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의 북방 경계 인식과 ‘또 하나의 압록강’ - ‘화주압록강’과 ‘요하압록강’의 실체 검토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rok’ river(鴨綠江), which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with Jurchen (女眞)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is the river locating in the northeast. It couldn"t be established in the "Uiju Aprok River" that Goryeo expel led Jurchen toward the northern of the Aprok river to outside the Baekdusan Mountain. The Aprok river was the boundary that Goryeo agreed on with Jurchen and by applying it to the northeast, the "Hwa-ju Aprok River" emerged as a result. This place is now identified as the upstream of "Yong-heung river" and was no longer used as it lost the meaning and role of the boundary after the Great wall of Goryeo(長城) was constructed.
      Meanwhile, there is a recor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that "Yosu(遼水)" was also called as "Aprok(鴨綠)". After the war between Khitan and Goryeo, Goryeo established the Aprok River as the boundary of its own northern territory. However, with the fall of Jin dynasty(金), as Goryeo was reigned under Mongol"s authority, the meaning of the Aprok river as the boundary was diminished. In response, Goryeo claimed to the perceptions of its own territory about the ‘Yodong’ district. In order to coexist Yoha(Liao-ho, 遼河) as a new boundary with the existing boundary of the Aprok river, Goryeo made the consciousness that Yoha is the Aprok river. However this consciousness was extinct when Yodong district belonged to the Ming(明) dynasty.
      번역하기

      The ‘Aprok’ river(鴨綠江), which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with Jurchen (女眞)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is the river locating in the northeast. It couldn"t be established in the "Uiju Aprok River" that Goryeo expel led ...

      The ‘Aprok’ river(鴨綠江), which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with Jurchen (女眞)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is the river locating in the northeast. It couldn"t be established in the "Uiju Aprok River" that Goryeo expel led Jurchen toward the northern of the Aprok river to outside the Baekdusan Mountain. The Aprok river was the boundary that Goryeo agreed on with Jurchen and by applying it to the northeast, the "Hwa-ju Aprok River" emerged as a result. This place is now identified as the upstream of "Yong-heung river" and was no longer used as it lost the meaning and role of the boundary after the Great wall of Goryeo(長城) was constructed.
      Meanwhile, there is a recor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that "Yosu(遼水)" was also called as "Aprok(鴨綠)". After the war between Khitan and Goryeo, Goryeo established the Aprok River as the boundary of its own northern territory. However, with the fall of Jin dynasty(金), as Goryeo was reigned under Mongol"s authority, the meaning of the Aprok river as the boundary was diminished. In response, Goryeo claimed to the perceptions of its own territory about the ‘Yodong’ district. In order to coexist Yoha(Liao-ho, 遼河) as a new boundary with the existing boundary of the Aprok river, Goryeo made the consciousness that Yoha is the Aprok river. However this consciousness was extinct when Yodong district belonged to the Ming(明)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고려초기 동북방 경계 인식과 ‘화주압록강’의 존재
      • 3. 고려후기 서북방 경계 인식과 ‘요하압록강’의 출현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고려초기 동북방 경계 인식과 ‘화주압록강’의 존재
      • 3. 고려후기 서북방 경계 인식과 ‘요하압록강’의 출현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의현, "중국의 『中朝邊界史』를 통해 본 한중국경문제 -『중조변계사』에 대한 비판과 14세기 이전 ‘鴨綠水[鴨淥江]’ 위치 재고" 인문과학연구소 (57) : 25-75, 2018

      2 윤한택, "압록과 고려의 북계" 주류성 2017

      3 정요근, "박근혜 정부의 비호 아래 진행된 국수주의 유사 역사의 세력 확장" 70 : 2018

      4 윤경진, "고려후기 北界 州鎭의 海島 入保와 出陸 僑寓" 진단학회 (109) : 115-148, 2010

      5 윤경진, "고려중기 고구려계승의식의 변화와 ‘句高麗’" 역사실학회 (72) : 71-111, 2020

      6 윤경진, "고려의 건국과 고구려계승의식 -‘弓裔의 高麗’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8) : 143-179, 2014

