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S-SQI 서비스 품질이 고객 행태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 경험 평가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0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ser experience analysis for OTT mobile app services. Application service quality was quantitatively measured by utilizing KS-eSQI evaluation model from a service quality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analyze how service reuse and other people s intention to recommend services are affected by service quality. In addition, further analysis of user experience will qualitatively look at wha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OTT service quality and provide a user-friendl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higher the level of KS-eSQI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reuse of OTT services and recommendation of others. In particular, the dimensions of primary services and unexpected additional services had a higher impact on customer loyalty and recommendation of others than in other industries.
      Moreover,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were found to improve app services from a customer experience perspective. First, images and video thumbnails that highlight the strength of the content they provid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 companies with evidence for data-based work recommendations. Third, it should provide a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respond more intelligently to the various situations and conditions when they actually watch.
      번역하기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ser experience analysis for OTT mobile app services. Application service quality was quantitatively measured by utilizing KS-eSQI evaluation model from a service quality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an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ser experience analysis for OTT mobile app services. Application service quality was quantitatively measured by utilizing KS-eSQI evaluation model from a service quality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analyze how service reuse and other people s intention to recommend services are affected by service quality. In addition, further analysis of user experience will qualitatively look at wha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OTT service quality and provide a user-friendl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higher the level of KS-eSQI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reuse of OTT services and recommendation of others. In particular, the dimensions of primary services and unexpected additional services had a higher impact on customer loyalty and recommendation of others than in other industries.
      Moreover,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were found to improve app services from a customer experience perspective. First, images and video thumbnails that highlight the strength of the content they provid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 companies with evidence for data-based work recommendations. Third, it should provide a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respond more intelligently to the various situations and conditions when they actually wat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주요 요인 분석 : 사용자 경험 관점" 한국IT서비스학회 19 (19): 117-137, 2020

      2 윤해룡,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 18 (18): 1-16, 2019

      3 김유정, "사이트 품질, 신뢰와 습관이 OTT서비스 사이트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9 (19): 99-120, 2019

      4 김흥순, "넷플릭스가 쏘아올린 머니게임… OTT 콘텐츠, 올해만 46조원"

      5 신다은, "국내 OTT 시장 ‘춘추전국 시대’로…시청자 ‘취향저격’ 승자는?"

      6 Parasuraman, A.,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88

      7 YTN, "S. Korean streaming service market grows 32.7 pct in 2019 : report" Yonhap News Agency 2020

      8 오윤석, "OTT서비스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행태" KISDI 2020

      9 심동윤, "OTT 서비스의 품질특성, 사용자 특성이만족도, 충성도,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0 곽은아, "OTT 서비스 속성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사업자 경쟁관계 분석" 한국방송학회 20 (20): 121-169, 2019

      1 이소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주요 요인 분석 : 사용자 경험 관점" 한국IT서비스학회 19 (19): 117-137, 2020

      2 윤해룡,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 18 (18): 1-16, 2019

      3 김유정, "사이트 품질, 신뢰와 습관이 OTT서비스 사이트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9 (19): 99-120, 2019

      4 김흥순, "넷플릭스가 쏘아올린 머니게임… OTT 콘텐츠, 올해만 46조원"

      5 신다은, "국내 OTT 시장 ‘춘추전국 시대’로…시청자 ‘취향저격’ 승자는?"

      6 Parasuraman, A.,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88

      7 YTN, "S. Korean streaming service market grows 32.7 pct in 2019 : report" Yonhap News Agency 2020

      8 오윤석, "OTT서비스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행태" KISDI 2020

      9 심동윤, "OTT 서비스의 품질특성, 사용자 특성이만족도, 충성도,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0 곽은아, "OTT 서비스 속성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사업자 경쟁관계 분석" 한국방송학회 20 (20): 121-169, 2019

      11 Sudtasan, T., "Effects of OTT services o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optical fiber broadband connection in Thailand"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ociety (ITS) 2016

      12 Syzmanski, D.M., "E-Satisfaction : An Initial Examination" 76 (76): 309-322, 2000

      13 Parasuraman, A., "E-S-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Assessing Electronic Service Quality" 7 (7): 213-233, 2005

      14 강준석, "Disney+, Apple TV+ 진입 등에 따른 글로벌 OTT 시장 경쟁환경 및 사업전략 변화" KISDI 1-56, 2019

      15 한국표준협회, "2019년 KS-SQI Annual Report" 2019

      16 방송통신위원회, "2018년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보고서"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5-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8-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SI학회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System Integrati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KCI등재후보
      2006-08-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SI학회 -> 한국IT서비스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System Integration ->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SI학회 -> 한국IT서비스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System Integration ->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62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