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인간의 사회생활의 기본 수단이고,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문화와 결합된다. 따라서 언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본질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문화교육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에서 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78352
2010
Korean
370
학술저널
59-86(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언어는 인간의 사회생활의 기본 수단이고,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문화와 결합된다. 따라서 언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본질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문화교육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에서 어...
언어는 인간의 사회생활의 기본 수단이고,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문화와 결합된다. 따라서 언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본질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문화교육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에서 어떤 내용을 언제 제시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문화 항목을 선정하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수용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재를 개발의 중심부분으로 중급 문화 교재의 방향과 교수요목을 설정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 order to aid culture education for the intermediate learners. Following are the steps for this research. In chapter 1, We have examined present cu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 order to aid culture education for the intermediate learners. Following are the steps for this research. In chapter 1, We have examined present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plained the need of developing new teaching materials for intermediate course. In chapter 2., we analyzed the situation of culture education by examin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We also examined how to set goals, ranges, learning exercises which are needed to be considered for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from Chapter2, the study showed the ways to develop proper teaching materials for culture education, and set a syllabus. The new teaching book is composed of 15 chapters, and the main subject is selected rationally, in order to help learners to understand of Koran education. In chapter 4, the chapter summarized the study, and discussed the limit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어 교실에서의 교사말(Teacher Talk) 연구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의 교수 학습방안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