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진타오와 시진핑 체제의 비교와 향후 과제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3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시진핑 지도부는 2013년 3월 양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군·정·당을 모든 권력을 장악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도부의 인선을 마무리 지으면서 시진핑 체제를 구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시진핑 체제의 출범은 여러 가지 난관과 잡음이 있었지만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는 출범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동시에 향후 추이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금의 시진핑 체제는 국제사회에서 그 지위와 위상 을 인정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시할 수 없는 국가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새로 출범한 시진핑 체제의 주변 환경은 매우 험난한 행보가 기다리고 있다는 점 에서 시진핑의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북한 핵 실험과 같은 악재는 시 진핑 체제의 외교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당위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북아의 주변 모든 국가들 이 전후의 차이는 있지만 새로운 정권이 출범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호간의 협력보다는 경쟁과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미묘한 눈치 보기가 시작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후진타오 집권 10년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시진핑은 어떠한 정책 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며, 시진핑 체제가 향후 극복하여야 할 과제 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은 현금의 중국을 이해하는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중국의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의성과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중국의 시진핑 지도부는 2013년 3월 양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군·정·당을 모든 권력을 장악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도부의 인선을 마무리 지으면서 시진핑 체제를 구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시�...

      중국의 시진핑 지도부는 2013년 3월 양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군·정·당을 모든 권력을 장악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도부의 인선을 마무리 지으면서 시진핑 체제를 구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시진핑 체제의 출범은 여러 가지 난관과 잡음이 있었지만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는 출범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동시에 향후 추이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금의 시진핑 체제는 국제사회에서 그 지위와 위상 을 인정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시할 수 없는 국가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새로 출범한 시진핑 체제의 주변 환경은 매우 험난한 행보가 기다리고 있다는 점 에서 시진핑의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북한 핵 실험과 같은 악재는 시 진핑 체제의 외교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당위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북아의 주변 모든 국가들 이 전후의 차이는 있지만 새로운 정권이 출범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호간의 협력보다는 경쟁과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미묘한 눈치 보기가 시작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후진타오 집권 10년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시진핑은 어떠한 정책 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며, 시진핑 체제가 향후 극복하여야 할 과제 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은 현금의 중국을 이해하는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중국의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의성과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學優高考網, "兩會的主要內容評估"

      2 魏艾, "兩會後大陸經濟政策走向及其意涵" (268) : 2013

      3 錢昊平, "兩會常識: 國家領導人的選擧流程"

      4 김동하, "호적제도 개혁, 도농간 차별 해소의 핵심 -도시화는 시장 주도로 국민과 기업이 함께해야" 78 : 26-28, 2013

      5 박광득, "포스트 후진타오와 중국의 과제 및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5 (15): 71-100, 2012

      6 한덕우, "중국 비지니스, TED에서 길을 묻다" 79 : 4-5, 2013

      7 朱鋒, "중국 강타한 시(習)의 회호리 바람"

      8 "일본, 중국 국방비 증액 경계 … 우리의 2.4배"

      9 정철호, "올해 중국 성장률 8%대 전망 -경제 구조적 변화, 산업별 명암 달라" 77 : 28-30, 2013

      10 권혁재, "양극화 이끈 기득권의 개혁 의지가 선행돼야 -소득분배 개혁은 핵심적인 정치・사회 이슈" 78 : 29-31, 2013

      1 學優高考網, "兩會的主要內容評估"

      2 魏艾, "兩會後大陸經濟政策走向及其意涵" (268) : 2013

      3 錢昊平, "兩會常識: 國家領導人的選擧流程"

      4 김동하, "호적제도 개혁, 도농간 차별 해소의 핵심 -도시화는 시장 주도로 국민과 기업이 함께해야" 78 : 26-28, 2013

      5 박광득, "포스트 후진타오와 중국의 과제 및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5 (15): 71-100, 2012

      6 한덕우, "중국 비지니스, TED에서 길을 묻다" 79 : 4-5, 2013

      7 朱鋒, "중국 강타한 시(習)의 회호리 바람"

      8 "일본, 중국 국방비 증액 경계 … 우리의 2.4배"

      9 정철호, "올해 중국 성장률 8%대 전망 -경제 구조적 변화, 산업별 명암 달라" 77 : 28-30, 2013

      10 권혁재, "양극화 이끈 기득권의 개혁 의지가 선행돼야 -소득분배 개혁은 핵심적인 정치・사회 이슈" 78 : 29-31, 2013

      11 박진형, "시진핑 시대 중국 진출 신전략" 78 : 4-5, 2013

      12 신경진, "시진핑 100일, 군부 재편과 반부패에 집중 -관료 부패 척결이 최우선" 79 : 12-14, 2013

      13 김윤희, "국부민부 가능할까? -지역간, 도농간, 계층간, 업종간 4대 격차 심각" 79 : 2013

      14 鄧聿文, "胡溫的政治遺産, In 學習時報" 中國共産黨中央黨校 2013

      15 新華新聞a, "習近平外交宣示强勢不强 硬"

      16 國際頻道, "習近平:內政 外交新思路"

      17 熊玠, "簡析習近平新政之藍圖, 兼論我們應如何期待與衡量其效應及得失" (268) : 2013

      18 新華新聞b, "港報: 習近平開啓中國外 交新風路"

      19 孫逸豪, "今年两会的主要内容是什么?"

      20 "中전문가가 본 시진핑 시대의 대미전략"

      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129092"

      22 "[중국 권력교체후 한반도 정세변화 주목] 시진핑, ‘신형대국관계(新型大國關係)’로 외교 리모델링"

      23 "[시진핑의 10년 ⑧] 외교, ‘도광양회’와돌돌핍인"

      24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5 學易網, "2013年兩會10大熱点問題剖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3-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5 0.90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