로 분석되어져야 한다.
또한 현대건축의 화두인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개념에서 초고층 건물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초고층 건물의 개발은 교통비용 절감 효과, 에너지 절약 및 환경비용(대기오염)저감 효과, 기반시설비용 절감 효과,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등을 통한 탄소 저감 효과의 장점이 있다. 또한 대규모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외부 공공공간(Public Space)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수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이 가지는 건축계획적 요소들을 이해하고 입지적 차원에서의 도시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과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의 초고층 건축물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발전과 흐름, 최근의 설계경향에 대한 알아본다.
제3장에서는 도시와 초고층 건축물의 상호관계와 이론적인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건축계획적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도시계획적 차원에서의 입지선정에서부터 초고층 건축에서 반영해야 되는 건축계획적 적용과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적용된 삼성역 초고층 복합빌딩을 제시하였다.
제 6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현대사회가 점점 고도화, 고밀화 되면서 한정된 토지에서 필요한 만큼의 토지를 확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층 건물이 지어지게 된다. 또한 건물이 초고층화 되면서 도시의 상징으로서 랜드마크가 되며 용도가 복합화된 수직도시 집약형 초고층 건축물로 개발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과 도시를 개별로 보지 않고 도시속의 건축물로, 또한 도시와 건축물로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상호작용을 하는 관점에서 바라보며 초고층 건축물이 나아가야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1990, high-rise building has been developed actively around newly-rising economy nations such as the Middle East and Asia. High-rise building functions as city landmark and becomes the hub of related industry and region. Also, it expresses econ...
After 1990, high-rise building has been developed actively around newly-rising economy nations such as the Middle East and Asia. High-rise building functions as city landmark and becomes the hub of related industry and region. Also, it expresses economical supremacy of culture and nation.
In Korea, lots of high-rise building developments are progressing in various cities such as Seoul, Incheon and Busan. Design of high-rise building should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urban structure. Therefore, various analytical study is needed including appropriate site selection.
In addition, designing eco-friendly and sustainable high-rise building is important issue. Development of Mixed Use Tall Building results to decrease in traffic and infrastructure fee, and it reduce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air pollution by using newly developed energy. Also, it allows having large open space which helps to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space.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odel of eco-friendly and sustainable Mixed Use Tall Building which reflects the idea of building as a part of city development based on understanding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development and recent design trend features of high-rise building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3, theoretical concept and relationship between urban structure and high-rise building will be analyzed.
In chapter 4,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5, Mixed Use Tall Building at Samsung Subway Station will be analyzed as precedent case which reflects the idea of sustainability and illustrates proper site selection with consideration of city plan and shows how to reflect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 into the design.
In chapter 6, conclusion and overall consideration of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As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highly industrialized and denser, high-rise building suggested as a solution for efficient land use in the city. In addition, high-rise building becomes the landmark of the city as the multi-functioned vertical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considering high-rise building as a part of a city not just as one object. I wish this study c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find a way to develop Mixed Use Tall Building which is integrated with urban pla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