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신진 시인의 동인 활동 경향과 세대적 특수성 = A Study on the Literary Coterie Activity Tendencies and Generational Uniqueness of Rising Poets in the 196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19 이후 부상한 60년대 신진 문인들은 혁명 경험을 앞세워 기성세대와 차별화된 세계관을 펼쳐놓는다. 특히 신세대 문인들은 기성세대 문학관과 문학제도를 거부하며 자신들의 독자적인 ...

      4·19 이후 부상한 60년대 신진 문인들은 혁명 경험을 앞세워 기성세대와 차별화된 세계관을 펼쳐놓는다. 특히 신세대 문인들은 기성세대 문학관과 문학제도를 거부하며 자신들의 독자적인 문학장 구축을 위해 다양한 동인지를 조직한다. 이러한 신진 문인들의 다양한 문학 동인 활동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이들의 동인 결성, 해산, 이탈과 참여 등의 행위는 다양한 층위를 보다 역동적으로 만들어 놓는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진 시인들의 의식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세대 의식의 규명과 그것이 동인 결성 및 작품 경향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규명해야만 한다. 둘째, 여러 동인간 상호 영향 관계와 집합, 해산, 이동, 탈퇴, 가입 등 동인들의 움직임을 면밀히 고찰해야만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면 1960년대 신진시인의 동인지 결성의 구심점이 되는 구성 원리를 파악해 낼 수 있다. 1960년대 신세대들의 삶의 방식은 기존 세대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들은 동일집단에 대한 동료의식이 남다르게 강했다. 그러한 삶의 방식은 동인지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동하였다. 문학적 이념과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세대 의식은 이들 동인지를 결속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춘시』, 『현대시』, 『사계』, 『평균율』 구성원도 다르고 활동 연대도 60년대를 두고 보았을 때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들 60년대 동인지의 핵심 구성원은 1960년대 새롭게 문단에 등장한 신진 문인들이었다. 이들은 60년대를 열었던 혁명 경험을 실천적으로 이행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세대만이 지니고 있는 연대의식이 이들의 문학장인 동인지 구성에 있어서 `우애`와 `호명`이라는 특수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sing literary people that emerge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in the 1960s developed differentiated world views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new-generation literary people, in particular, rejected the literary views and systems of the older ...

      The rising literary people that emerge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in the 1960s developed differentiated world views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new-generation literary people, in particular, rejected the literary views and systems of the older generation and made a variety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to build their own independent literary venues. Their diverse literary coterie activities themselves have significance. Their actions of forming, dissolving, leaving and participating in a literary coterie made various strata more dynamic.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following needs: first, the evaluation of rising poets in the 1960s should be retroactive to the 1960s; secondly,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common generational consciousness of rising poets and its connections to their literary coterie formation and creative tendencies; and finally, the mutual influential relations among many different literary coteries should be examined closely along with their movements including gathering, dissolution, moving, withdrawal, and admission. If one tries to solve the issues by approaching those needs, he or she will be able to figure out the composition principle that was the pivot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among the rising poets in the 1960s. The new generation of the 1960s adopted a lifestyle that wa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many aspects. They had very strong fellowship for the members of the same group. Their lifestyle worked in the same way when they made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eir generational consciousness, which worked in different ways from literary ideologies, played important roles in binding their literary coterie magazines tog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Winners of Annual Spring Poetry Contest, Contemporary Poetry, Four Seasons, and Equal Temperament in terms of members and active periods in the 1960s. One thing was common and clear among them, and it was that the core members of those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the 1960s were the rising literary people that made a debut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decade. They implemented the revolutionary experiences that opened up the decade in a practical mann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ense of belonging together unique to their generation was reproduced in special ways called "brotherly love" and "calling" in the organizat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at were their literary venu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새봄, "??현대시?? 동인 시의 서정성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2) : 281-308, 2007

      2 김현,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72

      3 최라영, "현대시 동인의 시세계" 예옥 2006

      4 "현대시 1-26집"

      5 정효구, "한국 1960년대 동인지 ‘현대시’ 연구" 개신어문학회 (16) : 1999

      6 "평균율 1-2집"

      7 윤의섭, "초기 현대시 동인 모더니즘 시의 수사학적 인식" 현대문학이론학회 (32) : 99-116, 2007

      8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9 유진오, "우리 나라의 대학의 회고와 전망" 1962

      10 "신춘시 1-18집"

      1 이새봄, "??현대시?? 동인 시의 서정성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2) : 281-308, 2007

      2 김현,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민음사 1972

      3 최라영, "현대시 동인의 시세계" 예옥 2006

      4 "현대시 1-26집"

      5 정효구, "한국 1960년대 동인지 ‘현대시’ 연구" 개신어문학회 (16) : 1999

      6 "평균율 1-2집"

      7 윤의섭, "초기 현대시 동인 모더니즘 시의 수사학적 인식" 현대문학이론학회 (32) : 99-116, 2007

      8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9 유진오, "우리 나라의 대학의 회고와 전망" 1962

      10 "신춘시 1-18집"

      11 유창민, "시 동인지 『사계』의 신세대 의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2 (42): 109-129, 2012

      12 송건호, "세대론-4·19, 5·16에나타난 세대의계층과 그것의 분석비교" 1962

      13 김수영, "세대교체의 연수표-1963년의 시단 연평-" 1963

      14 "사계 1-3집"

      15 김현, "박이도문학전집 4" 창조문화사 2010

      16 김기석, "무력감과 공상사이 –사회변동과 청년의 성격형성-" 1963

      17 임영봉, "동인지 散文時代 연구" 우리문학회 (21) : 395-420, 2007

      18 김현, "김현 문학전집 3" 문학과 지성사 1991

      19 현승종, "강의, 시험, 써클 – 실생활을 통해서 본 오늘의 대학생" 1962

      20 김은영, "『현대시』동인의 시 의식과 미적 지향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 : 5-30, 2006

      21 심재휘, "‘현대시’ 동인과 60년대적 모더니즘" (16) : 2003

      22 김미란, "‘순수’한 청년들의 ‘평화’ 시위와 오염된 정치 공간의 정화 - 4월혁명기에 선호된 어휘에 대한 개념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1 : 173-209, 2011

      23 이형우, "‘동인지 現代詩’의 변모 양상과 대표성에 관한 고찰"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259-283, 2013

      24 문혜원, "<현대시> 동인의 시론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149-176, 2010

      25 김병익, "60년대 문학의 위치" 1969

      26 허혜정, "60년대 ‘현대시’ 동인들의 시운동과 시사적 위치" (327) : 1996

      27 김건우, "4·19세대와 청년문학" (55) : 2005

      28 서진영, "1960년대 모더니즘 시의 공간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9 박슬기, "1960년대 동인지의 성격과 <현대시>동인의 이념" 한국시학회 (18) : 203-226, 2007

      30 박대현, "1960년대 동인지 『신춘시』의 위상" 상허학회 39 : 251-29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65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