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ttle of ‘Maeso’ Fortress has been paid attention in the study about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in middle of 7th century. According to the Chinese records about the situation before the battle, it was ment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68017
2021
Korean
나당전쟁 ; 칠중성 ; 매소성 ; 금파리 성지(城址) ; 말갈 ; 유인궤 ; 이근행 ; 보급 ;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 The Chiljung-seong Fortress ; The Maeso-seong Fortress ; The castle site of Geumpa-ri ; Malgal ; Liu Rengui ; Li Jinxing ; supply
KCI등재
학술저널
45-95(51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ttle of ‘Maeso’ Fortress has been paid attention in the study about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in middle of 7th century. According to the Chinese records about the situation before the battle, it was menti...
The battle of ‘Maeso’ Fortress has been paid attention in the study about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dynasty in middle of 7th century. According to the Chinese records about the situation before the battle, it was mentioned that T"ang forces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Liu Rengui(劉仁軌) crossed the Limjin river, defeated the troops of Silla, and occupied the ‘Chiljung" Fortress. Also it was recorded that the troops of Malgal which was one of the tribe of the North-Western region of T’ang, advanced southward by ships. In other words, T’ang and Malgal were not separated troops that operated independently in the context of strategy, but a allied forces that advanced along both sides sea and land. As in the 『New Book of T"ang(新唐書)』,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ang attacked the northern boundary of Silla.
Therefore, it was so risky to carry out a ope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the limitation that Tang’s supply ship could advanced too far to east. It meaned that they had to take risk of run out of supplies. So then, the final landing place had to be as possible as close in with the ‘Chiljung’ Fortress. As the result, the landing place of Malgal had to be the place that a ship could enter, and It should be somewhere between the mouth of Limjin river and Gorangpo.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U-po, also called the castle site of Geumpa-ri.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e place was the place to load and keep combat strength and supplies, and the rear base for advancing to the Chiljung-seong Fortress.
It is estimated that ‘Maeso’ Fortress was located in Yeoncheon or Yangju. If this fortress was located in Yeoncheon, it could be difficult to understand why the allied forces pulled out from the ‘Maeso’ Fortress and then marched to the ‘Chiljung’ Fortress in south. In other words, if the fortress was located in Yangju, it could be easy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battles that had happened while the allied forces was pulling out.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ose the routes of retreat from various angles. This is the reason why the allied forces that advanced from north to south occupied the ‘Chiljung’ Fortress at first. A role of the ‘Chiljung’ Fortress is that it is easy to defend the uphill path of Seolma-ri that connected to a main road headed for Yangju and Han riv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連川郡誌編纂委員會, "連川郡誌"
2 김병희, "羅唐戰爭의 終了 始點에 대한 再檢討 및 買肖城 戰役의 過程 硏究"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0) : 185-244, 2018
3 서영교, "羅唐戰爭期 唐邊方軍의 來襲과 李謹行" 42 : 19-57, 2006
