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문학을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의 동화를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동화가 어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56247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2020
학위논문(석사)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전공 , 2020
2020
한국어
710.7 판사항(6)
495.707 판사항(23)
부산
v, 62장 ; 26 cm
지도교수: 심상교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문학을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의 동화를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동화가 어떤...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문학을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의 동화를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동화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가를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가 알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의 동화의 기본 구조를 알면 어떤 동화를 가르치는 상황이 되더라도 기본 지식이 있어 수월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방법으로는 교육연극을 활용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할 때 사용할 기법으로는 과정드라마와 스토리드라마이다.
두 기법은 즉흥극에서 분파된 기법으로 어떤 서사 작품이나 상황을 이해하려는 토의적 상황에서 많이 활용된다. 동화가 서사 작품이고 그 내용을 이해하면서 한국의 전통문화까지 이해하려는 시도에 매우 적합한 기법이 과정드라마와 스토리드라마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동화를 읽고 그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그 동화를 연극으로 만드는 과정을 통해 동화에 담긴 지혜를 배우고 익히도록 한다. 일종의 동화 속 지혜를 이해하고 나의 지혜로 바꾸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공감, 토의·연습, 실연, 확인 단계를 거치게 된다. 첫 번째, 공감하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동화의 내용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토의·연습하기는 공감하기에서 확인된 동화작품의 의미와 주제를 연극으로 만들기 위한 준비단계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실연하기이다. 토의·연습하기 단계에서 논의되고 연습한 내용을 하나의 작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네 번째는 확인하기이다. 확인하기 단계는 만들어진 연극에 대한 피드백을 얻어냄으로써 참여자들이 지나온 과정에 대한 성찰을 하고 연극작품 만들기를 통해 동화를 이해하게 되었다는 목표를 성취했다는 기쁨을 나누는 단계이다.
동화를 통해 지혜를 터득하는 교육은 창의력을 활성화하고 균형적 지혜를 갖는 부분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어야 동화 교육의 의의가 획득될 것이다. 동화에서의 지혜발휘는 문제해결능력을 보여주는 측면과 닿아 있다. 활성화된 상상력과 창의력이 균형적 지혜를 담지하는 상황으로 연결되면 동화의 지혜교육 의의는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동화와 연극이 융합할 수 있는 실제적 방법은 정지동작, 사고추적, 전문가의 옷, 한국어교사내러티브개입, 핫씨팅, 결정의 순간 등이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과정드라마를 통한 동화 교수․학습 모형으로 「군수와 아이」과 「토끼의 지혜」에 대해 고찰하였고 관련된 연극 활동은 전체설명→읽기→등장인물소개→소품소개→사건소개→배경소개 순서로 진행하였다.
스토리드라마를 통한 동화 교수․학습 모형으로는 동화 체험을 위한 준비하기→동화 체험하기→체험 결과 정리하기 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동화는 보편적인 주제와 삶의 통찰 요소를 가지고 있어 나이, 성별, 직업 등에 관계없이 외국인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 올바른 가치, 표현력, 상상력, 창조력, 심미성을 심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는 내용 요소들은 학습동기 유발을 용이하게 하여 외국어 학습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