      7 윤경진, "고려말 東北面 영토개척과 영토의식: 公嶮鎭 두만강북설의 출현 배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8) : 127-164, 2019

      8 윤경진, "고려 태조-광종대 북방 개척과 州鎭 설치: 『高麗史』 地理志 北界 州鎭 연혁의 분석과 補正"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7) : 251-288, 2010

      9 윤경진, "고려 숙종대 南京 설치와 역사계승의식" 서울역사편찬원 (105) : 7-50, 2020

      10 윤경진, "고려 성종대 歷史繼承意識의 전개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7) : 115-147, 2017

      1 남의현, "중국의 『中朝邊界史』를 통해 본 한중국경문제 -『중조변계사』에 대한 비판과 14세기 이전 ‘鴨綠水[鴨淥江]’ 위치 재고" 인문과학연구소 (57) : 25-75, 2018

      2 윤한택, "압록과 고려의 북계" 주류성 2017

      3 정요근, "박근혜 정부의 비호 아래 진행된 국수주의 유사 역사의 세력 확장" 70 : 2018

      4 윤경진, "고려후기 北界 州鎭의 海島 入保와 出陸 僑寓" 진단학회 (109) : 115-148, 2010

      5 윤경진, "고려중기 고구려계승의식의 변화와 ‘句高麗’" 역사실학회 (72) : 71-111, 2020

      6 윤경진, "고려의 건국과 고구려계승의식 -‘弓裔의 高麗’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8) : 143-179, 2014

      7 윤경진, "고려말 東北面 영토개척과 영토의식: 公嶮鎭 두만강북설의 출현 배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8) : 127-164, 2019

      8 윤경진, "고려 태조-광종대 북방 개척과 州鎭 설치: 『高麗史』 地理志 北界 州鎭 연혁의 분석과 補正"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7) : 251-288, 2010

      9 윤경진, "고려 숙종대 南京 설치와 역사계승의식" 서울역사편찬원 (105) : 7-50, 2020

      10 윤경진, "고려 성종대 歷史繼承意識의 전개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7) : 115-147, 2017

      11 이미지, "고려 성종대 地界劃定의 성립과 그 외교적 의미" 한국중세사학회 (24) : 5-34, 2008

      12 윤경진, "고려 성종-현종초 북방 개척과 州鎭 설치" 역사문화연구소 (38) : 59-94, 2011

      13 윤경진, "고려 동북 9성의 범위와 ‘公嶮鎭 立碑’ 문제" 역사실학회 (61) : 165-214, 2016

      14 윤경진, "고구려·고려의 영토의식과 한강 - 고구려의 한강이남 영유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서울학연구소 (81) : 73-106, 2020

      15 윤경진, "고구려 ‘南平壤’의 실체와 출현 배경" 서울역사편찬원 (95) : 7-53, 2017

      16 이정신, "강동6주와 윤관의 9성을 통해 본 고려의 대외정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8) : 279-312, 2003

      17 이미지, "高麗 宣宗代 榷場 문제와 對遼 관계" 고려사학회 (14) : 77-103, 2003

      18 朴賢緖, "貴族政權의 對外政策 : 北方民族과의 抗爭" 4 : 1974

      19 金庠基, "國史上의 諸問題 2" 1959

      20 윤경진, "671년 「答薛仁貴書」의 ‘平壤已南 百濟土地’에 대한 재해석 : 백제의 영토의식과 浿河의 새로운 이해" 역사문화연구소 (60) : 3-54, 2016

      21 김순자, "12세기 고려와 여진·금(金)의 영토 분쟁과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83) : 139-174, 2012

      22 김순자, "10-11세기 高麗와 遼의 영토 정책 : 압록강선 확보 문제 중심으로" 11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