4 김병희, "羅唐戰爭期 七重城과 買肖城 戰鬪 -買肖城의 位置 比定 및 靺鞨 水軍의 活動에 대한分析을 中心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8) : 45-95, 2021
5 서영교, "羅唐戰爭史 硏究" 아세아문화사 2006
6 徐仁漢, "羅唐戰爭史" 國防軍史硏究所 1999
7 윤경진, "羅唐戰爭 終戰期 전황의 새로운 이해"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4) : 251-290, 2017
8 閔德植, "羅·唐戰爭에 관한 考察 - 買肖城(매소성) 전투를 중심으로" 40 : 145-198, 1989
9 李根成, "羅·唐 격전지 買肖城<매소성>은 大田里산성"
10 파주시, "파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큰기획 1999
1 連川郡誌編纂委員會, "連川郡誌"
2 김병희, "羅唐戰爭의 終了 始點에 대한 再檢討 및 買肖城 戰役의 過程 硏究"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0) : 185-244, 2018
3 서영교, "羅唐戰爭期 唐邊方軍의 來襲과 李謹行" 42 : 19-57, 2006
4 김병희, "羅唐戰爭期 七重城과 買肖城 戰鬪 -買肖城의 位置 比定 및 靺鞨 水軍의 活動에 대한分析을 中心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8) : 45-95, 2021
5 서영교, "羅唐戰爭史 硏究" 아세아문화사 2006
6 徐仁漢, "羅唐戰爭史" 國防軍史硏究所 1999
7 윤경진, "羅唐戰爭 終戰期 전황의 새로운 이해"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4) : 251-290, 2017
8 閔德植, "羅·唐戰爭에 관한 考察 - 買肖城(매소성) 전투를 중심으로" 40 : 145-198, 1989
9 李根成, "羅·唐 격전지 買肖城<매소성>은 大田里산성"
10 파주시, "파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큰기획 1999
11 김덕원, "칠중성의 영유권 변천과 전략적 역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333-371, 2019
12 이준선, "칠중성과 고랑포의 역사지리적 고찰" 31 : 151-194, 2005
13 宮崎市定, "중국중세사" 신서원 1996
14 노시경, "중국을 몰아낸 힘 - <서울 경기 역사기행 21> 양주 대모산성(大母山城)"
15 이준선, "적성지역의 전략적 가치와 그 배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18, 2004
16 양주시, "양주대모산성(楊州大母山城)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자료 보고서" 2012
17 강경구, "신라의 북방 영토와 김유신" 학연문화사 2007
18 許重權, "신라 통일전쟁사의 군사학적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19 서영일,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20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21 김병희, "매소성 전투의 위치와 실상에 대한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1) : 195-228, 2014
22 연천군, "대전리산성, 매초성인가" 2013
23 강성문, "대전리산성"
24 이상훈, "나당전쟁의 개전 시점과 주체에 대한 재검토-최근 대두되는 ‘신설’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2) : 547-565, 2019
25 이상훈, "나당전쟁 연구" 주류성 2012
26 권창혁, "나당전쟁 시기 매소성 전투와 신라의 북방전선" 한국고대사학회 (95) : 289-330, 2019
27 김병희, "나당 전쟁기의 매소성 전투 연구 : 위치 비정과 675년의 전황 복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28 경기도박물관, "경기도 3대 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Ⅰ -임진강- Vol.2 문화유적(1)" 경기출판사 2001
29 "資治通鑑"
30 윤경진, "買肖城 전투와 羅唐戰爭의 종결 ― 『三國史記』 신라본기 675년 2월 기사의 분석 ―" 수선사학회 (60) : 155-193, 2017
31 安國承, "買肖城 硏究" 2 : 261-291, 1997
32 李恩影, "買肖城 位置 比定과 戰鬪 硏究" 한국교원대 2005
33 "舊唐書"
34 洪再善, "積城 七重城 調査略報" 7 : 13-31, 1983
35 徐榮一, "漢江以北의 城址와 新羅의 防禦體制 - 坡州 地域을 中心으로" 10 : 75-93, 1998
36 社團法人 楊州文化院, "楊州郡誌 上"
37 文化財硏究所, "楊州大母山城 發掘報告書" 1990
38 노혁진, "楊州 大母山城의 再照明"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3
39 "東史綱目"
40 李昊榮,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書景文化社 1997
41 "新增東國輿地勝覽"
42 "新唐書"
43 抱川郡誌編纂委員會, "抱川郡誌"
44 손보기박사 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孫寶基博士停年紀念 考古人類學論叢" 知識産業社 1988
45 이상훈, "唐의 軍事戰略을 통해 본 羅唐戰爭期의 買肖城 戰鬪" 신라문화연구소 (29) : 4-4, 2007
46 曹凌, "唐·新羅戰爭史 研究" 동국대 2019
47 "册府元龜"
48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漣川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5
49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坡州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4
50 李丙燾, "三國史記(國譯篇)" 乙酉文化社 1977
51 "三國史記"
6·25전쟁기 서해 유엔해군과 반공 유격부대 간의 협력관계 형성과정 연구
고려의 북방 경계 인식과 ‘또 하나의 압록강’ - ‘화주압록강’과 ‘요하압록강’의 실체 검토 -
조선 초 피로인 송환에 관한 한 연구 - 나카무라 히데다카(中村栄孝)의 <해구(海寇)에서 해상(海商, =평화로운 통호자)으로의 전환>설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0-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6-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 | 1.024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