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함과 동시에 연구 주제의 다양화, 연구 방법의 발전 등 질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그 중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관련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78354
2010
Korean
370
학술저널
87-10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함과 동시에 연구 주제의 다양화, 연구 방법의 발전 등 질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그 중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관련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함과 동시에 연구 주제의 다양화, 연구 방법의 발전 등 질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그 중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관련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00년 이후부터는 가시적인 질적․양적 성과를 거두어 왔다. 이쯤해서 이러한 연구들이 어떻게 다양화되고 발전해왔는지 살펴보고, 각 분야별 연구들을 분석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물들을 정리하는 것은 기존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고 앞으로 진행될 연구들의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어 말하기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한국어 말하기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 현재 연구의 현황과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general trends of Korean language research by analyzing how to study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the wide range of research topics. Among the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rela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general trends of Korean language research by analyzing how to study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the wide range of research topics. Among the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related to Korean speaking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late 1980s, was improved dramatically since 2000. Then it requires to consider how these studies to have been diversified and developed. Through reviewing these research data about Korean speaking education, we can look into the flow of present studie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 These analysis of trends related to Korean language research will be the meaningful milestone by study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어 교실에서의 교사말(Teacher Talk) 연구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의 교수 학습방안에 대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재 개발 방향과 교수요목 설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