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순환구조로 본 충북경제 발전전략의 허와실 = Evaluating Development Strategy of Chungbuk Regional Economy with a Circulation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56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戰爭은 死生을 결단하고, 戰略은 勝敗를 좌우하며, 승패는 삶의 質을 바꾼다. 經濟戰을 평생의 持久戰으로 인식하면 병법상의 모든 智慧가 삶의 질을 바꾸는 데 이용될 수 있다. 善循環은 勝의 길이요, 惡循環은 敗의 길이다. 어느 길을 가느냐에 따라 구성원의 미래가 달라진다. 충북의 발전계획에는 경제전이란 인식이 없다. 때문에 경제가 선순환으로 가기 위한 條件들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 ``販賣量 增加를 통한 販賣量의 增加``를 구현할 수 있는 전략적 제안들이 없다. 거래할 主體와 客體는 城內로 제한하고, 城外 거주자에 대한 고려는 배제함으로써 스스로 ``限界效用遞減``과 ``限界效用均等``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兵書에서 가장 중시하는 ``知彼知己``의 첫 단추를 잘못 끼운 탓이다. 충북은 결코 ``허브``가 아니라 ``奧地``라는 인식의 전환이 있지 않는 한 누구를 상대로 어떠한 경제전을 치를 지에 대한 構想은 나올 수 없다. 따라서 충북은 병서지식을 이용한 發想轉換과 이를 통한 虛構的 발전계획의 現實化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戰爭은 死生을 결단하고, 戰略은 勝敗를 좌우하며, 승패는 삶의 質을 바꾼다. 經濟戰을 평생의 持久戰으로 인식하면 병법상의 모든 智慧가 삶의 질을 바꾸는 데 이용될 수 있다. 善循環은 勝...

      戰爭은 死生을 결단하고, 戰略은 勝敗를 좌우하며, 승패는 삶의 質을 바꾼다. 經濟戰을 평생의 持久戰으로 인식하면 병법상의 모든 智慧가 삶의 질을 바꾸는 데 이용될 수 있다. 善循環은 勝의 길이요, 惡循環은 敗의 길이다. 어느 길을 가느냐에 따라 구성원의 미래가 달라진다. 충북의 발전계획에는 경제전이란 인식이 없다. 때문에 경제가 선순환으로 가기 위한 條件들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 ``販賣量 增加를 통한 販賣量의 增加``를 구현할 수 있는 전략적 제안들이 없다. 거래할 主體와 客體는 城內로 제한하고, 城外 거주자에 대한 고려는 배제함으로써 스스로 ``限界效用遞減``과 ``限界效用均等``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兵書에서 가장 중시하는 ``知彼知己``의 첫 단추를 잘못 끼운 탓이다. 충북은 결코 ``허브``가 아니라 ``奧地``라는 인식의 전환이 있지 않는 한 누구를 상대로 어떠한 경제전을 치를 지에 대한 構想은 나올 수 없다. 따라서 충북은 병서지식을 이용한 發想轉換과 이를 통한 虛構的 발전계획의 現實化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