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타자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어떻게 형성되며, 개인과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탐색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해 오고 있으며, 그에 대한 사례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타자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어떻게 형성되며, 개인과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탐색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해 오고 있으며, 그에 대한 사례연구...
필자는 타자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어떻게 형성되며, 개인과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탐색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해 오고 있으며, 그에 대한 사례연구로 개항을 전후한 시기 독일인의 한국에 대한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에 천착하고 있다. 필자는 이미 오페르트(Ernst J. Oppert)를 비롯하여 묄렌도르프(Paul G. von Moellendorff)와 분쉬(Richard Wunsch)가 남긴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그들의 조선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러일전쟁 직후 독일의 일본대사관 무관으로 파견되었던 헤르만 구스타프 테오도르 산더(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1868 - 1945)가 남긴 당시 조선에 대한 문헌기록과 사진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선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분석과정에서 우리 스스로가 먼저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우리를 보는 서구인의 고정관념에 내재된 오리엔탈리즘이나 서구주심주의에 대한 비판에 앞서 우리가 스스로를 제한하고, 비하하며, 타자화하며, ‘반도적 숙명론’을 별다른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태도를 먼저 바로잡아야 한다는 점이다. 필자는 역사적 스테레오타입연구의 활성화를 통하여 역사학, 기호학, 사회심리학 등의 학제 간 공동연구가 촉진되고,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가 집단 간의 대립과 갈등, 적대감을 해소하는데 기여함으로 역사학의 학문적 효용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순덕, "횡설수설/재미있는 지리학"
2 조관연, "헤르만 산더의 한국 기행(1906~07) 목적과 조사방법" 역사문화연구소 26 (26): 367-400, 2007
3 강철구, "한국에서 서양사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유럽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제언-" (92) : 327-352, 2007
4 최인진, "필름카메라로 찍은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영상"
5 Peter Burke, "이미지의 문화사: 역사는 미술과 어떻게 만나는가" 심산 2005
6 롤랑 바르트, "이미지와 글쓰기 -롤랑 바르트의 이미지론-" 세계사 -130, 1993
7 김재도, "이미지 문맥의 공시(Connotation) 개념을 중심으로 한 사진의 리얼리티와 다의성" 11 : 51-52, 2005
8 William Eliot Griffis, "은자의 나라 조선(The Hermit Nation)"
9 Edward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0
10 "역사적 이미지연구"
1 김순덕, "횡설수설/재미있는 지리학"
2 조관연, "헤르만 산더의 한국 기행(1906~07) 목적과 조사방법" 역사문화연구소 26 (26): 367-400, 2007
3 강철구, "한국에서 서양사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유럽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제언-" (92) : 327-352, 2007
4 최인진, "필름카메라로 찍은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영상"
5 Peter Burke, "이미지의 문화사: 역사는 미술과 어떻게 만나는가" 심산 2005
6 롤랑 바르트, "이미지와 글쓰기 -롤랑 바르트의 이미지론-" 세계사 -130, 1993
7 김재도, "이미지 문맥의 공시(Connotation) 개념을 중심으로 한 사진의 리얼리티와 다의성" 11 : 51-52, 2005
8 William Eliot Griffis, "은자의 나라 조선(The Hermit Nation)"
9 Edward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0
10 "역사적 이미지연구"
11 박재영,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사례연구-구한말 독일인 의사 분쉬(R. Wunsch)의 조선이미지-" 한국서양사학회 (93) : 129-157, 2007
12 박재영,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사례연구 -서세동점기 독일인 오페르트의 조선이미지" 22 : 181-206, 2007
13 강철구, "역사와 이데올로기: 서양 역사학의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용의 숲 143-145, 2004
14 이배용, "서양인이 본 한국 근대사회" 이화사학연구소 28 : 107-109, 2001
15 강정인,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아카넷 46-47, 2004
16 이경민, "산더가 본 100년 전 한국의 풍경지리"
17 이경민, "산더가 본 100년 전 한국의 풍경지리"
18 강태희, "사진의 기호학적 고찰" 8 : -144, 1996
19 Terry Barret, "사진을 비평하는 방법" 눈빛 135-136, 2000
20 이영준, "미학적 논의의 대상으로서의 사진의 특수성" 15 : 104-106, 1990
21 존 버거, "말하기의 다른 방법" 눈빛 -90, 1995
22 국립민속박물관,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 1906~1907 한국ㆍ만주ㆍ사할린"
23 소두영, "기호학" 인간사랑 121-122, 1993
24 Arnold Henry Savage-Landor, "고요한 아침의 나라-조선"
25 박재영, "舊韓末 독일인 Mollendorff의 朝鮮 認識" 한국동학학회 21 (21): 64-100, 2006
26 Hans Henning Hahn, "Strereotypen in der Geschichte und Geschichte im Stereotyp"
27 J. L. Hilton, "Stereotypes" 47 : 237-271,
28 H. H. Hahn, "Stereotypen in der Geschichte und Geschichte in Stereotyp"
29 U. Quasthoff, "Soziales Vorurteil und Kommunikation-Eine sprachwissenschaftliche Analyse des Stereotyps" Frankfurt a. M 17-19, 1973
30 "Seydlitz"
31 Rosalie von Moellendorff, "P. G. von Moellendorff-Ein Lebensbild" Leipzig 1930
32 Chun-Shik Kim, "Ostasien zwischen Angst und Bewunderung" Münster, Hamburg, London 2001
33 Edward W, "Orientalism" Random House 17-21, 1979
34 "Länder und Völker - Erdkundliches Unterrichtswerk(Die Ostfeste mit Ozeanien und dem Großen Ozean) 3" Stuttgart -127, 1954
35 Matthas Bruhn, "Historiografie der Bilder.Eine Einführung" 5 : 2005
36 Verlag Paul, "Geogrephische Wirtschaftskunde für Handels-und Berufschulen 4" Hamburg, Frankfurt, München -147, 1950
37 Gertrud Claussen, "Fremde Heimat Korea" München 1983
38 Peter Burke, "Eyewittnessing: The Uses of Images as Historical Evide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39 Ernst J. Oppert, "Ein verschlossenes Land: Reisen nach Corea" Leipzig 1880
40 Jens Stüben, "Deutscher Polen-Bilder: Aspekte ethnischer Imagotyp und Stereotyp in der Literatur"
41 H. Gipper, "Der Inhalt des Wortes und die Gliederung des Wortschatzes" 4 : -517, 1984
42 Klaus Sachs-Hombach, "Bildwissenschaft. Disziplinen, Themen, Methoden" Frankfurt a. M 2005
43 R. Oldenbourg Verlag, "Asien und Australien(Lehrerhandbücher für den Erdkundeunterricht" München, Düsseldorf -221, 1955
44 김세은, "1880년대 서양인의 조선인식"
45 Hans Henning Hahn, "12 Thesen zur historischen Stereotypenforschung"
개항기(1876~1910) 한 · 미 간의 치외법권 사례 분석
제국주의 여성 비숍의 여행기에 나타난 조선 여성의 표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6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8-04-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학연구</br>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등재후보1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