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 목적 ○ SSK 네트워킹 지원 사업은 SSK 연구팀 및 사회과학 연구자들에게 네트워킹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관련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상호 만남과 토론. 신뢰구축의 기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7238
-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사업 목적 ○ SSK 네트워킹 지원 사업은 SSK 연구팀 및 사회과학 연구자들에게 네트워킹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관련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상호 만남과 토론. 신뢰구축의 기회...
1. 사업 목적
○ SSK 네트워킹 지원 사업은 SSK 연구팀 및 사회과학 연구자들에게 네트워킹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관련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상호 만남과 토론. 신뢰구축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팀/단들간 소통의 활성화와 연구컨소시엄 구축에 기여함.
○ 성공적인 협력연구의 구조와 촉진 요인, 학제간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 SSK 연구 및 네트워킹 성과분석 등 네트워킹 지원 활동을 학술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 활동을 통해 SSK 연구집단의 바람직한 성장 모형을 발굴하고, 이를 확산시키는데 기여함.
2. 주요 사업 결과
1) 네트워킹 지원 사업 실적
(1) 네트워킹 아레나
○ 심포지엄 참여 실적: 총 428개팀, 연인원 1269명, 429건 발표
○ 희망연계미팅 참여 실적: 총 32회, 62개팀 참여
○ 독립세션 참여 실적: 총 50회, 80개팀 참여
(2) 네트워킹 정보 제공
○ 사업설명회: 네트워킹사업 정보 제공 1회
○ 웹진 운영: 7개 섹션, 1,187명 방문, 7,418회의 페이지뷰
○ 네트워킹 리포트: 연구단 아젠다 분류체계 등 총 9건
○ 네트워킹 활동 소개: 한국의 종교와 사회진보 연구팀 외 27건
○ ABD 리포트: 이수정 외 6건
○ 성과발표회: 사업단 성과발표 2회, 네트워킹 우수사례 발표 10건
2) 네트워킹지원방안 연구 및 활용
○ 중형 연구단 아젠다 분류체계 개발 및 연구단 아젠다 영역 재배치
○ 단계평가 신청 연구단 구성 현황, 2013년 SSK 연구생태계 기본 현황, 키워드를 통해 본 SSK 연구생태계 현황, 네트워킹 홛동과 연구성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네트워킹 리포트 및 웹진, 네트워킹 심포지엄 포스터 세션 등을 통해 연구단(팀)에 정보 제공
○ SSK 연구생태계 DB(논문 정보, 저자 정보 등)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SSK 사업의 연구협업 성과를 분석해 논문으로 출판함
○ 논문 출판: “한국 사회과학계의 연구협업에 대한 시론적 탐색”(박수호‧김대환‧김종길, 담론201 17(1): 5-37)
○ 논문 투고: “한국 인문·사회과학자 커뮤니티와 불평등: 누적이익 효과를 중심으로”(김근태‧김종길, 심사중)
3) 기타 사업
○ 특별 심포지엄 “한국 사회과학(대학)의 발전 방안과 지표 개발”를 국공립사회과학대학장협의회와 공동으로 개최하고, 자문위원회를 1회 개최하였음.
3. 예산 집행 결과
○ 예산총액은 총 250,000,000원, 100% 지출
○ 인건비 105,000,000원 집행
○ 장비비 207,000원, 연구활동비 114,993,000원(심포지엄 개최비, 기술정보활동비, 문헌자료 구입비, 논문게재료 등),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Goals and Objectives ○ The SSK Networking Support Project aims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between SSK research teams and social scientists and to help forming research consortiums 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networking ...
1. Goals and Objectives
○ The SSK Networking Support Project aims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between SSK research teams and social scientists and to help forming research consortiums 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networking and related research results and opportunities to build mutual trusts through regular meetings and discussions.
○ The SSK Networking Support Project will enable to discover the preferred growth models for the SSK research groups and help spread them through researches that can bolster the networking support activities academically, including studies on the structures and facilitators of successful research collaboration, ways to revitaliz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studies on the SSK and the results of the SSK networking project.
2. Main Project Results
1) Networking Support Results
(1) Networking Arena
○ Symposium Participation: 428 teams in total, 1,269 researchers per year, 429 presentations
○ Networking Meetings Participation: 32 meetings in total, 62 teams
○ Independent Session Participation: 50 sessions in total, 80 teams
(2) Networking Information Session
○ Project briefing, maintaining a webzine (7 sections, 1,187 visitors, 7,418 page views), 9 networking reports, 28 networking activities reports, 7 ABD reports, 2