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철산의 역사민속학연구-사학사상의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 = A Study of Hwang-Cheol San as a historical folklorist che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1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ies focus on fogetten Hwang-Chul San who was the best folklorist in R.O.K. He is originally born at North Korean. He pioneered the history of folklore in the North. His research methodology was the very historical. But he was forgotten in the...

      This studies focus on fogetten Hwang-Chul San who was the best folklorist in R.O.K. He is originally born at North Korean. He pioneered the history of folklore in the North. His research methodology was the very historical. But he was forgotten in the North. At the same time he is forgotten in Korea. So this research hopes his restoration as a outstanding academics in north korea & south korea. What’s more, he is a valuable person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been disconnected. However, this one connecting South and North Korea hope through these studies. Hwang-cheol studies would be a good sampl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황철산은 북한과 남한 모두에게 기억 속에서 사라진 역사민속학자이다.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주창하는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입장에서도 황철산은 잘 모르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

      황철산은 북한과 남한 모두에게 기억 속에서 사라진 역사민속학자이다.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주창하는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입장에서도 황철산은 잘 모르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북한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 실장으로서 북한민속학의 토대를 구축한 인물이다. 더욱이 그의 연구방법론은 철저하게 역사민속학의 입장에 근거하였다. 북한의 역사민속학에 대한 본질적 연구가 미진한 상태에서 북한민속학의 사학사적 궤적을 옳게 알아채리는 연구자가 오늘날에도 거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황철산은 민속학방법론,역사과학에서의 민속학의 위상, 물질 생산민속, 종족문제 해결에서 민속학이 개입하는 위상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업적을 냈다. 그의 역사민속학을 통하여 남북의 통합된 역사민속학서술을 가능케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철산, "향도에 관하여" (2) : 1961

      2 황철산, "함경북도의 과거 농업생산에 관한 고찰" (4) : 1959

      3 황철산, "함경북도북부산간부락 재가승의 문화와 풍습" 과학원출판사 1960

      4 황철산, "함경북도 회령군 산간지방의 목공업" (1) : 1959

      5 황철산, "토론: 조선민속학의 목적과 대상범위에 대하여" (5) : 1962

      6 황철산, "지봉리수광이 조선 민속학분야에 남긴 유산" (4) : 1961

      7 황철산, "조중 친선 농업협동조합 농민들의 문화와 풍습" (4) : 1960

      8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 주택의 류형과 그 형성발전" (3) : 1965

      9 황철산, "예맥족에 대하여(1)(2)" (3) : 1963

      10 황철산, "성호리익이 조선 민속학분야에 남긴 업적" (2) : 1962

      1 황철산, "향도에 관하여" (2) : 1961

      2 황철산, "함경북도의 과거 농업생산에 관한 고찰" (4) : 1959

      3 황철산, "함경북도북부산간부락 재가승의 문화와 풍습" 과학원출판사 1960

      4 황철산, "함경북도 회령군 산간지방의 목공업" (1) : 1959

      5 황철산, "토론: 조선민속학의 목적과 대상범위에 대하여" (5) : 1962

      6 황철산, "지봉리수광이 조선 민속학분야에 남긴 유산" (4) : 1961

      7 황철산, "조중 친선 농업협동조합 농민들의 문화와 풍습" (4) : 1960

      8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 주택의 류형과 그 형성발전" (3) : 1965

      9 황철산, "예맥족에 대하여(1)(2)" (3) : 1963

      10 황철산, "성호리익이 조선 민속학분야에 남긴 업적" (2) : 1962

      11 주강현, "북한민속학사" 이론과 실천사 1992

      12 황철산, "북포(北布)에 관한 약간의 고찰" (3) : 1958

      13 황철산, "백두산 등산연로의 유적" (4) : 1957

      14 황철산, "민속학연구총서 제2집 민속학논문집" 1959

      15 황철산, "구피의에 관한 고찰" (5) : 1957

      16 에쓰·아·또까레브, "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의 대상과 방법" 1960

      17 황철산, "과거 우리나라 경작 관습의 몇 가지에 대하여" (4) : 1964

      18 황철산, "고조선의 종족에 대하여" (1) :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